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금리 인상, 무엇을 해야 하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미금리 인상, 무엇을 해야 하나?

0 개 2,813 정윤성

8dfd17994b0bf0ceeff485374133ea22_1482298807_6816.jpg

■ 금리인상 배경

 

지난 15일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그리고 미달러와 상대 화폐들의 가치는 하락하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2%를 밑돌고 있는데도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금리 인상폭은 기존의 0.25%~0.50% 에서 0.50~0.75%로 0.25%를 인상했는데 작년의 인상 시기와 비슷한 시기를 선택했다. 이번 미금리 인상으로 미 주가는 강한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는데 큰폭으로 하락한 주식들 중 하나가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엑손 모빌사이다. 

 

흥미로운 것은 엑손 모빌사의 최고경영자인 렉스 틸러슨은 이번 트럼프 내각의 외교 안보 사령탑인 차기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인물이다. 미대선중 트럼프 차기 미대통령은 연준의장 엘렌의 저이자율 정책이 오마바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비난을 해왔던 것을 생각해보면 이제 정치적인 입장에서 보아도 이자율 인상으로 인한 연준의 정치적 부담은 사라진 셈이다. 

 

필자의 지난 칼럼에서도 설명한 바 있지만 미금리 인상 정책은 줄여 말한다면 Global Financial Crisis(이하 GFC)이후 줄 곧 시행하였던 저이자율과 양적완화라는 금융 정책 실패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소비증대와 기업육성을 위해 초저금리로 방출된 화폐와 신용확장의 결과, 일본에서는 개인들의 금고로 숨어 버렸고 미국을 비롯한 그 외 국가들에서는 생산적인 투자가 이닌 기존 부동산과 주식 등의 과열에 의한 거품을 양산하는 상황이 되고 있었다. 향후 미금리는 2017년 계속해서 세차례 인상 할 것으로 옐렌이 발표했는데 차기 미대통령 트럼프의 선거공략인 국내 산업의 육성과 배치되는 상황.  

 

금리인상으로 인한 미화폐 가치 상승은 지금까지 조심조심 잘 키워놓은 미국내산업의 수출력 악화로 이어질 것이고 미국내로 기업을 유치하려는 그의 미국살리기 정책과 상반되는 형국이라 문제가 충분히 예상된다. 연준은 금리 인하정책의 여유공간을 더 만들어 향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GFC를 준비해야 하며 양적 완화의 부작용인 주식과 부동산 시장의 거품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계획하고 있지만 불길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것은 이미 인상 시기를 놓쳤다는 금융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다는 것이다. 

 

■ 무엇을 준비할까?

 

이미 뉴질랜드 달러는 미달러 대비 하루만에 2.5% 하락해 70.20c 까지 하락해 60c 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제 예상이 아니라 예정되어 있는 미금리 인상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자본들의 미국행을 예상해야 한다. 계속 오를 미달러 고공행진은 뉴질랜드에서 보면 국내기업은 수출력 증대와 관광과 유학의 특수가 예상되지만 소비자 물가인상으로 이어져 저성장 고물가의 어려움도 예상되며 국내 자본유출과 국제금리 인상으로 인한 시중금리 동반 상승도 예정되어 있는 셈이다. 지금부터 수입업을 하는 업체라면 고정환율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하며 융자 재고정이 다가 온다면 장기 고정을 추천한다. 

 

ANZ, BNZ, WESTPAC 등 은행들은 60일전에 이자율 예약이 가능하고 ASB는 5~7주 전에 가능하다. 참고할 것은 예약을 해지하는 경우에 비용이 발생한다. 현재 시점에서 당분간 이자율 인하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시중 은행들의 융자 환경을 보면 점차적으로 ‘Interest Only’ 보다는 이자함께 원금 상환을 권장 또는 조건이 되어 가고 있다. 

 

■ 맺음말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 경제와 정치상황의 불안감은 가중되고 있는데 뉴질랜드는 평화로워 보이기만 하다. 그러나 빛의 속도로 자금이 옮겨다니는 세계 금융 환경에서 안전지대는 없어 보이며 하루가 다르게 가격이 치솟던 부동산은 재조정기를 맞고 있다. 가족이 꼭 거주해야 하는 첫집 장만이라면 때를 가릴 것은 없지만 은행 모게지를 끝까지 끌어 내어 투자용 물건을 구입하는 건 고려해야 할 일이다.  다사다난했던 병신년은 가고 밝아 오는 2017 정유년! 필자가 뉴질랜드 이민 온 이후 22년 중 그 어느 해 보다도 지혜롭게 살아야 되는 해라고 스스로 반문해 본다.

