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법무사가 본 新기술이민시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이민법무사가 본 新기술이민시대

0 개 4,109 정동희

8월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新기술이민(Skilled Migrant Cat egory, SMC)의 충격은 그 어느 변경보다 강력했습니다. 

 

그 여파로 인하여 이미 짐 싸서 한국 또는 제 3국행을 택한 분들도 있고 지금 소지하고 있는 비자의 만기가 도래하면 그때 가리라 하는 분들과 그래도 몇 년 버티면 뭔가 다시 탈출구가 생겨나지 않겠는가 하는 분들까지 우왕좌왕, 설왕설래, 카더라 통신 등이 어우러져 교민 및 모든 소수민족 커뮤니티가 전부 대혼란 상태지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 했던가요. 뉴질랜드 공인 이민법무사의 의무이자 책임 중 하나는 보다 정확한 해석과 정보 그리고 프로페셔널한 견해를 만천하에 알리는 일이라 생각하기에, 오늘의 소중한 지면은 新기술이민법의 핵심에 대해 20년 이민전문가의 시각에서 논하고자 합니다. 

 

40등대의 등장과 30등대의 운명 

 

지난 604호 칼럼을 기억하시는지요? 신워크비자에 대한 풀타임의 정의를 등대에 비유하여 분석하였습니다. 40등대와 30등대 중 어느 것을 기준삼아 항해해야 하는가? 라는 아래의 비유였습니다.  

 

 “풀타임 주당 근무시간은 30시간이야!”라고 정의하는 이민법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그 오래된 등대만 믿고 항해해가려 하는데 이건 뭡니까. 

 

갑자기“주당 40시간에 기준하는 연봉이 더 중하지!”라고 적힌 신상 등대가 반짝거리며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40당 30락인가’하고 고개를 갸웃거리며 헷갈려하고 있습니다. 

 

저 40등대가 불법영업인지 아니면 진정한 새 등대로 등극하면서 30등대는 곧 불이 꺼질 것인지 도무지 헷갈립니다. 

 

워크비자나 영주권이나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아래의 표로 정리해 봅니다. 

 

 

비자 카테고리

시급

연봉

주당 근무시간

신워크비자

(Mid skill band)

$19.97를 기준으로 각종 혜택과 비자 기간이 나뉨

$41,538

Based on a 40 hour week

신기술이민

$23.49

or

$35.24

$41,538

or

$73,299

 

고난이도의 전술입니다. 각각의 신법을 소개하는 안내문과 써머리에는 연봉을 적시하면서 마치 이러한 연봉을 맞추지 못하는 신청자들은 포기해야 한다는 식으로 이민부는 조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 중요한 대목이 있습니다. 등대 이야기처럼, 행간을 잘 살펴보아야합니다. 

 

40등대 기준 이야기라고 이민부는 명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민법 매뉴얼에 가보면 거기에선 이러한 연봉을 적어 놓은 항목은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이래서 주당 30시간과 40시간 사이에서 우리는 헷갈리는 것입니다. 

 

이래서 그 모든 이민컨설팅의 현장에서 발로 뛰고 손으로 머리로 경험한 케이스들을 겪어낸 이민 전문가들과의 협업이 중요한 일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3.52 또는 $7,321차이가 뭐라고 

 

신워크비자법은 주신청자의 배우자(파트너)와 자녀들의 체류 비자(오픈워크비자 및 학비혜택 학생비자)와 가정의 경제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28일 이전에는 시급과 연봉에 대한 정확한 숫자가 이민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 았기에 직업이 속한 산업의 평균 시급 또는 연봉에 얼마나 근접하는가 등의 기준만 가지고 승인 또는 기각의 결과로 매듭지어 지곤 했습니다. 

 

신법은 직업을 초급/중급/고급 기술 레벨로 나누어 워크비자 소지자와 가족들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좀더 대놓고 말하자면 “당신, 얼마 받습니까?”라는 질문이 강속구로 날아오고, 워크 비자 신청자들은 안타를 쳐야만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죠. 

 

시급이 $19,97이 안되면 진루는 못하고 아웃도 아니면서, 1년내내 계속 파울만 치는 워크비자를 준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시급 $19.97이 된다 한들 “영주권배 결승전”에는 진출 불가인거, 아시죠? 

 

이것이 바로 $3.52차이가 만들어내는 비극입니다. 시급 $19.97이면 일반(에센셜)워크비자로 가족혜택과 3년 체류 등은 허용하겠지만 이보다 시간당 급여가 $3.52가 더 많은 $23.49까지 되지 않으면 신기술이민법하의 영주권 신청은 아예 불가능하다는 아주 슬픈 이야기지요.  

