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에 대한 고찰 하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결혼에 대한 고찰 하나

0 개 2,528 한얼
결혼. 고민은 많이 해보지 않았고, 생각도 그다지 해본 적은 없지만 궁금한 것이긴 하다.

개인적으로는 결혼이란 제도 자체가 사회의 산물이라고 생각하여 회의적인 편이긴 하지만 (세상에 어떤 인간이 연애 관계에 정부와 법률을 관련시키자는 생각을 했담?) 일종의 필요악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가는 것이다. 하긴, 옛날 옛적엔 굳이 좋아서 결혼한다기 보단 필요하니 했을 테고, 감정이 없다 보면 법적으로라도 유효성을 인정받고 보호받아야 했을 테니까.

굳이 그렇게 구구절절이 생각하지 않더라도 물론 낭만적인 요소도 분명 있긴 하다. 사람들에게 반려를 소개하고 사랑을 맹세한다는 것, 거기에 새하얀 드레스와 꽃들과 특별함.

확실히, 결혼은 특별하다. 신혼 부부에게도, 황혼에 접어든 부부들에게도 모두 느껴지는 무언의 확신감이랄까, 자신감--서로가 서로에게 필연적으로 얽혀 있고, 속해 있다는, 신뢰에 가장 가까운 무언가 (신뢰는 결코 아니다. 나는 그렇게 느낀다. 서로가 서로를 온전히 신뢰하는 부부는 아직까지 본 적이 없다).

나 개인으로서는 결혼을 하고 싶은 마음이 별로 없다. 첫 이유로는 혼자 있는 것이 너무도 편하고, 두 번째로는 결혼을 한 후 행복에 충만해 보인 부부들이 내 주변엔 그다지 없었기 때문이다. 내 부모님만 봐도 그렇다. 두 분은 서로에게 충실하지만, 난 그들이 순수하게, 서로의 존재로 있어 행복해 한다고 느낀 적은 한 번도 없다. 그것만으로도 가정은 충분히 유지되지만 어디까지나 의무적, 함께 해온 시간으로 비롯되어 축적된 감정의 무게만 느껴질 뿐, 그 이상은 거의 감지하지 못했다. 어쩌면 그저 내가 부모로서의 두 분만 보고, 부부로서의 두 분은 본 적이 없어서 그런 건지도 모르겠지만.

그 외에 주변에 있는 부부라곤 전부 친척들 뿐인데, 나이 있는 어른들은 모두 내 부모님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거나, 아니면 지나치게 불균형적인 관계인 지라 ‘결혼은 곧 행복이다’라는 그네들의 지론에 지대한 불신을 품게 만든다. ‘결혼하면 좋아, 꼭 해야 해’ 라지만, 오히려 그런 그들이 더욱 불편해 보이는 건 왜일까. 누구 말마따나 자기만 불행하긴 뭣하니 남도 불행해 보라는, 그런 삐딱한 심산인 건 아닐까, 하는 의심마저 든다.

주변엔 나와 동갑이면서 결혼한 지인만 벌써 세 명이 넘어가고, 온라인에서 가끔씩 보이는 그들의 소식은 하나같이 행복한 것 뿐이다.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설령 불행하더라도, 그것을 남들 보이는 곳에 떡하니 펼쳐놓고 싶진 않겠지. 결혼이란 확신이자 동시에 일종의 자랑이기도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봐, 나는 생의 20여 년을 전혀 달리 산 타인과도 이만큼이나 헌신하며 이만큼이나 잘 살 수 있어, 라고 하는 것 같은. 결혼해서 불행한 이도, 결혼한 상대를 불행하게 만드는 이도 모두 그만큼 철이 덜 든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럼 당연히 다르겠지, 어떻게 같겠어?

결혼하지 않고서도 사실혼이나 다름 없는 상태에서 동거하고 아이를 낳으며 살아가는 이들도 많이 보았다. 그들도 특별히 결혼한 이들만큼 행복해 보이지도, 불행해 보이지도 않았다. 결혼한 부부들 특유의 자신감은 없을 지라도 대신 그들에겐 하나 같이 온화한 느낌이 있었다. 이것 또한 지나갈 지 모른다, 라는, 그렇기에 소중히 여긴다는 그런 애틋함. 그런 만큼 미련 없이 헤어지고 갈라지고, 또 금세 남남이 되어버리는 것을 조금은 덧없다고 여기면서도.

