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8] 가족 초청이민에 대하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18] 가족 초청이민에 대하여

0 개 2,513 코리아타임즈
**** 새로운 이민부 장관 ****


  53살의 현 이민부 장관 Paul Swain이 28살의 두 번 째 아내와의 사이에 낳은 10개월 된 딸과 보다 많은 시간을 가지기 위해 차기 내각 구성 시 이민부 장관직에서 사임한다고 한다. 후임으로는 현재 차관 직을 수행하고 있는 Damien O’Connor가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작년 스리랑카 난민 신청 소녀의 강제 귀국조치와 맞물려 일부 한국교민지의 조롱 속에 해임 조치된 Lianne Dalziel 전 이민부 장관이 이번 조각 시에 다시 복귀할 것이 거의 확실시 되는 것 같다. 최고 권력자가 신임하는 정치인은 설사 일시적인 좌절은 있어도 여론이 잠잠해지면 여지없이 일선으로 복귀하는 것은 뉴질랜드나 한국이나 마찬가지인 것같다.

  2002년 11월 영어조항 신설 및 이민법 강화로 한국인들에게는 거의 폐쇄효과를 가져오게 한 주 장본인인 전 이민부 장관의 화려한 복직, 그 뒤를 이어 받아 아무 정책의 변화 없이 임무를 수행해온 현 장관의 위와 같은 가정사를 이유로 한 사임 등 뉴질랜드 이민부는 새로운 이민자들이 안 들어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인 뉴질랜더들의 사정은 안중에 없는 듯 평온하게 새로운 이민부 장관을 맞이할 듯하다.

**** 가족 초청이민의 개략 ****

■ 초청 대상: 배우자, 부모, 형제(혹은 성인자녀) 등
■ 영어 시험: 없음
■ 스폰서의 뉴질랜드 최소 의무 체류기간:
- 배우자 초청: 없음
- 부모 초청 및 형제 초청: Residence Permit(영주허가) 받고 만 3년이 경과해야 함.

**** 배우자 초청 이민 ****

  뉴질랜드 이민부에서 인정하는 배우자의 개념은 아래와 같다.
  “they have been living together for 12 months or more in a partnership that is genuine and stable* with a New Zealand citizen or resident*.”(신청자는 뉴질랜드 영주권자나 시민권 자와 함께 실질적이며 안정적인 배우자관계 속에서 1년 이상 동거를 해온 사람)

  따라서 갓 결혼 한 부부이거나 결혼한지 1년 이 채 안된 부부의 경우 배우자의 영주권 신청이 가능은 하나 영주권 승인은 실질적인 동거가 만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신청 후 영주권 승인이 나오는 시점까지는 open work permit을 받고 부부관계 유지 및 정상적인 뉴질랜드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배우자 초청이민 역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어시험 조항은 없다. 허나 만일 신청자와 스폰서(초청인)가 그 이전부터 부부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었고 스폰서가 영주권 신청 당시 배우자가 포함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포함되지 않았다가 이 후 배우자 자격으로 초청이민을 신청한다면 그 배우자는 스폰서가 영주권 신청 당시의 영어관련 조항을 적용 받아 영어수업료 등을 선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03년 기업이민 영주권 신청 당시 배우자가 한국에 있어 제외시켰다가 2005년에 배우자가 뉴질랜드에 완전히 들어와 같이 살고자 배우자 초청이민을 하게 되면 그 배우자는 영어시험성적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영어수업료 $3,350을 이민 부로부터 요구 받게 될 것이다.

  호적등본에 부부로 등재되면 부부인 한국과 달리 실질 동거혼을 중시하는 뉴질랜드인만큼 결혼하자마자 이 배우자 초청을 통해 영주권 신청을 한 경우 1년간 동거하고 있음을 잘 증빙할 수 있도록 서류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 부모초청 ****

  자녀가 뉴질랜드의 영주권을 받았다 하더라도 곧 바로 한국에 계시는 부모님을 초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자녀들을 포함해서 뉴질랜드에 반수 이상의 자녀들이 이 곳에 영주권자로서 거주해야 한다는 조항 이외에도 주 스폰서가 되는 자녀가 영주허가(Residence Permit)을 받고 난 이후 3년간 뉴질랜드에 체류(매년 6개월 이상 체류)를 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3남매 중 스폰서가 되는 자녀가 2003년 1월 1일 영주허가를 받았다면 이 자녀는 부모초청을 위한 스폰서 자격이 2006년 1월 1일 생기게 되며 그 기간 안에 다른 자녀가 뉴질랜드 영주권을 받아 이 곳에 영주해야 하는 경우에 한해 초청을 할 수 있게 된다.  간혹 시민권을 영주권 취득하자 받은 고객들 중에 시민권자로서 초청하면 이런 의무 거주기간이 필요치 않는 것으로 이해하는 분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 이 체류기간은 영주권자나 시민권자 공히 해당하는 사항이다.