 

이민부가 좋아하는 주당 40시간 기준으로 보자면 연간 $7,321의 차이가 가져오는 비애입니다. 

 

말이 $3.52지 이만큼의 시급상승에는 얼만큼의 노력과 시간이 필요할지 대체 알 수가 없습니다. 스킬 레벨 4와 5에 해당되는 신청자들에겐 더 가혹합니다. 

 

워크비자 도전 때부터 시급 $35.24 가 되어야 만 영주권의 시동을 걸 수가 있습니다.   

 

S마크 인증제가 도입된 사회경력 

 

신법하의 사회경력과 관련하여 다음처럼 안내하는 이민부를 쿨~하다고 할까요, 아니면 뒤끝작렬~이라고 할까요?  

 

More points available for work experience, but points will only be awarded for work experience that is skilled

 

신기술이민법은 점수항목의 변화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점수가 줄거나 폐지된 항목이 있는 반면 사회경력에 대한 점수는 5 점에서 최고 20점까지 후하게 더 받아 가시라고 이민부는 선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끝이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은 “병 주고 약 주 고”를 변형시킨“엄청 큰 병을 주고, 징그럽게 약발 안 듣는 약 같은 거 주고”라고나 할까요. 

 

그러나 마지막 밑줄 쫘악 친 세 단어가 핵심입니다. 최고 20점을 더 줄 수 있다고 하면서“단, Skilled 사회경력에 한해서만 인정!!”이라는 아주 센 조건을 겁니다. 

 

기술이민은 Skilled Migrant Category, 줄여서 SMC입니다. 기술이민의 점수항목별 조항 중에 잡오퍼(고용/고용제의)는 Skilled employment입니다. 

 

이제 우리는 Work experience에도 Skilled, 즉 S마크 인증제도가 도입된 시대에 이미 들어섰습니다. 이로 인해 3년 또는 5년의 경력점수를 클레임할 수 없는 처지의 신청자가 의외로 많습니다. 

 

클레임이 가능한지 아닌지 따지는 것도 그리 만만한 작업이 아니라서 더더욱 골치가 아픕니다. 비단 점수만의 문제가 아니기도 합니다. 

 

학력과도 연관이 있어졌으니, 아아, 점수를 더 낮게 주었던 구법의 시대를 우리는 그리워해야 할런지요. 

 

쓸쓸히 폐지된 점수항목들 

 

5점이 아쉬운 상황인데 따놓은, 딸 수 있는 점수마저 없어지다니, 무척 한탄스러운 일입니다. 

 

아래 항목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네요. 

 

- qualifications in an area of absolute skills shortage (부족인력군에 해당하는 학력 추가점수) 

 

- skilled employment, work experience and qualifications in Identified Future Growth Areas (미래 성장 직업군에 속한 잡오퍼, 사회경력과 학력분야의 추가점수) 

 

- close family support in New Zealand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 신분의 뉴질랜드 직계가족 추가점수) 

 

이 중에서 저는 무엇보다도 마지막 항목에서 울컥 했습니다. 

 

수년 전 형제초청이민을 폐지한 이후 처음입니다. 뉴질랜드에 와서 이미 정착한 형제자매부모들이 있는 신청자들에게 주는 점수 10점이 뭐라고 그것을 없앴는가 하는 대목에서 저는 슬퍼졌습니다. 이 조항, 언젠가 다시 부활할까요? 

 

초특급 우대 : Made in 뉴질랜드 석,박사  

 

뉴질랜드 학력점수가 높아진 코스가 있습니다. 석,박사 과정 입니다. 자그마치 70점이나 준답니다. 이렇게 이민부는 적어 주었습니다. 

 

Points for recognised level 9 or 10 post-graduate qualifications (Master’s degrees and Doctorates) will increase to 70 points. 

 

하지만, 이것보다 더 특별한 VIP급 우대가 있어서 소위 “유학 후 이민 업계”에서는 굉장히 놀라워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이민법을 보시죠.

 

 SM3.15 Approving an application 

 

a. An application under the Skilled Migrant Category will be approved if an immigration officer is satisfied that: 

 

i. the principal applicant and family member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meet health and character and English language requirements as required; and 

 

ii. the principal applicant qualifies for the points for employability and capacity building factors on the basis of which their Expression of Interest (EOI) was selected from the Pool; and 

 

iii. the principal applicant is less than 56 years of age on the date their application is made; and iv. the principal applicant:  

 

* has current skilled employment in New Zealand or an offer of ongoing skilled employment in New Zealand; or  

 

* has undertaken full-time study for at least two years in New Zealand that has resulted in the award of a Doctorate or Master's degree.

