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격동의 한 해가 예상된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017년, 격동의 한 해가 예상된다

0 개 1,773 정윤성

e81121578c1505f639220f4264a89373_1484003452_3464.jpg

1, 환경변화가 예상되는 여러가지 국제적 이슈 

 

2017년은 뉴질랜드와 한국은 선거를 치러야 한다. 존키 전수상이 물러남에 따라 빌 잉글리쉬 내각이 출범하면서 올해는 광범위한 영역의 발전을 위한 정책이 제시될 예정이다. 특히 부동산을 비롯한 이자율, 환율, 보험, 이민 정책 등의 정치적 현안과 함께 변화하는 중국과의 관계 및 환경문제 등에 관련 정책 변화가 예상되며 특히 미대통령인 트럼프의 경제정책, 그리고 중동문제와 무역장벽 등은 지금까지 보고 겪었던 그 어느 해 보다도 극한 양상이 예상되고 있다.  문제는 그 어느 해 보다 예측이 어렵다는 것이다.  뉴질랜드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에게는 한국의 변화에도 예민할 것이다. 현재 진행중인 대통령 탄핵으로 정치와 경제는 혼란스럽다. 이 와중에 미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에 대한 대외적 관계의 변화와 상충되는 대립은 대화나 협상으로 쉽게 해결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트럼프의 보수적이고 이기적인 미국만을 위한 정책은 세계의 각국 정치경향으로 확산되고 있는 중이다. 영국의 Brexit의 시작으로 일본과 중국은 자국의 경제 살리기에 전력투구 중이다. 이에 따른 국가별 영토 분쟁과 종교간 갈등 심화 그리고 국가간 경제와 인종간 갈등 등으로 전쟁발발의 가능성과 분쟁의 심화도 예상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 침체의 가장 큰 희생자들은 각 국의 민중들이었다. 경제 개방의 수혜자는 늘 기업과 부자들의 재산을 늘게 했지만 반면에 실업률의 증가와 생활비 상승은 일반 시민들을 분노하게 만들었고 빈부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신 고립주의를 표방하는 각국의 경제 정책은 지금까지 우리가 보고 배웠던 경제를 발전시키고자 무역장벽을 제거해 나가던 기존 정책의 실패를 의미하기도 한다. 

 

현재 미국 자동차 제조업의 재기는 화려하다. 트럼프의 정책과 더불어 포드와 GM의 매출은 역사적 기록을 갱신하고 있으며 테슬라의 발전 속도는 그 어느 업체보다도 빠르다. 연초에 화두가 된 미국을 포함한 북미시장을 겨냥한 토요다 멕시코 공장 설립은‘트럼프의 국경세’로 인해 좌초될 위기에 처해 있으며 포드사의 멕시코 공장 설립 계획도 취소 예정이다. 유대교, 그리스도교 및 이슬람의 성지이면서 소유권 분쟁지역인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영토로 천명한 트럼프때문에 중동은 전운이 감돌고 있으며 중동전쟁으로 인한 미국의 경제적 수익(?)은 계산 중에 있다. 중동전으로 인한 오일 생산 감소로 미국의 세일개스의 수출 증대와 골드만 삭스와 JP Morgan 등 미 투자은행들의 오일 관련 투자이익의 상승은 그 첫번째 수혜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 뉴질랜드 금융과 부동산 전망

 

예상되는 뉴질랜드도 변화 중 우리에게 민감한 이자율은 지난 해 하반기부터 필자는 여러차례 인상기조가 강해지고 있음을 알리고 있는 중이다. 미 이자율 변화의 직접 영향권안에 있는 뉴질랜드 입장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미국 경제 정책의 변화를 예의 주시해야 하는 상황이며 연준금리는 좀 더 빠른 속도로 인상을 예상하고 있음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 

 

ANZ의 경제 수석 연구원인 카메론씨는 1월 6일 비지니스 헤랄드 머릿기사에서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은 마치 밤 12시 경의 술집에 비유하면서 그는 새벽 4시까지 마실건지 집에 갈건지를 결정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표현했다. BNZ의 수석 연구원인 토니씨도 현재 부동산 시장은 조용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이자율, 증가중인 이민자와 부동산 수요, 은행 자금의 부족으로 인한 주택개발의 감소 등이 잠재되어 있다고 밝히면서 2월부터 시작하는 부동산 시장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다수의 금융 전문가들은 이자율 인상으로 부채비율이 높은 부동산 투자자들에게 경고의 메세지를 전하면서 시중 은행들의 이자율이 상승 국면에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3, 맺으며

 

지난해 5월경 뉴욕 타임즈지 커버에 ‘How to save Capitalism’ 이라는 기사가 연재되었다. 자본주의의 발전은 결국 자본가들을 위한 발전으로 치달으며 세계의 시민들은 공정하지 않은 분배에 불만이 증폭되고 있으며 경기 침체는 좀처럼 회복이 되질 않고 있다. 늙어 빠진 자본주의를 누가 구할 것인가?  결국 우리가 우리의 가진 능력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다.