**** 형제(성인자녀)초청 ****


  가족 초청 중에 심사 우선 순위가 가장 뒤로 밀리는 카테고리이다. 간단히 말해 한국에 신청자를 제외하고는 부모 형제가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 신청자가 뉴질랜드에 있는 영주권 혹은 시민권을 가진 부모 혹은 형제의 스폰서쉽과 더불어 뉴질랜드 현지로부터의 고용제의(Offer of Employment)를 받을 경우에 가능한 초청 이민 카테고리이다.

  따라서 이 형제 초청이민은 그 선결조건으로 부모님들이 뉴질랜드에 오시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예를 들어 3남매 중 2자녀가 뉴질랜드 영주권을 가지고 있고 한국에 남은 형제를 초청하고 싶을 경우 영주권을 가진 자녀들 중 체류기간 3년을 경과한 사람이 스폰서가 되어 먼저 부모님을 초청해서 그 분들이 영주권을 받고 뉴질랜드에 입국한 이후 다시 남아있는 형제를 초청하는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다. 이 경우 부모님이 뉴질랜드에 체류하고 싶은 의사 여부를 떠나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만일 부모님이 영주권을 받고 입국하여 체류하면서 한국에 있는 형제초청 수속기간 중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신다면(일시적인 방문이 아닌) 이 형제초청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또 형제 초청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소위 잡오퍼이다. 부모와 배우자 초청은 스폰서의 전적인 책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지기에 이런 조항이 없으나 형제초청의 경우 대부분 한참 일할 연령대이며 스폰서와 별도의 세대를 구성할 것이 뻔하므로 이들이 뉴질랜드에 도착해서 소프트랜딩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직업이 필요하다고 판단을 하기에 이런 조항이 있는 것이다. 자녀 수에 따라 신청자 가족이 필요한 최소 연수입이 정해져 있으므로 사전에 반드시 참조할 것이며 이 수입은 신청자 배우자의 잡오퍼까지 포함 가능하므로 이 점 역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형제초청을 위한 잡오퍼는 기술이민처럼 까다롭게 전공이나 경력과의 연관성을 따지는 조항은 없으나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및 경험이 있는지는 보여줄 필요가 있다.  

[323]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댓글 0 | 조회 2,838 | 2005.12.22
*****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 얼마전 회사를 찾아온 고객이 있었다. 올해 신법하에서 장기사업비자를 받고 최초 주어진 9개월 동안 해야 할 … 더보기

[322] 황우석, 조지 베스트 그리고 한국 네티즌

댓글 0 | 조회 1,533 | 2005.12.12
***** 뉴질랜드 헤럴드의 두 한국인 ***** 최근 뉴질랜드 헤럴드에 기사화된 두 한국인이 있었다. 삼성 이건희 회장의 딸 고 이윤형씨와 서울대 교수 황우석씨… 더보기

[321] 유학과 이민이 만났을 때

댓글 0 | 조회 2,163 | 2005.11.21
***** 유학과 이민이 만났을 때 ***** 영어시험이 취업비자를 제외하고는 전 카테고리에 걸쳐있는 현 뉴질랜드 이민상황에서 신청자가 중. 장기적으로 이 곳 학… 더보기

[320] 뉴질랜드 이민, 유형별 사례

댓글 0 | 조회 2,139 | 2005.11.11
***** BMB 뉴스레터: 11월 3일자 ***** BMB(비즈니스이민사무소)의 최근 뉴스레터 중에 현재 기업이민을 통해 영주권을 신청한 분들에게 해당되는 소식… 더보기

[319] 비자(Visa)와 퍼밋(Permit)을 구분하자

댓글 0 | 조회 1,702 | 2005.11.11
***** 외무장관 윈스톤 피터스(Winston Peters) ***** 신문을 보니 윈스톤 피터스 뉴질랜드 제일당 당수가 이번 노동당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연정에… 더보기

현재 [318] 가족 초청이민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514 | 2005.10.11
**** 새로운 이민부 장관 **** 53살의 현 이민부 장관 Paul Swain이 28살의 두 번 째 아내와의 사이에 낳은 10개월 된 딸과 보다 많은 시간을 … 더보기

[317] 2005년 9월 뉴질랜드 이민동향

댓글 0 | 조회 1,922 | 2005.09.28
***** 당분간 변함없을 뉴질랜드 이민정책 ***** 9.17 총선이 끝났지만 부재자 투표의 개표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과 더불어 과반수 정당 득표를 한 정당이 … 더보기

[316] 총선, 이민 그리고 조지 부시

댓글 0 | 조회 1,693 | 2005.09.28
--------------------------------------- 안개 속, 먼 발치에 있는 각 당 이민정책 --------------------------… 더보기

[315] 삼순이가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려면

댓글 0 | 조회 1,926 | 2005.09.28
------ 삼순이 ------ 가장 큰 걸림돌이 아무래도 영어일 듯싶다. 헨리와의 대화에서 보여지는 삼순이의 영어실력은 IELTS 4.0을 받기도 힘들 것으로 … 더보기