 

 

 

이민법 SM3.15.a 조항에 따르면 이러저러한 필수항목들이 존재하는 기술이민법 조항 중에 주신청자는 다음의 두 가지 중 하나는 반드시 소지해야만 한다라고 합니다. 

 

● 뉴질랜드 (기술)잡오퍼를 현재 소지하고 근무중이거나 향후 근무할 예정 또는 

 

● 2년 이상의 풀타임 뉴질랜드 석사(Master’s degree)나 박사(Doctorate degree)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경우 

 

8월 28일 법 변경 이전에는 없던 항목이 바로 이 마지막 석, 박사 항목입니다. 우대도 이런 우대는 일찍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가장 핫한 코스가 바로 이 코스들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을 졸업하면 무조건 영주권이 보장되는가? 라는 질문 앞에서는 모두 신중해져야 할 듯 합니다. 코스를 적극 소개하는 이도, 코스를 입학하는 이도, 그리고 2년 과정 기간 동안과 졸업 후 이민컨설팅을 도와 줄 전문가들도 모두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7d63de9d4299b844447b4029eb68547d_1506392286_8796.jpg
 

1,2월에 새로 시행되는 이민법 따라잡기

댓글 0 | 조회 4,332 | 2018.01.16
타매체에 기고하던 이민칼럼을 코리아 포스트로 옮긴지도 어언 만 5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2018년의 첫 칼럼을 시작하며 애독자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올… 더보기

11월 이후의 이민법 변경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4,184 | 2015.08.27
뉴질랜드 정부와 이민부는 지난 7월말 발표를 통하여 오는 11월 1일부터 변경 적용될 이민법 중에 주목할 만한 사항들을 발표하였습니다. 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보기

이민부가 막~ 업데이트한 이민정보 Q & A

댓글 0 | 조회 4,150 | 2015.03.24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답니다. 이… 더보기

4 또는 5 아니면 다? 그것이 문제로다 !

댓글 0 | 조회 4,134 | 2014.05.14
기술이민을 통한 영주권을 계획하고 있는 당신은 필경, “유학 후 이민과정”을 두고 고민하셨을 겝니다. 그간 귀하가 (한국에서) 쌓아온 경력과 학력, 그리고 불가능… 더보기
Now

현재 이민법무사가 본 新기술이민시대

댓글 0 | 조회 4,110 | 2017.09.26
8월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新기술이민(Skilled Migrant Cat egory, SMC)의 충격은 그 어느 변경보다 강력했습니다.그 여파로 인하여 이미 … 더보기

내 비자가 심사되는 법

댓글 0 | 조회 4,090 | 2020.09.23
뉴질랜드 비자 신청을 희망하는 전 세계인에 대해서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사이트를 통하여 일반적인 안내를 24시간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비자 심사 과정 전반… 더보기

통계자료로 보는 국적별 영주권 취득 분석

댓글 0 | 조회 4,084 | 2018.09.11
이민부의 회계연도는 매년 7월 1일 새로 시작됩니다. 그렇다면, 지난 6월 30일로 마감된 이전 12개월의 통계자료에는 과연 어떠한 정보가 담겨 있으며 우리에게 … 더보기

“줄 때 받는”요리사의 LTSSL 워크비자

댓글 0 | 조회 4,052 | 2018.02.27
한국에서의 학력과 경력과는 무관하게, 뉴질랜드에서 요리학과 1년 또는 2년 졸업후 잡오퍼를 구하기만 하면 영주권 신청이 가능했던 호시절이 있었습니다. 따지고 보면… 더보기

명쾌하게 정리한 新워크비자 이민법

댓글 0 | 조회 4,041 | 2019.09.24
누군가를 아주 오랫동안 기다리다 보면 여러 단계의 심리적 상태를 지나게 됩니다. 약속시간이 지나면서 처음엔 화가 나서 실망하다가, 역지사지해 보면서 상대를 이해해… 더보기

요리사, 부족인력군에 남기로 하다

댓글 0 | 조회 4,028 | 2015.01.14
2015년 새해에 부디 바라옵기는, 새로운 캘린더에 새로운 이민법이 생겨나서 새로운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어 교민사회에도 새로운 일들이 많이 벌어지길 소원합니다.… 더보기

알아야 받든 말든 하지, 너, 가디언 비자 !!

