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비자(Visitor visa)에 대한 이민부의 가이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방문비자(Visitor visa)에 대한 이민부의 가이드

0 개 3,497 정동희
어느 나라든지 입국하기 위해서는 비자(visa)라는 입국허가증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뉴질랜드 이민부가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방문비자(visitor visa) 안내서를 제 나름대로 각색한 것이며 100% 확실한 정보는 이민부의 영문판 가이드 및 이민부 홈페이지가 우선합니다.

문 : 뉴질랜드를 방문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한가요?
답 :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비자를 해외에서 받고 뉴질랜드에 입국해야 한답니다.

● 뉴질랜드 시민권자(citizen)이거나
● 뉴질랜드 영주권자(residence class visa holder)이거나
● 호주 시민권자(citizen) 또는 비자면제국가 협정 국적자(visa waiver-visitor)

문 : 방문비자는 어떤 목적의 입국자에게 주어집니까?
답 : 다음과 같은 경우 중 하나에 해당될 때입니다.

● visit as a tourist (관광객으로 방문) 
● visit friends or relatives(친구 또는 친지 방문)  
● play sport or perform in cultural events without pay(무보수라는 조건하에 문화적인 행사에서 스포츠 등의 공연시)  
● enter New Zealand to get married(결혼목적 입국) 
● undertake short-term study(단기 학업)

문 : 단기학업이라 함은 얼만큼의 기간을 의미하죠?
답 : 12개월의 기간 안에 하나의 코스든 몇 개이든 총 3개월간 학업이 가능합니다.

문 : 취학아동(초중고교생)의 경우 방문비자로 학교를 다니려면 어떤 룰이 적용됩니까?
답 : 하나의 calendar year(1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을 뜻함) 중에 최장 3개월의 기간을 한번만 재학하는 룰을 지켜야만 합니다. 즉, 방문비자 소지자로서 지난 해의 텀 4를 다니고 올해의 텀 1을 다니는 것은 허락되지 않네요. 만일 3개월 이상 학교를 다니고 싶다면 학생비자를 신청하셔야지요.

문 : 방문비자 상태로 취업이 가능합니까?
답 : 안되지요. 안됩니다. 

문 : 방문비자 면제 협정 국가의 국적자가 무비자로 입국시에 입국카드(arrival card)를 작성하는 것 자체가 방문비자를 신청하는 거라고 안내 받았는데요. 입국심사시에 입국카드 외에 어떤 것을 심사하는지요?
답 : 다음의 조항을 아울러 심사하게 됩니다.

● 뉴질랜드에서 출국하는 항공권(단, 그 타국에 입국할 수 있는 권리 소유자여야 함) 소지 여부
● 체류 기간 동안 충분히 서포트할 만큼의 자금
● 뉴질랜드 출국 예정일보다 최소 3개월 이상 유효기간이 남아 있는 여권

문 : 방문비자 상태에서 해외를 다녀오려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지요?
답 : 일반적으로 방문비자(최초 무비자 입국시 3개월의 비자 제외)는 멀티풀(multiple)입니다.  즉, 비자 기간 이내에는 무한정 입국/출국/재입국이 가능하단 말이지요. 하지만, 본인의 비자가 멀티풀인지 아닌지 확실히 확인한 후에 출국/재입국 하시길 권고합니다.

문 : 방문비자 신청서는 한 사람당 하나씩인가요?
답 : 아닙니다. 배우자/파트너 그리고 의존자녀(dependent children)를 하나의 신청서에 포함시킬 수 있답니다. 그러나, 포함된 사람들도 다 방문비자의 조건은 지켜야 합니다.

문 : 의존자녀의 정의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답 : 만 19세 또는 그보다 어려야 합니다. 만일 18세에서 19세 사이라면 그 자녀의 자녀가 없어야 하며 부모와 공동거주 여부를 떠나서 재정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해야만 해요. 