 

한 해 필자의 졸필을 읽어 주신 독자님들께 감사드리며 새해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독자님들의 가정에 늘 평화로움이 가득하시길 진심으로 기원드리며.  

 

약세로 돌아선 뉴질랜드 달러, 왜?

댓글 0 | 조회 2,875 | 2017.08.08
올해 연초, 미 대통령 첫 1사분기가 시작되던 그 때 우리 모두는 미달러의 상승을 의심하지 않았다. 트럼프 효과로서 각종 경기 부양책과 일자리, 투자 유치 등의 … 더보기

부동산 투자 적절한 시기인가?

댓글 0 | 조회 2,061 | 2017.07.25
오클랜드를 비롯한 여러지역으로 부동산 불경기가 확산되고 있다. 물론 지역별로 소폭 오름세가 있는 곳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위축되어 가고 있음을 부동산옥션장을 가면 … 더보기

고 이자율 시대 다시 오나?

댓글 0 | 조회 2,082 | 2017.07.11
ASB 은행이 지난 주 2,4,5년 고정 이자율을 일제히 인상했다. 은행들이 지난 분기에 인상을 단행한 후, 중앙은행의 고시이자율은 변동이 없었으나 시중 금리는 … 더보기

낮아지는 실업률

댓글 0 | 조회 1,958 | 2017.05.09
■ 실업률 4.9%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 올라가기만 하던 실업률이 2009년 이후 지난 8년간 통계중 가장 낮은 4.9%까지 떨어졌다.이 영향으로 인해 뉴… 더보기

2017 인플레이션 예상보다 높다

댓글 0 | 조회 1,720 | 2017.04.26
새해라고 말한지가 어제 같은데 벌써 분기가 훌쩍 지나 가을인 4월말이다. 뉴질랜드 통계청에서 올해 첫분기의 CPI (Consumer Price Index)지수가 … 더보기

이자율 올리는 은행, 내리는 은행

댓글 0 | 조회 2,728 | 2017.04.11
웨스트팩 은행은 지난 주 6일자로 변동 이자율을 5.84%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지난번과 비교하면 0.09% 올렸는데 올해 2월에 0.1% 인상 이후 두번째이다… 더보기

융자 어려운 주택

댓글 0 | 조회 2,907 | 2017.03.08
요즈음 부동산 시장을 보면 향후 긍정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누가 맞고 틀린 것이 있는 것은 없다. 다만 그 이론의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 더보기

은행대출이 까다로워진 진짜 이유

댓글 0 | 조회 2,506 | 2017.02.22
요즈음 렌트비 인상관련 기사를 가끔 본다. 렌트비가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이유는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인데 수요 증가의 주요 원인 두가지만 설명하자면 줄지 않는 … 더보기

기준 금리 천천히 올린다

댓글 0 | 조회 2,316 | 2017.02.09
지난 2월 1일 약세로 가고 있는 미달러와 호전되는 실업률 그리고 상승국면인 원유가의 뒷받침, 게다가 트럼프의 보호무역 우려 확장으로 인한 미달러의 약세 등에도 … 더보기

2017년, 격동의 한 해가 예상된다

댓글 0 | 조회 1,774 | 2017.01.10
1, 환경변화가 예상되는 여러가지 국제적 이슈2017년은 뉴질랜드와 한국은 선거를 치러야 한다. 존키 전수상이 물러남에 따라 빌 잉글리쉬 내각이 출범하면서 올해는… 더보기
Now

현재 미금리 인상, 무엇을 해야 하나?

