차세대 백신 플랫폼 mRNA 기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차세대 백신 플랫폼 mRNA 기술

0 개 1,799 박명윤

2022년 새해를 맞이한 지도 벌써 한 달이 지나 오늘(2월 1일)은 음력 정월 초하루(Lunar New Year’s Day) ‘설’ 명절이다. 새해 결심(New Year’s Resolution)으로 금연(禁煙), 금주(禁酒), 운동(運動) 등 다양한 계획을 세우지만 작심삼일(作心三日)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음주나 흡연 등 중독성이 있는 습관을 단번에 끊는 것을 영어로는 ‘quit cold turkey(차가운 칠면조 고기를 끊다)’라고 한다.

 

행동과학자이며 영국 런던정경대 그레이스 로던(Grace Lordan) 교수는 저서 <5년 후, 당신은(원제: Think Big)>에서 “큰 꿈을 꾸기는 쉽지만 그 꿈을 실현하기는 어렵다”며 “단기적 목표를 세우기보다는 중기적 목표를 설정하고 ‘5년 후’, 혹은 ‘3년 후’처럼 가까운 미래의 자신을 뚜렷이 그려보는 것이 목표를 이루는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더 나은 나’를 저자는 ‘ME+’라 칭한다.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발생이 보고된 후 인류 역사상 가장 치열한 코로나 백신 개발 레이스가 시작됐다. 코로나 백신은 1년도 안 돼 화이자(Pfizer)와 모더나(Moderna)가 개발에 성공했다. 두 회사가 활용한 mRNA(메신저(messenger, 傳令) 리보핵산) 기술이 백신으로 쓰인 적이 없었기에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의 관점이 완전히 뒤바꿨다.

 

d530dec3b93875b4092691788f03714c_1645233099_8438.png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은 개발에 착수한지 불과 11개월 만에 사용 승인까지 받았기 때문에 ‘초고속 개발’이란 수식어가 붙는다. 통상 백신 개발에 5년 이상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역사상 전례 없는 빠른 속도다. 백신은 최근에 대중에게 제공되기 시작했지만, 연구자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mRNA 백신을 연구하고 다루어왔기에 축적된 기초연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mRNA는 1961년 학계에 처음 등장했다. 즉 DNA의 단백질 생성 메커니즘(mechanisim, 機制)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이 단백질 핵심 설계도 역할을 하는 mRNA의 존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후 mRNA의 의학적 응용을 위한 탐구가 시작되었으며, 1976년 헝가리(Hungary)의 박사과정 학생인 카탈린 카리코(Katalin Kariko)가 mRNA를 바이러스 퇴치에 활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이 인물이 바로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주역이다.

 

mRNA 방식은 바이러스를 우리 몸 안으로 넣는 전통적인 방식의 백신이 아니라 바이러스의 스파이크(spike) 단백질(항원)을 만드는 mRNA를 활용하기 때문에 더 복잡하다. mRNA는 DNA에 저장돼 있는 유전 정보를 세포핵 바깥에 있는 세포질에 전달해 단백질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면역계는 이 항원(抗原, antigen)에 대한 항체(抗體, antibody)를 만들어 낸다. 차세대 ‘백신 플랫폼’으로 불리는 mRNA는 개발 난이도가 높아 글로벌에서 상용화 한 기업은 화이자와 모더나뿐이다.

 

새로 개발된 mRNA 백신은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세포에 가르친다. 즉 백신을 코로나19 감염되기 전에 맞으면 인체는 백신(mRNA)의 영향을 받아 스파이크 단백질을 대량 만들게 된다. 이때 인체는 이들을 침입한 항원이라고 판단하여, 이에 대항할 항체를 대량 만들게 된다. 이렇게 미리 형성된 항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그들의 돌기 단백질(glycoprotein)을 파괴하여 발병하지 못하도록 한다.

 

핵산(核酸, nucleic acid)은 모든 생체분자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 핵산은 모든 생물의 세포에서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핵산은 세포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세포핵 내부와 외부의 정보를 전달하고 발현하는 기능을 하며, 궁극적으로 다음 세대에게 유전 정보를 전달한다. 암호화된 정보는 핵산의 염기서열을 통해 저장되고 전달된다.