만 18세 미만의 경우엔 대개의 경우 의존 여부에 대한 증빙자료 요청은 없을 겁니다. 하지만, 18세, 19세의 경우는 분명 위의 재정적인 의존 증빙자료를 요청할 거랍니다.

문 : 방문비자를 신청해 놓은 상태에서 비자만기가 도래하면 어쩌죠?
답 : 뉴질랜드 내에 체류하고 있는 신청자에게는 임시비자(Interim visa)가 자동으로 발급되지만, 개런티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임시비자는 비자만기일이 가까워지면 레터나 이메일로 신청자에게 연락이 가지요. 유감스럽게도, 임시비자는 신청한다고 해서 발급되어지는 건 아니에요. 다행히도, 신청비는 따로 없으며 임시비자를 위한 신청서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임시비자 상태에서는 해외여행이 불가능하며 최장 6개월 또는 기 신청한 비자에 대한 결정이 날 때까지 유효합니다.

문 : 의존자녀가 혼자 또는 부모 중 한 명과 뉴질랜드에 입국한다면 어떻게 되지요?
답 : 그 자녀가 본국을 떠나도 된다는 증빙자료 제출을 요청 받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양육권 또는 가디언쉽 증거자료 등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문 : 유학생을 위한 법적 가디언(legal guardian)은 가디언 비자를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것은 어떤 비자이죠?
답 : 방문비자에 속합니다. 그러므로 방문비자의 기본적인 룰을 따라야 하지요. 

문 : 어떤 자격의 학생으로 인하여 가디언 비자를 받을 수 있을지요?
답 : 유학생 학비(foreign fee)를 내는 학생이어야 하며 1학년에서 13학년에 재학해야 하지만 나이는 만 18세 미만이어야만 합니다. 

문 : 가디언비자 소지자가 그 학생 없이 해외여행이 가능한가요?
답 : 불가능합니다. 학생을 반드시 동반하여 출국해야 하며 아울러 학업기간 동안 함께 거주해야만 하지요. 만일 이 조건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최악의 경우 추방도 있을 수 있습니다.

문 : 가디언 비자 소지자가 신청할 수 없는 비자는 어떤 것이 있지요?
답 : 학생비자, 일반 워크비자, 특별목적 또는 이벤트 워크비자로는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문 : 가디언 비자 소지자라도 취업 또는 학업이 가능하다던데요?
답 : 조건변경 신청을 통하면 파트타임으로 가능합니다. 취업의 경우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2시 30분 사이에만 가능하며 반드시 고용제의가 있어야만 하지요.

문 : 방문비자 신청자도 경찰 신원조회서를 제출합니까?
답 : 2년 이상의 체류가 예상되거나 이미 2년이 되었다면 제출해야만 합니다. 

문 : 국적이 있는 나라의 것만, 즉, 한국 여권 소지자라면 한국의 경찰 신원조회서를 내면 되나요?
답 : 그것은 기본이구요. 이것 외에도 있습니다. 다음의 조항에 주목하십시오.

● any country in which you have lived for five years or more since the age of 17 years

즉, 만 17세 이후에 만 5년 이상을 거주한 국가가 있다면 그 나라의 경찰 신원조회서도 제출해야만 합니다. 예를 들어, 만 20세부터 25세까지 5년간 호주에 체류한 사실이 있는 신청자가 기 2년을 뉴질랜드에 체류해 왔는데 향후 방문비자, 학생비자, 또는 워크비자를 연장 하게 된다면 한국 것 외에 호주 경찰 신원조회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되지요.

문 : bona fide visitor 인지 아닌지를 심사하는 조항이 있으며 이 조항이 무섭다던데요?
답 : 이민부는 신청자가 소위 진실한 자인지 아닌지를 심사하게 되어 있습니다. 다음의 조항들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지죠.

