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입국 신청과 실제사례 분석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예외입국 신청과 실제사례 분석

0 개 2,350 정동희

이미 1년반이 되어가는 새로운 일상과 현상들에 발 맞추어 가자면 저희 이민전문가들 역시 “라떼는 말이야” 식의 컨설팅을 제공하기엔 현실이 척박하기만 합니다. 듣도 보도 못한 카테고리가 속출하고 그에 따른 비자 신청에 대하여 자주 업데이트 되는 내용을 숙지해야 하며 이러한 최신 정보와 이민법이 어떻게 적용되어 결과로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경험도 쌓아가야 하는 용기 또한 저희에게 요구됩니다. 뉴질랜드와 비자나 체류문제로 크게 얽힌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왕복 항공권만 구입하면 언제든지 다녀올 수 있었던 뉴질랜드라는 나라를 이제는 대다수가 입국불가인 현실이 되어 있지요.


뉴질랜드 정부와 이민부는 현 시국에서 과연 누가 입국가능한지 누가 불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경우에 입국신청을 해 볼 수 있는지에 대해 그 경계를 정해 놓고 있으며 아주 조금씩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럼 어떤 경우에 신청해 볼 수 있는지, 어떤 분들이 예외입국 허가를 받아 입국에 성공하고 있는지 알아볼까요?


654dfb40b97c20a559b2cbb2a1b90be9_1621996607_5237.jpg
 

Quarantine-free travel(무격리 여행)


COVID-19(이하, 코로나)로 인하여 국가간의 방문이 거의 불가능해진 이 시대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가 바로 뉴질랜드와 호주입니다. 이 국가들 상호간의 “무격리/격리면제 방문” 제도가 시행된 지도 벌써 한 달인데요. 이미 많은 사람들이 두 나라간을 자유롭게 여행하고 있습니다. 단, 다음과 같은 조항들을 만족시키는 자에 한해서 말입니다.


   To be eligible for quarantine-free travel, travellers must:

  

   meet immigration requirements, and

   have spent 14 full days (midnight to midnight) in either Australia or New Zealand, and

   not had a positive COVID-19 test result in the 14 days before they depart, and

   not be awaiting the results of a COVID-19 test taken in the past 14 days, and

   complete a travel declaration, and

   answer questions about your health at departure.


물론 이외에도 여러가지 조항들을 다 만족시키는 상황이어야 하는데요. 좀더 자세한 것은 이민부의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호주 외에도 Cook Islands와 Niue 여행도 가능해졌답니다.


NZ입국허가가 불필요한 자


잘 아시겠지만, 뉴질랜드 입국은 극히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다음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분들은 원칙적으로는 사전에 입국허가신청이 불필요합니다.


   Those allowed to come here without first requesting to travel are:


  ● New Zealand citizens and permanent resident visa holders(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구영주권 소지자)

  ● the partner or dependent child of a New Zealand citizen or permanent resident, and your visa is based on this relationship(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구 영주권자와의 파트너쉽 또는 그의 의존자녀로 인정받은 비자를 소지하고 있는 자)

  ● a diplomat who holds a post in New Zealand(뉴질랜드로 파견이 확정된 외교관)

  ● Australian citizens or permanent residents ordinarily resident in New Zealand(호주 시민권자 또는 뉴질랜드 영주권자로서 뉴질랜드를 일상적인 거주국가로 인정받는 자) 

  ● Eligible travellers from the Cook Islands, Niue, and Australia(쿡 아일랜드/니우에/호주로부터의 여행자이면서 별도의 자격요건을 갖춘 자)


여기서 주목할 만한 카테고리는 두번째인 듯합니다. 뉴질랜드 시민권자/영구 영주권자의 가족인 경우, 아무런 사전 입국허가 없이 입국이 가능하지만, 지금 현재 비자를 소지하고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죠. 아무리 가족이라 하더라도 비자가 아예 없거나 유효기간이 지났으면, 위의 조항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호주 등의 무격리여행 국가 외에서 입국을 원하는 호주 시민권자와 NZ영주권자


뉴질랜드 시민권자는 인도 등 몇 개 국가를 제외한 그 어느 국가에서라도 뉴질랜드 입국이 허용되고 있습니다만, 호주 시민권자와 NZ영주권자는 아래와 같이 예시된 증거자료를 출국지 공항에서 심사 받고 통과되어야만 출발 자체가 가능합니다.