 

모든 생명체의 세포는 다량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내부에서는 온갖 단백질이 끊임없이 만들어진다. 즉 생명체의 세포는 살아있는 동안 필요한 단백질을 계속 만들어야 한다. 이때 세포는 염색체를 구성하는 DNA(나선상 사다리꼴)에 기록된 정보(설계도)에 따라 단백질을 조합한다. 이때 RNA는 단백질 조합에 필요한 아미노산(amino acid)을 찾아내어 설계도대로 합성하는 일을 한다.

 

코로나19가 낳은 황금알 ‘mRNA’는 21세기 만병통치(萬病通治)를 노리고 있다. 즉 암(癌), 독감(毒感), 에이즈(AIDS) 정복에 나서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mRNA 백신은 주로 암 치료용으로 개발되고 있었다. 암세포는 정상 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정상 세포와 암세포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면, 암세포만을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암을 치료하는 mRNA 백신의 원리는 먼저 암환자의 종양 세포조직을 잘라내 돌연변이를 분석하고, 어떤 특정 단백질이 가장 강한 면역반응을 이끌어낼지를 예측해 개인 맞춤형 mRNA 백신을 설계한다. 백신이 환자에게 주입되면 mRNA는 종양 세포의 돌연변이를 이물질로 인식하도록 면역체계를 훈련시키는 단백질을 생산하라고 지시한다. 훈련된 면역체계는 몸 전반에 있는 비슷한 종양 세포를 인식하고 파괴한다.

 

바이오엔테크(BIONTECH)는 암세포를 죽이는 11가지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21개 mRNA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黑色腫) mRNA 백신은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작년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패스트 트랙(fast track) 프로그램에 지정됐다. 바이오엔태크는 작년 10월부터 대장암(大腸癌) 백신 임상 2상도 시작했다.

 

바이오엔테크는 독일의 생물학적 제제 제조회사이며 2008년에 설립됐다. 설립자는 터키출신 독일 이민자 우구르 사힌(Ugur Sahin)이며 독일 정부로부터 연방공로십자훈장을 받았다. 2020년 코로나19 백신을 화이자(Pfizer)와 공동 개발하면서 유명세를 탔으며, mRNA 백신을 처음 발명한 커탈린 커리코(Kariko Kalin) 박사가 수석부회장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3800만명이 에이즈(AIDS) 감염을 유발하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보균자다. 지난 40년간 여러 차례 백신 임상시험이 진행됐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모더나(Moderna)는 1월 27일 HIV를 막기 위한 mRNA 백신 1차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지원자 56명은 조지워싱턴대학에서 백신 후보물질을 접종했다. 이중 48명은 백신 후보물질을 1-2차례 접종하는데, 이 가운데 32명에게는 mRNA 기술로 만든 HIV 면역항원 전달 촉진제가 투여된다. 연구진은 접종 완료 후 최대 6개월간 지원자들을 관찰하며 백신 효과를 입증할 계획이다.

 

mRNA 발전 가능성에 눈뜬 대형 제약사들은 기술 및 생산시설 확보를 위해 mRNA 기업 인수 및 합병에 나서고 있다. mRNA 백신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오면서 기술 특허를 둘러싼 법정 분쟁도 치열하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터크는 코로나 백신 출시 전인 2020년 10월 미국 바이오 벤처기업 앨리얼 마이도테크놀로지로부터 특허 침해 소송을 당했다.

 

mRNA가 의약품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최근엔 이 분야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출시됐다. 다만 mRNA 기술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즉 코로나19 백신은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하여 11개월 만에 세상에 나올 수 있었지만, 다른 백신이나 치료제의 경우 임상 시험부터 승인까지 몇 년이 걸릴 지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 바이오협회(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조사에 따르면 임상시험 제1상에 들어가는 신약이 시장에 출시되는 비율은 10%를 밑돌며, 3상 시험까지 가더라도 60%는 시장에 출시되지 못했다. 이에 mRNA도 감염병을 넘어 사용될 가능성은 있지만, 큰 도약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정부도 국산 mRNA 백신확보에 지원을 시작했다. 보건복지부는 1월 중 ‘신변종 감염병 대응 mRNA 백신 임상지원’을 공모한다. 1월에 출범하는 ‘신변종 mRNA백신 사업단’이 과제 진행을 맡는다. 올해 총 164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 과제는 신변종 감염병에 신속 대응이 가능한 민간기업 mRNA 백신 임상진입 및 시험 단계를 집중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국내에서 에스티팜, 아이진, 큐라티스가 각각 국산 mRNA 백신 도전에 나선 상태이며, 큐라티스와 아이진은 각각 1상과 1.2상을 진행 중이다. 이들 기업은 국가 지원을 받아 올해 상용화까지 도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힘든 단계인 임상단계를 정부가 지원해 상용화에 대한 기대가 높다.

