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기술 (Ⅰ) - 정리의 기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공부의 기술 (Ⅰ) - 정리의 기술

0 개 1,218 김준

이제 2016학년도 신학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 두 달 여간의 긴 방학 동안 학생들은 연말 시험의 결과를 받아보았을 텐데 어떤이는 끈질긴 노력이 주는 달콤함을 맛보았을 것이고 또 다른 이는 잠깐의 게으름이 인생에 미치는 치명적인 영향을 경험하기도 했을 것이다. 그 결과야 어찌 되었건 이맘때가 되면 잘한 이는 잘한 이대로 부족한 이는 부족한 이 대로 마음에 품는 공통적인 생각이 있으니 새 학년엔 공부를 좀 더 잘해보고 싶다 -결국 성적을 잘 받아보고 싶다- 는 것이다. 지난 한주간 이 즈음의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조언이 무엇일까를 곰곰히 생각하다가 결국 누구나 궁금해 하고 누구나 따라 걷고 싶은 공부의 왕도(Royal way) 대해 쓰기로 결정했다. 물론 격언이 말하듯 공부엔 왕도가 없다. 당연히 내가 말하고 생각하는 대로 척척 이루어지는 비현실적인 공부방법은 없겠지만 가장 효율적이고 가장 인간공학적인 방법이면서도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방법은 분명히 있을 것이고 필자는 이 방법들을 ‘왕도’라고 부르고 싶다. 앞으로 몇 편에 걸쳐 그간 필자를 지나쳐간 학생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경험에 의한’ 공부의 왕도를 적어나갈 계획인데 바라기는 단 한 명이라도 이 글들의 영향으로 월등한 성적향상을 이루길 기대하는 바이다. 

 

오클랜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호주에서 국제정치를 공부한 후 20대의 나이에 지금은 미국에서 지역의회 의원(?) 보좌관을 하고 있는 L. 얌전하고 차분한 성격에 스스로를 ‘완벽주의자(perfectionist)’로 불러주길 바라는 (필자가 보기엔 결벽증임) 깐깐함을 생각해보면 Globalization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그의 행보가 영 신기하기만 하다. 하지만 학창시절 음악과 운동에 탁월한 소질을 보이고 남을 잘 배려하는 성품을 지녔으며 거기에 연예인에 버금가는 외모를 가지고 있는걸 생각하면 한편으론 누구에게나 사랑 받을만한 친구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필자가 L을 처음 만난 것은 L이 Y11 때였다. 여러가지 고민끝에 AP Chemistry시험을 치르기로 한 후 이왕이면 공부의 효과를 오래 누리고자 Y12에 응시하기로 결정했고 그 준비를 Y11 중반에 시작하게 되어 필자와 1년여의 공부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전화로 이러저러한 이야기를 하고 본격적인 수업이 시작 된 다음주, L의 방에 들어선 필자는 방안에 가득한 책꽂이와 그 절반 이상을 채우고 있는 폴더들에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어림잡아 100개가 넘는 폴더들은 일단 그 위치로 구분되어 있었고 종류별로 다른 색깔의 레이블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색깔의 레이블 위엔 또 다른 분류코드로 사용되는 작은 색종이 같은 것이 붙어 있었다. 물론 폴더 이름 또한 일목 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음은 말 할 것도 없었다. 필자가 입을 벌리고 멍하니 서있자, 같이 들어오신 L의 어머님께서 겸연적게 말씀하신다. 

 

‘뭐 하나 시작하려면 맨 처음하는게 폴더 사는거예요. 지는 폴더가 정리 안되면 기억이 안난다나 뭐라나..’

 

그 정도 수준의 정리 정돈을 처음 접한 필자는 시험 삼아 L에게 화학의 한 topic에 대한 자료를 가져오게 시켜봤는데 1분도 안 되는 시간에 L은 대 여섯 개의 폴더를 가져오고 더구나 각 폴더에서 topic과 관련된 정확한 페이지를 펼쳐 보였다. 폴더별로 정리한 것도 놀라운데 각 폴더마다 토픽별로 탭을 붙여 찾기 쉽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다! 그날 이후 필자는 L을 ‘결벽증 환자’라고 약올렸고 L은 필자의 자연적이고 부담없는 생활 태도를 ‘지저분이 넘치는 쌤’ 이라며 받아 치며 놀렸다. 