  If you attempt to travel to New Zealand without prior approval you must provide acceptable evidence at airport check-in clearly showing that you are ordinarily resident in New Zealand.

  

  Thi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Government-issued documentation - for example, New Zealand driver licence, or evidence of tax residency with Inland Revenue

  documentation confirming current employment or approved study in New Zealand

  documentation confirming you own or rent property in New Zealand - for example, utility bills, rates notices, lease agreement.

  Your residency will be verified against your travel history before Immigration New Zealand makes a decision if you are allowed to board your flight.

  Other Australians who are not ordinarily resident in New Zealand may still be able to come to New Zealand under another category.


역시, 이 부분도 세부적인 사항들을 잘 체크하고 꼼꼼히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비영주권자의 예외입국허가 신청 


문 : 뉴질랜드에 워크비자로 남편이 있고 저와 아이들이 잠시 한국에 나왔다가 못 돌아가고 있습니다. 아직 비자가 살아 있는데 이젠 입국이 가능한가요?

답 : 귀하의 경우 다음 카테고리에 해당되어 입국신청이 가능합니다. Partners and dependent children who held a visa for New Zealand but were unable to join their partner or parent in New Zealand before the border closed.


원칙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몇가지 더 체크해 봐야 합니다. 가령, 남편의 비자가 얼마나 남아 있는지, 한국에 있는 가족들의 비자도 동일하게 남아 있는지 아니면 더 적게 남았는지 또는 언제 비자가 만기되었는지 말이죠. 이에 대해선 다음과 같이 안내되고 있습니다. 


● Hold a current visa based on their relationship to the person in New Zealand, or 

● have held a valid visa on 19 March 2020 but it has now expired because they were unable to enter New Zealand by the arrival date printed on their visa label.


문 : 뉴질랜드에 있는 저의 아내가 critical health services에 해당되는 직책으로 워크비자를 소지하고 있어요. 저와 아이들은 비자가 없는 상태로 한국에 체류중입니다. 예외입국 허가 신청이 가능한가요?

답 : critical health services 리스트에 속한 워크비자 소지자의 가족이라면 예외입국신청을 하실 수 있으며 이것이 받아 들여지면 방문비자 신청이 허가됩니다. 방문비자로 뉴질랜드에 입국하신 후에 각자의 타입에 맞는 비자를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문 : 하지만, 코로나로 인하여 1년 넘게 떨어져 살고 있습니다. 그 이전에는 한국에서 모두 같이 살았었지만요. 이런 경우 파트너로 인정이 가능한가요?

답 : 사실, 이 부분이 관건입니다. 코로나 때문에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인하여 뉴질랜드에 입국할 수 없었고 그로 인하여 떨어져 살 수 밖에 없었음에도 이민부는 다음과 같은 “파트너쉽에 대한 진실성과 안정성”심사를 귀하가 통과하길 바라고 있지요.


  ● a description of your partnership, including details of previous shared living arrangements

  ● any supporting documentation demonstrating your partnership - including a marriage certificate, a joint bank account, or birth certificates for dependent children

  ● travel movements of you and your partner

  ● evidence your partner supports your travel to New Zealand

  ● any other evidence showing a commitment to a shared life.


문 : 듣기로는, 연봉이 10만달러 이상인 워크비자 소지자의 가족도 예외입국허가 신청이 가능하다던데…

답 : 그렇습니다. NZD $106,080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는 워크비자 소지자의 가족이라면 입국허가를 얻어낼 가능성이 다분합니다만, 역시나 위의 파트너쉽에 대한 심사를 통과해야만 비자신청이 가능합니다. 



예외입국 신청 승인 실제 사례


문 : 정법무사님의 도움으로 승인된 케이스가 그간 몇 건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을까요?

답 : 개인정보법에 의하여 소상한 내용을 다 밝혀드리지 못함에 유감입니다. 그간의 승인된 카테고리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케이스에 대해 조금 말씀드리자면요. 한국에 남겨진 Dependent children 과 뉴질랜드에 워크비자로 체류하고 있는 parent와의 결합을 위한 신청이었습니다. 해당 카테고리가 없어서 인도주의적인 사유에 해당되는 것으로 신청하였으며 이 자녀들이 왜 예외적으로 입국이 허용되어야만 하는지에 대한 합당한 주장을 담아 EOI를 제출하였지요. 몇 차례의 써포팅자료 제출에 성실히 임한 끝에 승인레터를 받아냈습니다.