 

지난해 뉴질랜드는 세계은행(WB)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사업하기 좋은 나라 1위! 영국의 세계 정치 경제 연구소에서 지정한 세계에서 살기 좋은 나라 1위! 로 선정되었다. 우리는 이렇게 최고의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 의미는 어느 국가의 국민들 보다도 격동하는 현 정세에서 좋은 위치에 서 있다는 것이다.  희망을 가지고 더 넓은 마음으로 한번 살아 볼 만한 2017년의 시작! 그 어떤 환경에서도 우리는 행복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행복이란 내가 선택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다짐해 본다.

 

약세로 돌아선 뉴질랜드 달러, 왜?

댓글 0 | 조회 2,875 | 2017.08.08
올해 연초, 미 대통령 첫 1사분기가 시작되던 그 때 우리 모두는 미달러의 상승을 의심하지 않았다. 트럼프 효과로서 각종 경기 부양책과 일자리, 투자 유치 등의 … 더보기

부동산 투자 적절한 시기인가?

댓글 0 | 조회 2,061 | 2017.07.25
오클랜드를 비롯한 여러지역으로 부동산 불경기가 확산되고 있다. 물론 지역별로 소폭 오름세가 있는 곳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위축되어 가고 있음을 부동산옥션장을 가면 … 더보기

고 이자율 시대 다시 오나?

댓글 0 | 조회 2,082 | 2017.07.11
ASB 은행이 지난 주 2,4,5년 고정 이자율을 일제히 인상했다. 은행들이 지난 분기에 인상을 단행한 후, 중앙은행의 고시이자율은 변동이 없었으나 시중 금리는 … 더보기

낮아지는 실업률

댓글 0 | 조회 1,958 | 2017.05.09
■ 실업률 4.9%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 올라가기만 하던 실업률이 2009년 이후 지난 8년간 통계중 가장 낮은 4.9%까지 떨어졌다.이 영향으로 인해 뉴… 더보기

2017 인플레이션 예상보다 높다

댓글 0 | 조회 1,720 | 2017.04.26
새해라고 말한지가 어제 같은데 벌써 분기가 훌쩍 지나 가을인 4월말이다. 뉴질랜드 통계청에서 올해 첫분기의 CPI (Consumer Price Index)지수가 … 더보기

이자율 올리는 은행, 내리는 은행

댓글 0 | 조회 2,728 | 2017.04.11
웨스트팩 은행은 지난 주 6일자로 변동 이자율을 5.84%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지난번과 비교하면 0.09% 올렸는데 올해 2월에 0.1% 인상 이후 두번째이다… 더보기

융자 어려운 주택

댓글 0 | 조회 2,906 | 2017.03.08
요즈음 부동산 시장을 보면 향후 긍정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누가 맞고 틀린 것이 있는 것은 없다. 다만 그 이론의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 더보기

은행대출이 까다로워진 진짜 이유

댓글 0 | 조회 2,506 | 2017.02.22
요즈음 렌트비 인상관련 기사를 가끔 본다. 렌트비가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이유는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인데 수요 증가의 주요 원인 두가지만 설명하자면 줄지 않는 … 더보기

기준 금리 천천히 올린다

댓글 0 | 조회 2,316 | 2017.02.09
지난 2월 1일 약세로 가고 있는 미달러와 호전되는 실업률 그리고 상승국면인 원유가의 뒷받침, 게다가 트럼프의 보호무역 우려 확장으로 인한 미달러의 약세 등에도 … 더보기
Now

현재 2017년, 격동의 한 해가 예상된다

댓글 0 | 조회 1,774 | 2017.01.10
1, 환경변화가 예상되는 여러가지 국제적 이슈2017년은 뉴질랜드와 한국은 선거를 치러야 한다. 존키 전수상이 물러남에 따라 빌 잉글리쉬 내각이 출범하면서 올해는… 더보기

미금리 인상, 무엇을 해야 하나?