 

L과 공부를 하면서 필자가 느낀 것은 L은 한번 공부한 것을 잊고 싶어하지 않았고 스스로의 기억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했으며 현대사회가 ‘Know How’ 보다 ‘Know Where’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어린 나이에 이미 간파했다는 사실이었다. 실제로 L은 수업 중간 중간 그간 정리해 놓은 폴더와 파일들을 참조했는데 이는 그의 폴더 시스템이 이미 머리 속에 정확히 각인되어 있어 언제나 필요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또 하나의 두뇌역할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했다. 그의 철저한 자료 관리와 열정 덕분에 다행히도 L은 AP 5점을 마킹 했으며 Y12 5월 이후 캠브리지 과정을 마칠 때까지 ‘유기화학’ 외의 파트는 더 이상 손을 대지 않아도 되는 경지에 이르러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L과 같이 타고난 성격상 정리 정돈에 능숙한 학생이 있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필자가 본 컬럼에서 이미 다룬 적이 있는 AIC에 재학했던 여학생은 공부방의 두 책상이 켜켜이 쌓아 놓은 자료들로 빼곡해서 때론 랩탑을 놓기 위해 정리를 해야 할 정도였는데 신기한 것은 이 학생도 필요한 자료가 어디에 있는지 거의 정확히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현재 한국에서 의대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필자의 조카는 방 가득 책상을 둘러 배치해 놓고는 그날 공부해야 할 과목별 자료들을 시간 순으로 배치해 놓은 후 의자를 옮겨가며 공부하곤 했었다. 

 

누구에게나 자신에게 맞는 정리의 방법과 기술이 있을 것이다. 마치 학생마다 선호하는 정보입력 방법이 다른 것처럼 이 또한 천차만별일 것이데 필자가 본 지면을 통해 꼭 강조하고 싶은 것은 첫째로 학습에 있어 자료정리는 가장 첫 번째 필수조건이다. 둘째로 정리한 자료는 꼭 활용을 해야 한다. 셋째로 자료정리는 모으기뿐 아니라 ‘폐기’도 포함한다는 세가지이다.  

다시 8월에 서서

댓글 0 | 조회 1,130 | 2020.07.29
어느덧 말도 많고 사연도 많았던 2020년을 두동강내며 term3가 시작되었습니다. 한 학년의 가운데를 가로 지르는 term2 방학이 끝났으니 이제는 하반기로 접… 더보기

공부해도 소용없는 그대에게

댓글 0 | 조회 1,131 | 2022.05.11
인간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전승의 수단이며, 동시에 개인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의 수단이고, 또한 발랄한 젊은이들의 삶에 고통과 아픔을 선사하는 … 더보기

과연 학교는 사라질 것인가?

댓글 0 | 조회 1,132 | 2021.06.23
'인생이란 선택의 연속이다.’이제 세상을 좀 알만큼 안다고 생각하는 우리 어른들이야 고개를 끄덕거릴만큼 이성적으로 감성적으로 응당 인정이되는 말입니다. 첫 직장의… 더보기

초심

댓글 0 | 조회 1,134 | 2017.09.13
중학교 2학년때였던 것 같습니다. 온 친척들이 한 자리에 모인 어느 명절 날, 당시로선 굉장히 좋은 고등학교에 다니던 사촌형과 오랫만에 만나 이런 저런 이야기를 … 더보기

갑옷입은 최고의 타자

댓글 0 | 조회 1,144 | 2019.12.23
과거의 삶을 기록해 놓은 역사서적들을 읽다보면 가끔씩 현대의 발명품들에 버금갈 정도로 효율적이고 뛰어난 기술의 활용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실학자였던 … 더보기

공부의 왕도 6편

댓글 0 | 조회 1,144 | 2019.09.25
자료선별 (무엇을 어떻게 참고할 것인가?)몇 년전의 일이라 기억됩니다. 이른 오후 학원에 앉아 이것저것 관리적인 일들을 하고 있었는데 계획에 없던 손님이 한분 찾… 더보기

상념

댓글 0 | 조회 1,146 | 2018.03.01
‘청춘은 청춘에게 주기엔 너무 아깝다.’영국의 문인인 죠지 버나드 쇼가 한 말이라 합니다. 94세까지 장수한 인물이니 그가 얼마나 많은 시간 동안 머리에 피도 안… 더보기

길을 만드는 자

댓글 0 | 조회 1,150 | 2018.12.21
Be a brad.영어권 국가들의 이름들은 주로 그 사람의 직업에서 기인하거나 신체조건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등장했던 최초의 … 더보기

꽃을 피우다

댓글 0 | 조회 1,150 | 2017.08.23
햇빛 잘 드는 창가 서랍장 위에 올려 놓은 작은 화초가 드디어 꽃을 피웠습니다.손바닥보다도 작은 플라스틱 화분에, 앙증맞다고 밖에는 표현할 길이 없는 잎 더미들 … 더보기

Iceland, ‘I’s land

댓글 0 | 조회 1,154 | 2018.10.12
세상은 넓고 먹거리는 많다지만 그 다양하고 풍성한 음식들 가운데 유독 선뜻 손이 가지 않는 음식으로 유명한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화산활동으로 유명한 나라 아이슬… 더보기

