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율 오를 수 있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이자율 오를 수 있다

0 개 2,336 정윤성

1aa2893a899913d4c73a0f8723e142bd_1477444725_0891.JPG
 

요즈음 세계 금융 동향이 심상치 않다. 금융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는 이 시기, 향후 세계 금융환경의 변화는 해외 자본으로 움직이는 뉴질랜드 금융에 직접 영향을 줄 것이고 국내 부동산 시장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예정이다. 물론 예상대로 진행이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좀 더 확장된 정보와 정책입안자들의 정책 중에 그들이 직접 표현하기 쉽지 않은 정보를 종합해보면 향후 중, 장기적 자산 투자에 참고가 될 것이다. 지금부터 우리의 미래에 발생할 수도 있는 또는 이미 계획, 진행하고 있는 금융과 부동산 관련 칼럼을 3회에 걸쳐 아래의 내용으로 연재할 예정이다. 

 

지난 8년동안 미국발 금융 위기 이후 미국의 연방 준비 제도(연준)가 시작한 방대한 화폐 공급과 저이자율의 정책은 이미 전 세계 중앙은행의 주요 금융정책이며 유일한 경기 부양의 길이라고 알고 있었지만 지금까지 그 효과가 미미하다. 지난 몇년간 미연준은 이자율 인상을 끊임없이 시도해왔다. 경제가 좋아지면 물가인상율로 인한 이자율 인상이 있을 수도 있지만 경기회복의 모멘텀을 이자율 인상으로 풀어 보자는 이론이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몇주전 세계은행들과 각국 재무장관들의 회의에서 나온 논리다. 그 때 빌 잉글리쉬 재무장관이 이자율 인상을 언급한적이 있었다. 미연준이 이자율을 올리기 시작하면 당연히 미달러의 인상으로 자국내 제조업의 상황은 악화되겠지만 GDP의 70%정도가 서비스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미국, 그 중에도 주요기간 산업인 금융서비스업. 이자율 인상으로 인한 미국으로 향하는 세계 자본들은 월가의 금융상품의 수익도 챙기며 향후 달러 인하로 환차익까지 챙길 수 있어 금융 및 자본 관련 사업의 성장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이 현실로 온다면 금융위기후 추락해 있는 미국달러의 위상을 회복하는 계기도 될 것이다. 게다가 2015년 3월경 미국이 가장 싫어하는 행동을 중국이 단행했는데 일본을 제외한 중국과 아시안 국가들이 심지어는 영국이 동참한 아시아 인프라 개발은행(AIIB)을 설립해 미국이 주도하는 IMF, WORLD BANK 그리고 ADB와 달리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은행을 만들었다. 한국의 IMF 때와 같이 미국이 주도로 하는 국가 차원으로 자본장악의 독점이 어려워 진 것이다. 이러한 미국의 상황은 미연준으로 하여금 지난해 연말 이자율 인상을 단행하게 만들었지만 걱정한대로일까? 

 

세계 금융자본의 흐름은 바라는 대로 움직이지 않았고 올해 3월경 중국 경제 붕괴론으로 세계 자본가들의 마음을 움직이려고 조지소로스까지 의기투합해 나섰지만 큰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미국은 시간이 갈 수록 미국과 미달러의 위상회복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현실에서 이자율 인상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따라 호주와 국제 자본 시장에  바로 영향을 받는 뉴질랜드 소매 금리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 이자율 인상은 부동산 시장에 약이 될까? 독이 될까? 약이 될 수도 있다. 주택 구입시 Deposit은 LVR 규정, Kiwisave 규정, Housing NZ의 HomeStart 지원 등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책으로 조정할 수 있으나 나머지 융자는 민영은행에서 대출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호주가 본사인 뉴질랜드 대형 은행들은 호주 금융감독원인 APRA의 감독하에 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향후 꽤 오랫동안(A은행은 약 5년간 진행)호주 송금을 해야하는 실정이다. 이런 금융 환경은 뉴질랜드 개발업자들의 자금 경색으로 이어지고 있다. 오클랜드의 새로운 시장인 필고프씨의 주택정책은 무주택자들에게 대량의 ‘Affordable House’를 공급하는데 있다. 그런데 이 정책은 정부와 연계해야 진행할 수 있어서 내년 국회선거를 앞두고 무주택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적극 협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민의 문호를 닫은 걸 보면 이미 선거전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다. 