문 : 어떤 것들이 인도주의적 사유에 해당되나요?

답 : 이민부는 다음과 같은 사유가 humanitarian reasons에 속하는 것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 your connection to New Zealand, whether New Zealand is where you normally live, and your current location

  ● how long you have been away from New Zealand

  ● other options you have available

  ● the impact of not allowing you to travel.


(더 많은 담론과 최신이민 정보는 저희 회사의 공식 블로그인 https://blog.naver.com/ajikdo69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한 눈에 들어오는 최신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4,380 | 2021.08.25
그동안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던 “COVID-19(이하, 코로나) 제로 국가”에서 불명예 제대를 하고. 결국 매일 오후 1시에 발표되는 확진자 숫자에 모든 이목을… 더보기

7.16 개정에 따른 워크비자신청 가이드

댓글 0 | 조회 3,988 | 2021.07.21
코로나-19(이하, 코로나)의 영향은 마치 뉴질랜드의 겨울날씨 같아요. 햇볕이 쨍하게 나오는 듯 하다가도 갑자기 폭우가 쏟아집니다. 그냥, 이 계절의 날씨가 그러… 더보기

훅 들어온 6월의 핫한 이민소식

댓글 0 | 조회 3,275 | 2021.06.22
뉴스거리가 되려면 다수의 관심사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겠고 한편으로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하겠지요? 하지만 이민관련 소식은 아무리 소소하다 하더… 더보기
Now

현재 예외입국 신청과 실제사례 분석

댓글 0 | 조회 2,351 | 2021.05.26
이미 1년반이 되어가는 새로운 일상과 현상들에 발 맞추어 가자면 저희 이민전문가들 역시 “라떼는 말이야” 식의 컨설팅을 제공하기엔 현실이 척박하기만 합니다. 듣도…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전하는 최신이민정보

댓글 0 | 조회 4,557 | 2021.04.29
코로나-19로 인한 비자심사의 장기간 중단, 연기, 지연 등으로 그동안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현상들이 나타났지요. 결국, ‘비정상의 정상’ 이라는 말이 익숙해진… 더보기

지난 몇 년간 얼마나 많은 영주권자가 나왔나?

댓글 0 | 조회 4,834 | 2021.03.24
이민부의 회계년도는 매년 7월 1일 새로 시작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통계자료까지 1년에 딱 한번만 공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1998년부터 뉴질랜드 이민컨설팅을… 더보기

이민법무사와 이민부가 보는 비자 심사의 속도

댓글 0 | 조회 3,868 | 2021.02.24
20년 넘게 이민컨설팅을 해온 저는 “이민은 real time” 이라는 것을 고객들에게 늘 주지시켜 드리고 있습니다. 리얼 타임을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지금, … 더보기

2021년에 달라질 수 있는 것들

댓글 0 | 조회 3,668 | 2021.01.13
예기치 않던 일의 파도 속에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모든 것이 혼돈의 시기였던 2020년보다는 조금 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하… 더보기

최근 비자 심사기간과 실제 사례

댓글 0 | 조회 3,569 | 2020.12.23
안녕하세요. 2009년부터 뉴질랜드 공인 이민법무사로 활동해 온 정동희 이민법무사입니다. 지난 한 달간 이민과 관련한 큰 이슈가 없는 관계로 칼럼을 쉬었답니다. …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 승인사례 심층취재

댓글 0 | 조회 3,294 | 2020.10.28
한국인의 정서로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용어인 파트너쉽(partnership). 기혼자일지라도 파트너쉽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 소위 “호적”에 법적인 배우자로 올라… 더보기

이민법 일반론 즉문즉답

댓글 0 | 조회 2,533 | 2020.10.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뉴질랜드 비자 신청을 희망하는 전 세계인에 대해서 일반적인 안내를 항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뉴질랜드 영주권과 비영… 더보기