기실, 결혼이든 뭐든 간에 서로 사랑하는 마음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 아닐까. 그렇게 생각하고, 그렇게 되는 것이 당연하면서도 인생사는 늘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걸, 결혼한 사람들을 보면 느낀다.

꿈 - 항상 졸리게 만드는 것

댓글 0 | 조회 1,485 | 2014.11.26
꿈을 자주 꾼다. 이틀이나 사흘에 한 번 정도. 원래 인간들은 대체로 거의 매일 꿈을 꾸고, 기억을 못 하는 것뿐이라고들 하는데 그게 사실이라면 정말 다행일 것이… 더보기

이사- 익숙해져야만 하는 것

댓글 0 | 조회 1,814 | 2014.12.10
이사를 가게 되었다. 간단히 말하자면. 좀 더 길게 설명하자면, 한국에서 머무는 동안에 거처를 옮기게 된 것이다. 살고 있던 집에서 할머니 댁으로, 그리고 이곳에… 더보기

조용한 크리스마스

댓글 0 | 조회 1,022 | 2015.01.14
크리스마스는 새해와 함께 별 일 없이 조용히 지나갔다. 다행스럽게도. 행사들을 싫어하는 편이고, 기념일은 매번 잊어버리는 유형의 사람인지라 솔직히 말하자면, 내게… 더보기

운동 - 피할 수 없다면 즐겨야 하는

댓글 0 | 조회 2,044 | 2015.01.29
운동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운동을 한 후의 기분은 매우 좋아한다. 끈적하거나 덥다거나 하는 걸 얘기하는 게 아니다. 성취감. 뭔가를 해냈다는 그 고양감. 그 묘한… 더보기

건망증 - 잊어도 되는 것과 잊으면 안 되는 것

댓글 0 | 조회 2,147 | 2015.02.10
건망증이 심한 편이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조금만 산만해지면 뭐든지 간에 금방 잊어버려서 곤란할 때가 많다. 그렇다 보니 이래저래 무얼 하든, 무슨 말을 듣건… 더보기

정원 - 꽃과 나무와 책임

댓글 0 | 조회 1,585 | 2015.02.25
누구에게나 그렇겠지만 정원일은 매우 피곤하다. 특히 정원이나 원예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면 더욱. 꽃을 좋아하긴 하지만 가꾸거나 키우는 것은 싫어하고, 과수원에 … 더보기

주말 - 혼자만의 여유

댓글 0 | 조회 1,586 | 2015.03.10
주말은 조용하게 보내는 편이다. 조용하게, 그리고 혼자서. 거기에 딱히 하는 일도 없는 것처럼 여유롭기까지 하면 금상첨화다. 가끔은 친구들과 만나거나 놀러 나가는… 더보기

체육관-운동과 친숙함의 관계

댓글 0 | 조회 1,420 | 2015.03.25
언제 가도 체육관은 똑같다. 같은 조명에 같은 배경, 같은 음악. 그렇기에 마치 제 2의 집 같은 느낌도 든다. 심지어 늘 느껴지는 냄새마저도 똑같으니, 정겹지 … 더보기

생일 - 이정표, 기념일, 생존기

댓글 0 | 조회 1,314 | 2015.04.15
생일이 지났다. 해가 갈 수록 나이를 먹는 것이 점점 빠르게 체감되어 안타까웠다. 어렸을 적엔 생일이 아주 즐겁고, 매년 손꼽아 기다리곤 하는 연중 하이라이트였는… 더보기

Sweater Weather

댓글 0 | 조회 1,395 | 2015.04.29
시간은 가을이지만 계절은 가을과 겨울의 중간쯤 되는 과도기가 다시 찾아왔다. 이른바 스웨터의 계절(sweater weather)인 것이다. ‘스웨터의 계절’. 정… 더보기

시- 작고 즐거운 조각들

댓글 0 | 조회 1,458 | 2015.05.13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소소한 방법들 중엔 시 외우기가 있다. 물론 많이는 아니고, 그저 아주 좋아하는, 항상 기억하고 있으면 행복해지는 시 한두 개 정도. 로버트… 더보기

문신-지극히 개인적인 암호

댓글 0 | 조회 1,495 | 2015.05.26
뉴질랜드는 한국에 비교하면 문신을 새긴 사람들이 유독 많다. 더 분방하고 개성을 중요시하는 문화 때문일까. 특히 여름날에 길거리를 걷다 보면 문신이 있는 사람보다… 더보기