댓글 0 | 조회 2,814 | 2016.12.21
■ 금리인상 배경지난 15일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그리고 미달러와 상대 화폐들의 가치는 하락하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2%를 밑돌고 … 더보기

주택시장을 잠재울 융자정책

댓글 0 | 조회 3,518 | 2016.12.07
■ 부동산 개발의 현장언제 한번 뉴질랜드 주택이 충분히 공급되었다는 소식을 접해 본적이 없다. 그리고 요즈음 같이 주택이 부족한 적도 없다. 그래서 주택 보급 계… 더보기

생애 첫집에 필요한 ‘DEPOSIT’ 준비

댓글 0 | 조회 2,269 | 2016.11.22
‘First Home Buyer’는 대부분 비슷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수입은 적정 수준에 도달되어 있으면서도 ‘Deposit’ 준비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 더보기

생애 첫주택 구매를 하려면

댓글 0 | 조회 3,021 | 2016.11.08
이번주부터 ASB은행을 필두로 장기 이자율이 오르고 있다. 필자의 2주전 칼럼에서 언급했던 분위기가 예상보다는 빨리 온다는 느낌이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 더보기

이자율 오를 수 있다

댓글 0 | 조회 2,337 | 2016.10.26
요즈음 세계 금융 동향이 심상치 않다. 금융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는 이 시기, 향후 세계 금융환경의 변화는 해외 자본으로 움직이는 뉴질랜드 금… 더보기

무서운 사람들

댓글 0 | 조회 1,998 | 2016.10.12
몇달전 가볍게 계획한 베트남 여행을 지금 하고 왔다. 참 더운 나라다. 시원해도 30도 이상이다. 충분히 차갑게 보이는 호텔 수영장은 늘 생각보다는 따뜻했다. 건… 더보기

클레임 끝까지 도와야 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603 | 2016.09.29
뉴질랜드 기업들의 고객 서비스를 자세히 들여다 필자가 늘 언급했던 ‘되는대로 하다가 콤플레인 들어 오면 그 케이스만 좀 더 빨리 해주는 방식’이다. 오래전 칼럼의… 더보기

어려워지는 융자, 주택개발 계획 차질 우려

댓글 0 | 조회 2,139 | 2016.09.14
Property Council의 리더인 Connal Townsend는 최근 은행 융자의 문턱이 높아가는 현실을 보며 오클랜드시의 주택 부족 해소를 위한 주택 개발… 더보기

최근 뉴질랜드 금융 동향

댓글 0 | 조회 2,285 | 2016.08.24
■ 새로운 융자제한 정책 시행 연기8월 11일 중앙은행의 OCR인하시점에 맞춰 7월에 부동산 투자시 융자 한도를 낮추는 융자제한 정책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 더보기

음식 쓰레기 재사용, 무엇이 문제인가?

댓글 0 | 조회 2,265 | 2016.08.10
다음 글은 위생적으로 운영하시는 업체와는 무관함을 알립니다.누군가 음식을 먹고 떠난 자리.. 차려진 반찬이 깨끗하게 남겨져 있다면 재사용이 가능한가? 분명 그렇지… 더보기

내려가는 이자율과 급변하는 융자정책

댓글 0 | 조회 2,186 | 2016.07.27
지난 주는 금융과 부동산 관련 정책의 큰 정점을 찍었던 한주였다. 몇가지 변경되는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면1. 중앙은행의 60% LVR정책8월 한달 동안 의견 수렴… 더보기

부동산 버블과 이민자

댓글 0 | 조회 2,322 | 2016.07.13
■ 중앙은행의 부동산 시장 대책Grant Spencer(뉴질랜드 중앙은행의 부총재)가 어제 발표한 부동산 관련 정책 방향은 크게 투자용 부동산에 대해 융자를 제한… 더보기

뉴질랜드 Multi-Million 융자 사기

댓글 0 | 조회 2,427 | 2016.06.22
지난 주 뉴질랜드의 중앙 일간지 및 TVNZ 등 주요 언론과 호주언론에서 일제히 오클랜드의 융자 사기범 47세 Eli Devoy라는 이란 여성이 오클랜드 지방법원… 더보기

계약보다 중요한 해약

댓글 0 | 조회 1,552 | 2016.06.08
대부분의 사람들은 살아 가면서 수많은 계약을 하면서 살아 간다. 특히 이러한 계약의 문화는 아시아 보다는 유럽에서 더욱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되어 왔다. 모든 … 더보기

Mr Huff 와 부동산 시장

댓글 0 | 조회 1,454 | 2016.05.25
가끔 막내에게 책을 읽어 주곤하는데 어제는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 온 책을 읽어 달라고 해서 보니 책 제목이 ‘Mr Huff’ 라고 되어 있었다. 이제 가을에 접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