● 개인적인 환경 : 본국과 뉴질랜드의 체류 가족과 관련한 재정, 취업, 재산 등을 감안하여 신청자가 비자 만기시에 본국으로 귀국할 사유가 충분한 지 여부
● 신청자가 과거에 비자 신청시 문제가 있었는지 여부, 가령 불법체류자였는지 또는 비자의 조건을 어긴 적이 있었는지 등의 심사
● 뉴질랜드 내에 불법 체류중인 의존 가족이 있는지 여부
● 비자 만기시 본국으로 돌아갈 의사가 있는지 여부

문 : 재정 증빙은 얼마나 해야 하는지요?
답 : 1인당 월 $1,000의 자금이 증빙되거나 숙박비가 기 지불된 경우라면 1인당 월 $400 증빙으로 해결이 됩니다. 또는 뉴질랜드 스폰서가 있어야지요.  

청춘이민을 선도하는 FTA 타결

댓글 0 | 조회 2,519 | 2014.12.10
2014년마저 아무런 호재없이 그냥 가는가 라는 절망감이 팽배해 있던 교민사회에 지난 11월, 한-뉴 FTA합의가 발표되면서 절대다수의 한인들이 긍정의 씨앗에 물… 더보기

NZ에서 불법체류를 면하는 현명한 길

댓글 0 | 조회 5,799 | 2014.12.23
2015년에는 불법체류자가 조금이라도 줄어드는 해가 되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시작합니다. 영주권자, 시민권자에게는 남의 이야기가 되겠으나, 비영주권 비자 소지자에… 더보기

요리사, 부족인력군에 남기로 하다

댓글 0 | 조회 4,036 | 2015.01.14
2015년 새해에 부디 바라옵기는, 새로운 캘린더에 새로운 이민법이 생겨나서 새로운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어 교민사회에도 새로운 일들이 많이 벌어지길 소원합니다.… 더보기

워홀러로 뉴질랜드에 정착하기

댓글 0 | 조회 5,087 | 2015.01.28
워킹할리데이 소지자를 뜻하는 워홀러라는 이름으로 매년 많은 청년들이 뉴질랜드에 입국하고 있습니다. 작년 말에 타결된 한-뉴 FTA가 양국의 국회를 통과하여 시행되… 더보기

대체, 누가 어느 루트로 영주권을 받나?

댓글 0 | 조회 3,319 | 2015.02.10
제목이 좀 저돌적이긴 합니다만, 많은 분들이 늘 궁금해 하는 질문이죠. 물론, 이 질문에서 “얼만큼의 한국인이”라는 말이 빠져있기는 하지요? “지난 15년간 누가… 더보기

쉬워 보이나 진지해야만 하는 각종 비자 신청서

댓글 0 | 조회 2,537 | 2015.02.24
원하는 것이 있어야 사람은 살아 있는 것이 아닐까요? 원하는 것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말, 글, 행동, 그리고 마음이 있겠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하나의 형식을 갖춘… 더보기

순간의 선택이 이민 인생을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2,764 | 2015.03.11
하나의 결정이 내려지기까지는 많은 프로세싱이 관여를 하지요. 물론, 직관과 소위 “촉”을 따라 결정하는 일도 필요한 우리네 인생살이입니다. 하지만, 한 개인 또는… 더보기

이민부가 막~ 업데이트한 이민정보 Q & A

댓글 0 | 조회 4,157 | 2015.03.24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답니다. 이… 더보기

이민부의 온라인 워킹할리데이 Q & A

댓글 0 | 조회 2,181 | 2015.04.14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답니다. 다… 더보기

이민부가 안내하는 직업 종교인 비자

댓글 0 | 조회 2,686 | 2015.04.29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더보기

이민부가 제공하는 일반워크 비자 종합 안내서

댓글 0 | 조회 3,564 | 2015.05.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더보기

워킹 할리데이비자를 놓친 그대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2,434 | 2015.05.27
워킹할리데이 소지자를 뜻하는 워홀러라는 이름으로 매년 많은 청년들이 뉴질랜드에 입국하고 있습니다. 2014년 말에 타결된 한-뉴 FTA가 양국의 국회를 통과해야만… 더보기