일터 - 첫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1,231 | 2015.06.10
내가 일하는 곳은 만물상이다. 적당한 크기에 어마어마하게 많은 물건들이 한가득 쌓여 있고, 찾아오는 손님들은 어린 아이들에서부터 나이든 할아버지까지 다양하다. 찾… 더보기

일터 - 두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1,175 | 2015.06.24
전 연재분의 마지막을 손님 이야기를 하며 마쳤으니, 이번에도 손님들 이야기로 시작하는 게 나을 것 같다. 가장 대하기 어려운 류의 손님이랄까, 제일 꺼리는 방문객… 더보기

혼자라는 것

댓글 0 | 조회 1,548 | 2015.07.14
고독이라는 것에 대해서 자주 생각하곤 한다. 정확히는, 혼자라는 것에 대해서. 다소 포괄적이고 설명하기 힘든 생각이긴 하지만 기본 개요는 그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더보기

장례식 - 안녕, 그리고 고마웠어요

댓글 0 | 조회 1,668 | 2015.07.28
살면서 장례식에 가본 적은 딱 두 번이었다. 하나는 아주 오래 전, 하나는 비교적 최근. 처음으로 갔던 장례식은, 사실 누구의 죽음이었는지 잘 기억도 나지 않는다… 더보기

고양이 - 도도한 애교쟁이

댓글 0 | 조회 1,580 | 2015.08.13
고양이를 키울까 고민 중이다. 얼마 전부터. 실은, 몇 년째. 작고 귀엽고 깜찍한 동물도 좋아하지만 그보단 좀 더 커다란 쪽이 취향인 탓에 고양이도 큰 대형묘를 … 더보기

가장 짧지만 긴 그 순간

댓글 0 | 조회 1,382 | 2015.08.27
길을 걷다가, 또는 슈퍼마켓에 갔다가 아는 사람과 마주칠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매번 반갑다기보다는 당혹스럽다. 마주치는 그 한 순간만큼은 인생에서 제일 거북한 … 더보기

감기 - 불쾌한 잠복 동거

댓글 0 | 조회 1,811 | 2015.09.10
매년 거쳐가는 연례 행사로는 감기가 있다. 누구나 그럴 거라고 생각한다. 일 년에 두 번쯤 와버리는 불청객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 더보기

요리 - 피할 수 없는 사소함

댓글 0 | 조회 1,293 | 2015.09.24
먹고 살기 위해 필수적인 것 하나: 요리. 요리를 잘 하냐고 묻느냐면 그저 그렇다고 답한다. 좋아하느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답할 것이다. 굳이 소질이 있지는 않아… 더보기

추석 - 해마다 돌아오는 명절

댓글 0 | 조회 1,970 | 2015.10.15
한민족의 대명절 중 하나는 추석이다. 뉴질랜드에 사는 한국인들에게는 해당되는 사항이 별로 없겠지만. ......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런 나는 아무래도 너무 차가웠… 더보기

장신구 - 사랑(받는 여자)의 표식

댓글 0 | 조회 1,820 | 2015.10.29
보석은 사랑 받은 여자의 일생을 상징한다. 그런 말을 읽은 것이 에쿠니 가오리였던가, 아니면 다른 작가의 책이었던가. 출처는 잘 기억나지 않지만 무척 인상에 깊게… 더보기

현재 결혼에 대한 고찰 하나

댓글 0 | 조회 2,529 | 2015.11.12
결혼. 고민은 많이 해보지 않았고, 생각도 그다지 해본 적은 없지만 궁금한 것이긴 하다. 개인적으로는 결혼이란 제도 자체가 사회의 산물이라고 생각하여 회의적인 편… 더보기

눈물에 대한 생각 몇 가지

댓글 0 | 조회 2,036 | 2015.11.26
눈물이 헤픈 편이다. 사소하고 별 것 아닌 자극에도, 조금만 감정이 북받쳐 올라도 목소리가 먼저 떨리고 바로 눈 앞이 흐려질 만큼. 감정적이라고 부르는 게 더 옳… 더보기

이빨 - 얻기 위해 잃어야 하는 것

댓글 0 | 조회 3,014 | 2015.12.10
아침밥을 먹다가 이빨이 깨졌다. 정말 어처구니 없었다. 나름 건치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오만이었던 걸까. 잠깐 아연할 만큼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딱딱한 걸 먹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