 

‘Affordable House’ 주택보급정책은 그 정신이 훌륭하고 유니테리플랜까지 갖추어 구체적이며 정책적으로 Deposit Rule도 해결할 수 있지만 개발업자들과 주택신청자들의 융자가 어려워진다면 ‘그림의 떡’일 뿐이다. 향후 국제금리의 인상으로 이어지는 ‘호주와 뉴질랜드 이자율 인상’은 자본Carry로 이어져 좀 더 쉬운 융자 환경을 조성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더군다나 호주, 뉴질랜드 은행들은 정부의 후원하에 이자율 인상 정책에 적극 가담하지 않을 이유가 없어 보인다. 이에 따른 환율은 잡아야 하는 또 하나의 토끼가 될 것이지만.     

 

약세로 돌아선 뉴질랜드 달러, 왜?

댓글 0 | 조회 2,875 | 2017.08.08
올해 연초, 미 대통령 첫 1사분기가 시작되던 그 때 우리 모두는 미달러의 상승을 의심하지 않았다. 트럼프 효과로서 각종 경기 부양책과 일자리, 투자 유치 등의 … 더보기

부동산 투자 적절한 시기인가?

댓글 0 | 조회 2,061 | 2017.07.25
오클랜드를 비롯한 여러지역으로 부동산 불경기가 확산되고 있다. 물론 지역별로 소폭 오름세가 있는 곳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위축되어 가고 있음을 부동산옥션장을 가면 … 더보기

고 이자율 시대 다시 오나?

댓글 0 | 조회 2,082 | 2017.07.11
ASB 은행이 지난 주 2,4,5년 고정 이자율을 일제히 인상했다. 은행들이 지난 분기에 인상을 단행한 후, 중앙은행의 고시이자율은 변동이 없었으나 시중 금리는 … 더보기

낮아지는 실업률

댓글 0 | 조회 1,958 | 2017.05.09
■ 실업률 4.9%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 올라가기만 하던 실업률이 2009년 이후 지난 8년간 통계중 가장 낮은 4.9%까지 떨어졌다.이 영향으로 인해 뉴… 더보기

2017 인플레이션 예상보다 높다

댓글 0 | 조회 1,720 | 2017.04.26
새해라고 말한지가 어제 같은데 벌써 분기가 훌쩍 지나 가을인 4월말이다. 뉴질랜드 통계청에서 올해 첫분기의 CPI (Consumer Price Index)지수가 … 더보기

이자율 올리는 은행, 내리는 은행

댓글 0 | 조회 2,728 | 2017.04.11
웨스트팩 은행은 지난 주 6일자로 변동 이자율을 5.84%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지난번과 비교하면 0.09% 올렸는데 올해 2월에 0.1% 인상 이후 두번째이다… 더보기

융자 어려운 주택

댓글 0 | 조회 2,906 | 2017.03.08
요즈음 부동산 시장을 보면 향후 긍정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누가 맞고 틀린 것이 있는 것은 없다. 다만 그 이론의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 더보기

은행대출이 까다로워진 진짜 이유

댓글 0 | 조회 2,506 | 2017.02.22
요즈음 렌트비 인상관련 기사를 가끔 본다. 렌트비가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이유는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인데 수요 증가의 주요 원인 두가지만 설명하자면 줄지 않는 … 더보기

기준 금리 천천히 올린다

댓글 0 | 조회 2,316 | 2017.02.09
지난 2월 1일 약세로 가고 있는 미달러와 호전되는 실업률 그리고 상승국면인 원유가의 뒷받침, 게다가 트럼프의 보호무역 우려 확장으로 인한 미달러의 약세 등에도 … 더보기

2017년, 격동의 한 해가 예상된다

댓글 0 | 조회 1,773 | 2017.01.10
1, 환경변화가 예상되는 여러가지 국제적 이슈2017년은 뉴질랜드와 한국은 선거를 치러야 한다. 존키 전수상이 물러남에 따라 빌 잉글리쉬 내각이 출범하면서 올해는… 더보기

미금리 인상, 무엇을 해야 하나?