댓글 0 | 조회 4,002 | 2016.08.24
한때는 말이죠. 큰 돈을 들여서 유학생(International student)으로 아이를 뉴질랜드에서 유학을 시키면서도 정작, 가디언인 부모는 체류할 비자가 마… 더보기

7.16 개정에 따른 워크비자신청 가이드

댓글 0 | 조회 3,993 | 2021.07.21
코로나-19(이하, 코로나)의 영향은 마치 뉴질랜드의 겨울날씨 같아요. 햇볕이 쨍하게 나오는 듯 하다가도 갑자기 폭우가 쏟아집니다. 그냥, 이 계절의 날씨가 그러… 더보기

장기부족인력군과 4월의 요리학과 진학

댓글 0 | 조회 3,980 | 2017.02.22
매년 1~2회 정도 업데이트되는 장기부족인력군 리스트(LTSSL)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카더라”통신의 근원이 됩니다.이 리스트에서 빠지면 영주권도 안 되고, 워크… 더보기

코로나19에 필요한 이민정보 119

댓글 0 | 조회 3,977 | 2020.05.27
지난 짧은 기간 동안 코로나 19(이하, 코로나)로 인하여 이민지형이 상당히 많이 바뀌어 왔으며 앞으로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하여 그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더보기

이러한 비자들이 심사되는 법

댓글 0 | 조회 3,953 | 2022.11.21
뉴질랜드에 체류하고자 하는 한국인 국적자(한국 여권을 소지하고 뉴질랜드 영토에 입국한 자)라면 그 어떤 비자라도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요. 한-뉴 간… 더보기

4월 요리학과를 준비하는 당신에게

댓글 0 | 조회 3,935 | 2016.02.11
올해로 18년째를 맞는 이민컨설팅이지만 지난 몇 년간은 “거두절미하고 유학후 이민, 단연코 요리학과 !!”라는 결론부터 말하면서 이민상담을 진행해 왔지요.2016… 더보기

이민부가 절대 보장하지 않는 것들

댓글 0 | 조회 3,910 | 2017.10.25
살다 보면“100% 보장”이라는 문구를 적지 않게 만나게 됩니다.이민업계에 몸 담아온 지난 20년 동안 저 역시 그러한 질문과 많이 마주해 왔습니다. 저의 컨설팅… 더보기

유학후 이민이 아직도 되나, 혹쉬?

댓글 0 | 조회 3,880 | 2020.02.26
유학후이민 트랙이 지배적이었던 호시절이 있었습니다. 예컨대, 요리학과 1년 마치고 잡서치 오픈 워크비자를 손에 쥐면 그동안 파트타임하던 고용주로부터 풀타임 잡오퍼… 더보기

이민법무사와 이민부가 보는 비자 심사의 속도

댓글 0 | 조회 3,876 | 2021.02.24
20년 넘게 이민컨설팅을 해온 저는 “이민은 real time” 이라는 것을 고객들에게 늘 주지시켜 드리고 있습니다. 리얼 타임을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지금, … 더보기

기술이민, 이것이 궁금했다!!

댓글 0 | 조회 3,873 | 2016.04.28
이민 컨설팅 18년차인 저에게 기대하는 답변이 있습니다. “됩니다”라는 단 한마디가 그것이 가장 듣고 싶은 거지요.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대답은 “승인이냐, … 더보기

2014년도 취업비자 기각사유 베스트 5

댓글 0 | 조회 3,843 | 2014.08.13
일반취업비자(정식명칭은 Essential skills work visa-이하, 취업비자)의 승인은 저 뿐만 아니라 그 누구에게나 기쁜 소식이지만, 안타깝게도 기각… 더보기

요리괴담, 그것이 알고 싶다

댓글 0 | 조회 3,837 | 2016.09.15
우리는 흔히, 괴이하고 이상한 이야기를 “괴담”이라고 부릅니다. 특정인, 특정그룹에 의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이야기일수도 있고 “카더라” 통신에 의해 슬… 더보기

11월 11일의 기술이민 의향서 분석

댓글 0 | 조회 3,787 | 2015.11.25
일반이민 또는 점수제 이민으로도 불렸던 현 기술이민(SMC -Skilled Migrant Category)은 외국에서 보기엔, 참으로 복잡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 더보기

주도면밀한 사람이 영주권을 잘 딴다 !!

댓글 0 | 조회 3,751 | 2016.12.06
잡오퍼를 포함하여 딱 100점이 되더라도 기술이민으로 얼마든지 영주권에 도전할 수 있었기에 그 외의 5점, 10점의 가치가 전혀 존중되지 않았던 지난 10월 12… 더보기

“新장기사업비자(사업비자)” 시대를 맞이하며

댓글 0 | 조회 3,750 | 2014.01.15
지난 연말휴가를 앞둔 12월 13일, 이민부는 하나의 빅뉴스를 터트렸습니다. 10년 넘게 시행해오던 “Long Term Business Visa(장기사업비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