 

임상시험(臨床試驗, Clinical Trial)이란 사람을 대상으로 하거나 사람에게서 추출(또는 적출)된 검체나 사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시험이나 연구를 말한다. 임상시험은 안전성을 집중 검사하는 제1상 임상시험, 유효성을 집중 검사하는 제2상, 치료적 확증을 검사하는 제3상 임상시험이 있다. 제4상 임상시험은 신약(新藥)이 시판 사용된 후 장기간의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사항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다.

 

1상은 동물실험(前임상시험)을 거친 신약을 사람에서 처음 시험하는 과정으로, 약 20-10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며, 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안전성 검토를 통해 용량 범위를 확인하고, 약물의 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2상은 신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00-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약리효과를 확인하고 적정용량의 범위 및 용법을 평가한다. 3상은 1-2상에서 효과가 확인된 후에 다수(1000-5000명)를 대상으로 효능을 최종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이며, 통계적 검증을 한다.

 

이렇게 임상시험을 하는 것은 의료법(醫療法)으로 규정되어 있다. 임상시험을 할 때는 참가할 사람을 모집해 시행하며, 임상시험은 많은 시간과 돈을 필요로 한다. 한국바이오협회(Korea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자료에 따르면, 바이오신약(新藥)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은 임상 1상 1-3년(50억원 내외), 2상 2-3년(200억원 내외), 3상 2-3년(1000억-5000억원) 등이다.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여 백신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mRNA 백신 임상지원을 비롯해 백신 관련 신규과제로 백신기반 기술개발, 신속 범용백신(universal vaccine) 기술개발, 고부가가치백신 기술개발 등을 시작한다. 이는 정부가 국가전략물자(strategic goods)로서 백신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다.


코로나 감염 요인들

댓글 0 | 조회 2,586 | 2022.06.30
20세기 인류의 목숨을 대량으로 앗아간 치명적 사건은 전쟁이 아니라 호흡기 전염병이었다. 즉, 1918년 스페인 독감(Spanish flu, 5천만명 사망 추정)… 더보기

국민 MC, 天國 노래자랑 MC로...

댓글 0 | 조회 2,420 | 2022.06.25
필자 부부는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11시 주일예배를 드린 후 연희동 소재 식당에서 오찬을 하면서 TV에서 방… 더보기

전립선암(前立腺癌)

댓글 0 | 조회 1,070 | 2022.06.11
김지하(金芝河) 시인이 1년여의 전립선암 투병 끝에 지난 5월 8일 원주시 자택에서 향년 81세로 별세했다. 유족 측에 따르면 시인은 7일부터 죽조차 먹기 힘들었… 더보기

뇌동맥류와 뇌출혈

댓글 0 | 조회 1,592 | 2022.05.26
한국 영화계 최초의 ‘월드 스타’였던 강수연(姜受延) 배우가 뇌출혈(腦出血)로 지난 5월 7일 향년 5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강수연씨는 지난 5일 서울 압구정동… 더보기

양봉(養蜂)농가의 꿀벌 실종

댓글 0 | 조회 1,837 | 2022.05.18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 전국에서 양봉농가의 벌통에서 꿀벌이 자취를 감추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양봉협회(韓國養蜂協會)가 최근 … 더보기

휘청이는 식량안보

댓글 0 | 조회 863 | 2022.05.10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식량안보가 세계 여러 나라의 현실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식량자급률(食糧自給率)이 50%를 밑도는 … 더보기

실어증(Aphasia)으로 은퇴한 ‘다이 하드’

댓글 0 | 조회 1,463 | 2022.04.23
영화 다이 하드(Die Hard, 1988), 식스 센스(The Sixth Sense, 1999) 등으로 유명한 할리우드 액션 스타 브루스 윌리스(Bruce Wi… 더보기

흙의 날

댓글 0 | 조회 759 | 2022.04.09
‘흙의 날’은 흙의 소중함과 보전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정부는 2015년에 3월 11일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했다. 3월 11일로 정한 이유는 ‘3’은 3농(농업•… 더보기

코로나19 후유증(後遺症)

댓글 0 | 조회 1,793 | 2022.03.2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진자 3명 중 1명은 발병 후 4주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치료 후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더보기