현재 방문비자(Visitor visa)에 대한 이민부의 가이드

댓글 0 | 조회 3,498 | 2015.06.09
어느 나라든지 입국하기 위해서는 비자(visa)라는 입국허가증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뉴질랜드 이민부가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방문비자(visitor visa) 안내서… 더보기

이민부가 제공하는 고용주를 위한 종합 안내서

댓글 0 | 조회 2,392 | 2015.06.24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더보기

요리학과를 통한 영주권 승인 사례

댓글 0 | 조회 3,262 | 2015.07.15
소위 “유학 후 이민” 과정을 통한 영주권 취득이 현실적으로 가장 확률이 높은 게임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지요. 그 많은 코스들 중에서도 “올~킬”은 … 더보기

고교 졸업 예정 유학생들을 위한 영주권 길라잡이

댓글 0 | 조회 2,732 | 2015.07.28
요즘처럼 환율이 좋은 적이 참 오래되었지요. 수입업에 종사하는 분들은 울상이겠으나 유학과 관광업, 그리고 수출업에는 호재입니다. 뉴질랜드는 유학에 필요한 제반 비… 더보기

일반워크비자 연장시 유의점 모음집

댓글 0 | 조회 7,463 | 2015.08.12
연장이라고 하면 통상적으로 기존 비자와 모든 것이 동일한 상태에서 만기일만 몇 년 더 늘려 달라는 것으로 이해하기 십상입니다. 하지만, 일반 워크비자의 경우라면 … 더보기

11월 이후의 이민법 변경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4,189 | 2015.08.27
뉴질랜드 정부와 이민부는 지난 7월말 발표를 통하여 오는 11월 1일부터 변경 적용될 이민법 중에 주목할 만한 사항들을 발표하였습니다. 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보기

한국인 영주권 승인자 전년대비 20% 감소 !!

댓글 0 | 조회 5,162 | 2015.09.09
이민부의 회계연도는 매년 7월 1일에 시작되지요. 그러므로 지난 6월 30일은 2014/15년도 통계자료가 완성된 날이었습니다. 이 칼럼을 시작한 지난 2012년… 더보기

이민부가 전하는 심사 동향 및 최신 정보

댓글 0 | 조회 3,211 | 2015.09.24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그리고 법무사용 뉴스레터 등을 통해 각종 이민정보와 이민법, 그리고 최근의 심사동향에 대해 친절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각 브랜치마… 더보기

이민부 최신 통계자료로 보는 워크비자

댓글 0 | 조회 2,404 | 2015.10.15
이민부의 회계연도는 매년 7월 1일에 시작되지요. 그러므로 지난 6월 30일은 2014/15년도 통계자료가 완성된 날이었습니다. 9월 칼럼으로 배달한 한국인 영주… 더보기

요리학과-기술이민-영주권 코스를 탐하라 !!

댓글 0 | 조회 2,823 | 2015.10.28
2015년 10월 현재, 뉴질랜드 영주권을 취득하는 한국인은 월평균 80여명. 사견임을 전제로 말씀 드려 보자면요. 이 중의 80%에 해당하는 64명 정도는 기술… 더보기

11월에 미리 살펴 보자 ! 가디언 비자 !

댓글 0 | 조회 3,132 | 2015.11.11
자녀가 International student(국제 유학생)임에도 불구하고, 동반 체류하는 父나 母가 체류할 비자가 따로 없어서 가장 저렴한 학비를 내면서라도 어… 더보기

11월 11일의 기술이민 의향서 분석

댓글 0 | 조회 3,792 | 2015.11.25
일반이민 또는 점수제 이민으로도 불렸던 현 기술이민(SMC -Skilled Migrant Category)은 외국에서 보기엔, 참으로 복잡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 더보기

헨더슨 이민부의 2015 마지막 뉴스레터

댓글 0 | 조회 2,436 | 2015.12.09
뉴질랜드 이민부 브랜치 중 하나인 Auckland Henderson Branch는 매월 이민법무사 및 이민 컨설팅 관계자들에게 보내는 뉴스레터를 통해 최신 업데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