댓글 0 | 조회 2,813 | 2016.12.21
■ 금리인상 배경지난 15일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그리고 미달러와 상대 화폐들의 가치는 하락하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2%를 밑돌고 … 더보기

주택시장을 잠재울 융자정책

댓글 0 | 조회 3,518 | 2016.12.07
■ 부동산 개발의 현장언제 한번 뉴질랜드 주택이 충분히 공급되었다는 소식을 접해 본적이 없다. 그리고 요즈음 같이 주택이 부족한 적도 없다. 그래서 주택 보급 계… 더보기

생애 첫집에 필요한 ‘DEPOSIT’ 준비

댓글 0 | 조회 2,269 | 2016.11.22
‘First Home Buyer’는 대부분 비슷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수입은 적정 수준에 도달되어 있으면서도 ‘Deposit’ 준비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 더보기

생애 첫주택 구매를 하려면

댓글 0 | 조회 3,021 | 2016.11.08
이번주부터 ASB은행을 필두로 장기 이자율이 오르고 있다. 필자의 2주전 칼럼에서 언급했던 분위기가 예상보다는 빨리 온다는 느낌이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 더보기

이자율 오를 수 있다

댓글 0 | 조회 2,337 | 2016.10.26
요즈음 세계 금융 동향이 심상치 않다. 금융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는 이 시기, 향후 세계 금융환경의 변화는 해외 자본으로 움직이는 뉴질랜드 금… 더보기

무서운 사람들

댓글 0 | 조회 1,998 | 2016.10.12
몇달전 가볍게 계획한 베트남 여행을 지금 하고 왔다. 참 더운 나라다. 시원해도 30도 이상이다. 충분히 차갑게 보이는 호텔 수영장은 늘 생각보다는 따뜻했다. 건… 더보기

클레임 끝까지 도와야 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603 | 2016.09.29
뉴질랜드 기업들의 고객 서비스를 자세히 들여다 필자가 늘 언급했던 ‘되는대로 하다가 콤플레인 들어 오면 그 케이스만 좀 더 빨리 해주는 방식’이다. 오래전 칼럼의… 더보기

어려워지는 융자, 주택개발 계획 차질 우려

댓글 0 | 조회 2,139 | 2016.09.14
Property Council의 리더인 Connal Townsend는 최근 은행 융자의 문턱이 높아가는 현실을 보며 오클랜드시의 주택 부족 해소를 위한 주택 개발… 더보기

최근 뉴질랜드 금융 동향

댓글 0 | 조회 2,285 | 2016.08.24
■ 새로운 융자제한 정책 시행 연기8월 11일 중앙은행의 OCR인하시점에 맞춰 7월에 부동산 투자시 융자 한도를 낮추는 융자제한 정책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 더보기

음식 쓰레기 재사용, 무엇이 문제인가?

댓글 0 | 조회 2,265 | 2016.08.10
다음 글은 위생적으로 운영하시는 업체와는 무관함을 알립니다.누군가 음식을 먹고 떠난 자리.. 차려진 반찬이 깨끗하게 남겨져 있다면 재사용이 가능한가? 분명 그렇지… 더보기

내려가는 이자율과 급변하는 융자정책

댓글 0 | 조회 2,186 | 2016.07.27
지난 주는 금융과 부동산 관련 정책의 큰 정점을 찍었던 한주였다. 몇가지 변경되는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면1. 중앙은행의 60% LVR정책8월 한달 동안 의견 수렴… 더보기

부동산 버블과 이민자

댓글 0 | 조회 2,322 | 2016.07.13
■ 중앙은행의 부동산 시장 대책Grant Spencer(뉴질랜드 중앙은행의 부총재)가 어제 발표한 부동산 관련 정책 방향은 크게 투자용 부동산에 대해 융자를 제한… 더보기

뉴질랜드 Multi-Million 융자 사기

댓글 0 | 조회 2,427 | 2016.06.22
지난 주 뉴질랜드의 중앙 일간지 및 TVNZ 등 주요 언론과 호주언론에서 일제히 오클랜드의 융자 사기범 47세 Eli Devoy라는 이란 여성이 오클랜드 지방법원… 더보기

계약보다 중요한 해약

댓글 0 | 조회 1,552 | 2016.06.08
대부분의 사람들은 살아 가면서 수많은 계약을 하면서 살아 간다. 특히 이러한 계약의 문화는 아시아 보다는 유럽에서 더욱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되어 왔다. 모든 … 더보기

Mr Huff 와 부동산 시장

댓글 0 | 조회 1,454 | 2016.05.25
가끔 막내에게 책을 읽어 주곤하는데 어제는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 온 책을 읽어 달라고 해서 보니 책 제목이 ‘Mr Huff’ 라고 되어 있었다. 이제 가을에 접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