내 비자가 심사되는 법

댓글 0 | 조회 4,083 | 2020.09.23
뉴질랜드 비자 신청을 희망하는 전 세계인에 대해서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사이트를 통하여 일반적인 안내를 24시간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비자 심사 과정 전반… 더보기

핵심만 추출한 조건변경(VOC)신청

댓글 0 | 조회 3,294 | 2020.09.09
모든 비영주권 비자는 승인시에 조건이 딱 정해져 있습니다. 학생비자라면 특정학교의 특정코스에서 특정기간만큼 학업을 해야 한다는 조건과 경우에 따라서는 합법적인 노… 더보기

人生을 바꿀 수도 있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719 | 2020.08.26
희망차게 시작했던 2020년이 코로나 19의 예기치 않은 습격으로 인하여 어언 3분의 2가 휘이익 지나가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가장 무섭다는 것을 …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를 쥐락펴락하는 3가지

댓글 0 | 조회 3,517 | 2020.08.11
아무리 뉴 노멀의 시대라 해도 기존 법은 그대로입니다. 달라진 이민법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 케이스들에 대해서는 무조건 신법을 따라야 하며 각각의 개별적인 케이스에… 더보기

반갑지 않은 727 특별이민법

댓글 0 | 조회 5,417 | 2020.07.28
지난 한주는 격변의 시간이었습니다. 현 정부의 집권기간 내내 독보적인 이민부 장관으로 재직해온 Iain Lees-Galloway가 해임되는 사건이 정가를 뒤흔들어… 더보기

칠칠 특별이민법 핵심만 착착착

댓글 0 | 조회 3,688 | 2020.07.15
12개월간의 한시적이지만 특별한 권한을 이민부 장관에게 주어 코로나19로 인하여 곤란하게 된 수많은 비영주권 비자 소지자/신청자 및 영주권 신청자/승인자에게 신속… 더보기

파트너쉽 정보 무료 대방출

댓글 0 | 조회 3,282 | 2020.06.24
20년 넘는 세월을 오로지 이민 및 유학 컨설팅에 올인해 온 뉴질랜드 공인 이민법무사라지만, 요즘처럼 앞길이 구만리 같기는 처음인 듯 합니다. 코로나19 이전만 … 더보기

최신 이민정보로 人生이 바뀔 지도

댓글 0 | 조회 3,740 | 2020.06.09
이젠 New Normal 시대를 받아들여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뉴 노멀이라는 것은, 비정상의 정상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며 코로나 이전의 시대로는 돌아갈 수가… 더보기

코로나19에 필요한 이민정보 119

댓글 0 | 조회 3,971 | 2020.05.27
지난 짧은 기간 동안 코로나 19(이하, 코로나)로 인하여 이민지형이 상당히 많이 바뀌어 왔으며 앞으로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하여 그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더보기

한 눈에 보는 특별법 이전의 이민법

댓글 0 | 조회 4,676 | 2020.05.13
아주 조만간, 1년의 한시적인 “COVID19 특별이민법”이 발표와 함께 전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COVID19(이하, 코로나) 사태로 인한 각종 비자… 더보기

코로나19가 이민을 바꿀 지도 (2탄)

댓글 0 | 조회 7,358 | 2020.04.14
코로나 19로 인하여 상황이 워낙 시시각각 변화되는 시기인지라, 저의 지난 번 칼럼 이후로 변경사항이 있어서 이 부분 먼저 써머리 한 접시 올려드려 봅니다.3일이… 더보기

코로나 19가 이민을 바꿀 지도 (1탄)

댓글 0 | 조회 8,537 | 2020.04.03
핵무기를 앞세운 제3차 세계대전이 아니더라도 우리 사는 동안에 천지가 개벽할 일이 그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음을 여실히 증명한 코로나19 또는 코로나바이러스(이하… 더보기

코로나는 이민법도 바꾼다

댓글 0 | 조회 7,056 | 2020.03.24
코로나19 또는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로 표기)로 인한 문제는 마치 공기처럼 그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그 여파는 시시각각 다르게 변화하…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를 알 수 있는 지도

댓글 0 | 조회 3,323 | 2020.03.11
“파트너쉽”이라는 단어는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부부, 혹은 사실혼 관계로 영주권 또는 비영주권 비자를 신청하고자 하는 커플들에게는 참으로 중요한 개념입니다.상담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