댓글 0 | 조회 2,813 | 2016.12.21
■ 금리인상 배경지난 15일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그리고 미달러와 상대 화폐들의 가치는 하락하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2%를 밑돌고 … 더보기

주택시장을 잠재울 융자정책

댓글 0 | 조회 3,518 | 2016.12.07
■ 부동산 개발의 현장언제 한번 뉴질랜드 주택이 충분히 공급되었다는 소식을 접해 본적이 없다. 그리고 요즈음 같이 주택이 부족한 적도 없다. 그래서 주택 보급 계… 더보기

생애 첫집에 필요한 ‘DEPOSIT’ 준비

댓글 0 | 조회 2,269 | 2016.11.22
‘First Home Buyer’는 대부분 비슷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수입은 적정 수준에 도달되어 있으면서도 ‘Deposit’ 준비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 더보기

생애 첫주택 구매를 하려면

댓글 0 | 조회 3,021 | 2016.11.08
이번주부터 ASB은행을 필두로 장기 이자율이 오르고 있다. 필자의 2주전 칼럼에서 언급했던 분위기가 예상보다는 빨리 온다는 느낌이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 더보기
Now

현재 이자율 오를 수 있다

댓글 0 | 조회 2,337 | 2016.10.26
요즈음 세계 금융 동향이 심상치 않다. 금융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는 이 시기, 향후 세계 금융환경의 변화는 해외 자본으로 움직이는 뉴질랜드 금… 더보기

무서운 사람들

댓글 0 | 조회 1,998 | 2016.10.12
몇달전 가볍게 계획한 베트남 여행을 지금 하고 왔다. 참 더운 나라다. 시원해도 30도 이상이다. 충분히 차갑게 보이는 호텔 수영장은 늘 생각보다는 따뜻했다. 건… 더보기

클레임 끝까지 도와야 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603 | 2016.09.29
뉴질랜드 기업들의 고객 서비스를 자세히 들여다 필자가 늘 언급했던 ‘되는대로 하다가 콤플레인 들어 오면 그 케이스만 좀 더 빨리 해주는 방식’이다. 오래전 칼럼의… 더보기

어려워지는 융자, 주택개발 계획 차질 우려

댓글 0 | 조회 2,139 | 2016.09.14
Property Council의 리더인 Connal Townsend는 최근 은행 융자의 문턱이 높아가는 현실을 보며 오클랜드시의 주택 부족 해소를 위한 주택 개발… 더보기

최근 뉴질랜드 금융 동향

댓글 0 | 조회 2,285 | 2016.08.24
■ 새로운 융자제한 정책 시행 연기8월 11일 중앙은행의 OCR인하시점에 맞춰 7월에 부동산 투자시 융자 한도를 낮추는 융자제한 정책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 더보기

음식 쓰레기 재사용, 무엇이 문제인가?

댓글 0 | 조회 2,265 | 2016.08.10
다음 글은 위생적으로 운영하시는 업체와는 무관함을 알립니다.누군가 음식을 먹고 떠난 자리.. 차려진 반찬이 깨끗하게 남겨져 있다면 재사용이 가능한가? 분명 그렇지… 더보기

내려가는 이자율과 급변하는 융자정책

댓글 0 | 조회 2,186 | 2016.07.27
지난 주는 금융과 부동산 관련 정책의 큰 정점을 찍었던 한주였다. 몇가지 변경되는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면1. 중앙은행의 60% LVR정책8월 한달 동안 의견 수렴… 더보기

부동산 버블과 이민자

댓글 0 | 조회 2,322 | 2016.07.13
■ 중앙은행의 부동산 시장 대책Grant Spencer(뉴질랜드 중앙은행의 부총재)가 어제 발표한 부동산 관련 정책 방향은 크게 투자용 부동산에 대해 융자를 제한… 더보기

뉴질랜드 Multi-Million 융자 사기

댓글 0 | 조회 2,427 | 2016.06.22
지난 주 뉴질랜드의 중앙 일간지 및 TVNZ 등 주요 언론과 호주언론에서 일제히 오클랜드의 융자 사기범 47세 Eli Devoy라는 이란 여성이 오클랜드 지방법원… 더보기

계약보다 중요한 해약

댓글 0 | 조회 1,552 | 2016.06.08
대부분의 사람들은 살아 가면서 수많은 계약을 하면서 살아 간다. 특히 이러한 계약의 문화는 아시아 보다는 유럽에서 더욱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되어 왔다. 모든 … 더보기

Mr Huff 와 부동산 시장

댓글 0 | 조회 1,454 | 2016.05.25
가끔 막내에게 책을 읽어 주곤하는데 어제는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 온 책을 읽어 달라고 해서 보니 책 제목이 ‘Mr Huff’ 라고 되어 있었다. 이제 가을에 접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