‘한국의 지성’ 故 이어령 교수

댓글 0 | 조회 1,483 | 2022.03.19
‘우리 시대 최고의 지성(知性)’ 이어령 전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2월 26일 향년 88세를 일기로 췌장암(膵臟癌) 투병 중 세상을 떠났다. 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더보기

웰에이징(Well-Aging)

댓글 0 | 조회 1,045 | 2022.03.05
사람은 부모님의 사랑으로 잉태되어 엄마의 따뜻한 자궁 속에서 10개월(280일) 동안 태교(胎敎)를 받고 이 세상에 태어난다. 출생 후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더보기

대사성질환과 간암

댓글 0 | 조회 1,360 | 2022.02.24
1984년부터 25년간 ‘가족 오락관’을 진행하며 ‘국민 MC’라고 불렸던 방송인 허참이 간암(肝癌) 증세가 악화돼 지난 2월 1일 향년 73세 나이로 별세했다.… 더보기
Now

현재 차세대 백신 플랫폼 mRNA 기술

댓글 0 | 조회 1,800 | 2022.02.19
2022년 새해를 맞이한 지도 벌써 한 달이 지나 오늘(2월 1일)은 음력 정월 초하루(Lunar New Year’s Day) ‘설’ 명절이다. 새해 결심(New… 더보기

코로나 팬데믹 3년차, 오미클론 대확산

댓글 0 | 조회 3,423 | 2022.02.14
2020년 1월 20일에 국내에서 코로나19(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첫 확진자가 나왔다. 첫 확진자는 1월 19일 인천공… 더보기

발바닥 적신호, 족저근막염

댓글 0 | 조회 2,231 | 2022.02.05
필자는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발에 관한 건강칼럼을 준비하면서 발과 발가락에 관심을 가지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思惟)의 방(Room of Quiet Con… 더보기

검은 호랑이의 해

댓글 0 | 조회 923 | 2022.01.22
2022년 임인년(壬寅年) 호랑이의 해가 힘차게 솟아올랐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의로운 이를 수호하고 잡귀를 물리치는 영물(靈物)로 여겨… 더보기

비만은 질병이다

댓글 0 | 조회 1,254 | 2022.01.08
“나 살쪘지?” 아내가 걱정하며 체중계 위로 올라간다. 저울의 숫자에 충격을 받은 아내는 싫다는 남편을 데리고 운동을 나간다. 그리고 집에 들어오자마자 “안 빠졌… 더보기

높은 코로나 확진•위중증•사망

댓글 0 | 조회 3,632 | 2021.12.27
코로나19 확진자로 재택 치료를 받던 30대 임신부(姙娠婦)가 병원 병상을 배정받지 못해 119 구급차 안에서 출산(出産)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집에 머무는 코로… 더보기

방역패스와 추가접종

댓글 0 | 조회 2,772 | 2021.12.18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아래 사항을 꼭 지켜주세요! 21년 11월 15일부터 정부 방역 정책으로 백신 접종을 완료하지 않으신 분은 휘트니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더보기

코로나19 시대, 당뇨병 관리

댓글 0 | 조회 1,700 | 2021.12.04
“미국의 가장 훌륭하고 충성스러운 군인”으로 칭송받던 콜린 파월(Colin Powell, 1937년생) 전 국무장관(2001-2005)이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지… 더보기

탈모증(脫毛症)

댓글 0 | 조회 1,388 | 2021.11.20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인 가을이 깊어가고 있다. 기상학적으로는 보통 9-11월을 가을(autumn)이라고 하나, 천문학적으로는 추분(秋分, 9월 23일경)부터… 더보기

‘전신면역질환’ 건선(乾癬)

댓글 0 | 조회 1,365 | 2021.11.17
매년 10월 29일은 세계건선협회연맹(IFP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soriasis Associations)이 지정한 세계 건선의… 더보기

먹거리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댓글 0 | 조회 1,339 | 2021.11.06
10월 1일은 국제채식인연맹(International Vegetarian Union)이 정한 ‘세계 채식인의 날(World Vegetarian Day)’이며, 1… 더보기

위드 코로나와 코로나 치료제

댓글 0 | 조회 2,314 | 2021.10.23
방역 당국이 단계적 일상 회복(With Corona)이 시작되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처음 언급했다. 즉,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 더보기

심혈관질환

댓글 0 | 조회 1,554 | 2021.10.18
“17 MILLION CVD DEATH PER YEAR, 80% PREVENTABLE” (매년 전 세계에서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