[314] 탈렌트 비자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4,455 | 2005.09.28
***** 탤런트 비자, 과연 마이다스의 손인가? ***** 뉴질랜드 이민에 관심은 많으나 영어장벽으로 인해 또는 적정한 자격(학력)이나 경력의 미비로 인해 고민… 더보기

[313] British & Irish Lions 그리고 Barmy Army

댓글 0 | 조회 1,776 | 2005.09.28
--------------------- British & Irish Lions --------------------- 장장 6주간에 걸친 British & Iri… 더보기

[312] 기업이민심사 느려진다

댓글 0 | 조회 1,925 | 2005.09.28
지난 상반기에 속도를 내는 듯했던 장사비자 소지자의 기업이민을 통한 영주권 신청이 올 하반기 부터 다시 느려질 것으로 보인다. 웰링톤에 위치한 비즈니스이민사무소(… 더보기

[311] 어려운 뉴질랜드 이민, 준비하는 자세로

댓글 0 | 조회 2,410 | 2005.09.28
***** 무관심해져 가는 뉴질랜드 이민정책 ***** 지난 주 6월 17일에 발표된 투자이민 개정안은 몇글자 읽어 가던 중에 흥미를 읽어 버려 마저 읽기를 포기… 더보기

[310] 방문비자에서 웍비자 전환시 유의사항

댓글 0 | 조회 2,096 | 2005.09.28
***** 물 건너간 연내 이민법 개정? ***** 총선을 얼마 앞두지 않은 상황에서 연속되는 악재 속에 최근 National Business Review의 여론… 더보기

[309] 장사비자 연장 신청자의 기업이민 신청

댓글 0 | 조회 2,226 | 2005.09.28
***** 장비연장 신청자의 기업이민 신청 ***** 지난 5월 18일자 비즈니스 이민사무소(BMB)에서 각 에이젼트에게 이메일로 보낸 뉴스레터 형식의 통지문중에… 더보기

[308] 총선에 즈음한 단상

댓글 0 | 조회 1,794 | 2005.09.28
***** 4월 20일 이전 영주권 신청자 구법 적용 ***** 지난 4월 21일 발표된 새로운 시민권 및 여권법이 이미 교민지를 통해 소개되었으나 다소 미흡한 … 더보기

[307] 학생비자 소지자 취업기회 넓어진다

댓글 0 | 조회 1,822 | 2005.09.28
****************** 7월 4일부터 시행 ****************** 이미 예고되었던 학생비자/퍼밋 소지자의 취업기회 확대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 더보기

[306] 2005년 4월 뉴질랜드 이민 주변 상황들

댓글 0 | 조회 2,491 | 2005.09.28
***** 건강진단 관련 규정 요약 ***** 지난 3월 17일 이민부에서는 4월 4일부터 발효되기로 한 새로운 건강진단 관련 기준 및 양식의 시행일자를 올해 하… 더보기

[305] Catch me if you Can!

댓글 0 | 조회 2,143 | 2005.09.28
**************************** 키위들이여 집으로 돌아오라 **************************** 지난 3월 7일자 뉴질랜드 헤럴… 더보기

[304] 잡오퍼(Job Offer)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503 | 2005.09.28
93년에 처음 뉴질랜드에 도착했을 때 키위 아주머니집에서 홈스테이를 몇 달 한 적이 있었다. 서투른 영어로 대화를 하던 중 직업 이야기가 나와서 일을 찾을 계획이… 더보기

[303] 웍퍼밋 연장 및 기술이민학력인정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196 | 2005.09.28
************* 웍퍼밋 연장 ************* 최근의 뉴질랜드 이민카테고리의 전 부분에 걸친 영어시험제도 시행으로 인해 한국으로부터 이민을 희망하… 더보기

[302] 이민컨설턴트 면허제도가 시행된다는데

댓글 0 | 조회 1,791 | 2005.09.28
작년부터 거론되기 시작한 이민 컨설팅업무를 하는 사람들에 대한 면허제도에 대한 법안이 올해 5월 의회에 상정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이민수속대행과 관련하여 발생하… 더보기

[301] 장사비자에서 기업이민 신청시 짚고 넘어갈 것들

댓글 0 | 조회 2,087 | 2005.09.28
2002년 11월 19일 이민정책의 변환(영어시험의 부과 및 엄격한 기준 적용)으로 한국인에게는 거의 장사 비자 폐쇄의 효과를 가져오기 전까지 장사비자를 받 은 … 더보기

[300] 새로운 시민권 신청 법안 시행되나?

댓글 0 | 조회 2,277 | 2005.09.28
******************************** 시민권 신청 규정 새해부터 바뀌나? ******************************** 지난 해… 더보기

[299] 이민, 2004년을 돌아본다

댓글 0 | 조회 2,193 | 2005.09.28
***************** 호주로 가는 교민 ***************** 뉴질랜드 이민 10년차 되는 한 교민이 다음주 호주로 이민을 간다고해서 송별모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