그대, 나의 뜨거운 국물

댓글 0 | 조회 1,181 | 2021.10.13
나이를 한 살, 두 살 더 먹어갈수록 건강에 대한 염려가 조금씩 커지고 어떻게 살아야 더 오래, 더 건강한 삶을 누릴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커져만 갑니다. 요즘… 더보기

마찰

댓글 0 | 조회 1,181 | 2021.01.13
새해가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며칠전.. 아침에 일어나 카페인충전을 하려다보니 제가 아끼는 커피 텀블러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같은 커피라도 좋아하는 텀블러에 … 더보기

융합 과학의 시대 - 논리적 분석 훈련을 하자 3

댓글 0 | 조회 1,191 | 2016.01.14
필자의 지인중 한 분이 자신의 전 회사 상사에 대해 해 준 이야기가 있다. 그 분은 당시 캐나다로 기술 이민을 가신 분 이었는데 그 분이 가진 ‘기술’이라는 것이… 더보기

나는 왜 ‘공부운’이 없을까?

댓글 0 | 조회 1,200 | 2020.02.26
2002년 겨울, 미국의 솔트레이크시티(Salt Lake City).한창 동계올림픽의 열기에 휩싸여 있는 이 도시에서 기적과도 같은 금메달 수상자가 탄생했습니다.… 더보기

리플리 신드롬

댓글 0 | 조회 1,200 | 2019.01.16
2015년 6월, 한국의 한 주요일간지는 일주일쯤 전에 올렸던 신문기사를 정정하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정정된 이전 기사의 내용은 미국에 거주중인 한 한국인 이민… 더보기

말, 말, 말!

댓글 0 | 조회 1,204 | 2018.06.30
세상 누구나 인정하는 낭만의 도시 파리.하늘도 맑은 어느 가을날 오후, 한 중년 신사가 맵시있게 빠진 철제 가로등을 끼고 돌아 광장입구에 들어섰을 때였습니다. 난… 더보기

상권

댓글 0 | 조회 1,204 | 2019.03.14
4년간 생활하던 장소를 떠나 또 다른곳으로 옮겨간다는 것은 말처럼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동안 도톰하게 쌓여있던 떠깨비같은 먼지를 털어내야자니 긴 시간… 더보기

그에겐 그의 성공이 있다

댓글 0 | 조회 1,207 | 2017.02.09
연일 날씨가 점점 더 더워져 간다. 날이 추우면 추운대로 싸늘한 대학 도서관에서 공부에 매진하던 아이들이 떠오르고 날이 더우면 더운대로 솟아나는 땀방울을 훔쳐가며… 더보기

노력 2020

댓글 0 | 조회 1,216 | 2019.11.26
뉴턴이 창시했다고 알려진 고전 역학은 고도로 체계화된 물리학의 한 분야 입니다. 고전역학이 다루고 있는 물리량은 참으로 다양하지만 그 중 모든 다른 개념들의 근본… 더보기

학교병

댓글 0 | 조회 1,216 | 2016.05.25
이곳 오클랜드에서 꽤 오랜 시간 사교육에 종사하다 보니 오클랜드 각 학교마다 전통적인 ‘학교병’이 있다는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 됐다.중심부의 명문 공립 오*** … 더보기

현재 공부의 기술 (Ⅰ) - 정리의 기술

댓글 0 | 조회 1,219 | 2016.01.27
이제 2016학년도 신학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 두 달 여간의 긴 방학 동안 학생들은 연말 시험의 결과를 받아보았을 텐데 어떤이는 끈질긴 노력이 주는 달콤함을 맛… 더보기

시험준비 - 최후의 전략

댓글 0 | 조회 1,221 | 2017.11.09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형을 이야기하고 산세를 이야기할 때, 또는 어려운 일을 당한 지인을 위로하고 응원할 때 흔히들 쓰는 표현입니다. … 더보기

공부의 왕도 5편 -쓰기

댓글 0 | 조회 1,228 | 2019.09.11
그동안 지지리도 공부 안하던 학생이 맘먹고 책을 펼쳤을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멍~하게 앉아있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공부의 왕도 시리즈가 이제 … 더보기

피그말리온, 스티그마

댓글 0 | 조회 1,238 | 2018.11.15
피그말리온은 사랑에 빠졌습니다. 한 나라의 왕이라는 체면에도 불구하고 볼 발그래한 10대 소년이나 매료될법한 어여쁜 조각상에 푹 빠져버리고 말았습니다. 그것도 자… 더보기

이제 절반?

댓글 0 | 조회 1,240 | 2016.07.13
이제 2016년의 한가운데를 가로 지르는 term 2 방학이 시작 되었다. 선뜻 느껴지는 것은 이제 반이 지났구나.. 이제 반년 남았구나.. 하는 2분법적인 감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