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스랜드 과일파리(Queensland fruit fly)’ 한 마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퀸스랜드 과일파리(Queensland fruit fly)’ 한 마리

1 2,714 조병철
지난 5월초 오클랜드 주택가에서 ‘퀸스랜드 과일파리’ 한 마리가 당국의 예찰 트랩에서 발견되었다. 일차산업부(MPI, 새로운 조직의 농림수산식품안전부) 장관은 언론기관을 통하여 이를 발표했고, 곧바로 통제구역이 선포했다. 파리가 발견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5km의 모든 채소 과일 같은 이 파리가 서식할만한 식물체의 반출을 금지시켰다. 그리고 이들 파리가 서식할 만한 농산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한다. 또한 이 파리에 대한 홍보 전단을 만들어 인근지역에 돌리며, 대대적인 홍보 활동을 시작했다. 
 
도대체 이 파리 한 마리의 발견이 무슨 의미가 있기에 이런 야단법석인가? 
‘퀸스랜드 과일파리’는 호주 원산으로 전 세계에 4,500 종이 넘는 과일파리의 일종이다. 붉은갈색의 몸체에 노란 줄무늬를 가지고 있는 작은 파리로 일반 파리와 마찬가지로 알 애벌레 번데기 파리의 완전변태 곤충이다. 이 과일파리는 오클랜드의 온도와 습도 조건으로 충분히 번식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과일의 껍질에 알을 낳아서 번식한다. 이 파리는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먹고 사는 데, 특히 오렌지 아보카도 피조아 구아봐 토마토 포도 감 복숭아 같은 과일을 좋아 한다. 그렇지만 모든 과일파리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퀸스랜드 과일파리’를 비롯해서 100여 종만 검역대상이다.   
 
호주에서도 이 파리는 원예작물 재배에 꽤나 골치 아픈 해충이다. 또한 북반구를 중심으로 이 파리가 발견되지 않은 나라에서는 검역대상 주요 곤충으로 분류한다. 그래서 많은 국가에서는 이 파리가 들어오는 것을 바리지 않을 뿐 아니라 철저히 막아내려 한다. 그래서 이 파리가 서식되는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수입을 금한다. 그러니 뉴질랜드는 이 파리의 발견에 날카롭게 대응 할 수 밖에 없지 않겠는가. 
 
만약 이 파리가 뉴질랜드에서 서식하게 되면 현재 수출하는 키위 사과 채소 꽃 등 모든 농산물에(35억NZ$) 방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현재의 거래처에서 뉴질랜드 농산물 수입을 꺼리게 될 경우, 이에 대한 타격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또한 그 파급효과도 만만치 않다. 게다가 이 해충 방제를 위하여 들어가야 하는 예산만으로도 첫해 8억불에 넘을 것으로 정부는 밝히고 있다. 
 
최근 뉴질랜드는 키위에 발생한 ‘세균성궤양병(PSA)로 인하여 산업전반에 걸쳐 커다란 홍역을 앓고 있다. 또한 지난 2007년 대만에 수출한 사과에서 나방의 애벌레(Codling moth) 한 마리가 발견되어 수출이 중단된 사례도 있었다. 그 밖의 사례로는 뉴질랜드가 초기 사과묘목 도입과정에서 발견된 화상병(Fire Blight) 보고로 인해 2011년 처음으로 호주로 사과를 수출하기 까지 90년간 길고 긴 실랑이를 벌인 바도 있다. 이런 사유로 인해 뉴질랜드는 이 파리 한 마리의 발견에도 큰 의미를 부여한다. 이 과일파리의 청정지역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명분이 절실한 것이다. 
 
이 파리 발견에 대한 대처방안이 또한 흥미롭다.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지만 농약을 사용하는 화학방제를 도입하는 데는 아주 신중을 기한다. 아직은 이 파리 서식지를 발견한 게 아니므로 더 확인해야 한단다. 과일파리 예찰용 트랩을 더 많이 설치하고, 이 지역에서 별도로 수거한 농산물 쓰레기는 매립 처리한다. 그리고 관련 직원들은 대형마트에 찾아 시민들의 협조를 당부한다. 
 
이 과일파리가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지는 확실치 않다. 아마 호주에서 수입된 과일이나 여행객을 통하여 들어 왔을 가능성은 있다. 그리고 이런 일이 처음이 아니고, 1995년 이래로 세 번째다. 앞으로 삼주 정도 더 이상의 과일파리가 발견되지 않으면 모든 통제는 해제된다. 
 
우리는 공항에서 ‘비글’ 탐색견을 자주 만난다. 이 탐색견의 임무 중에 하나는 무심코 반입되는 농산물을 적발해 내는 일이다. 이런 농산물을 통하여 검역대상의 해충이 묻어 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반 시민들이야 이들의 노력에 협오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들은 이런 일에 진지하다. 이번 과일파리 사건을 계기로 그들의 노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은하수별
허허, 그것도 모르고 탐색견만 보면 마약 냄새 찾으러 다니는 줄 알았네요, 선생님 말씀처럼 지독하게 검색하는 모습이 기분 나쁠 때도 있지만 자국의 농산물들의 피해를 피해가려는 이들의 진지함은 배워야 할 것 같습니다. 진지한 검사가 오만한 수색이 되지 않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클랜드 식물원의 텃밭 디자인

댓글 1 | 조회 2,641 | 2012.05.08
오클랜드 식물원에서는 방문객센터 왼편에 새로 텃밭을 조성한다. 시민들의 텃밭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 시작해서 올해가 두 번째 해를 맞이한다. 첫해는 구획… 더보기

수퍼프루트(Superfruit)

댓글 0 | 조회 2,677 | 2013.03.13
어떤 과일을 즐겨 드시는지요? 세계에서 인기 있는 과일은 좀 엉뚱하게도 바나나와 감귤이다. 왜 그러냐 하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즐길수 있기 때문이다. 칼 같은 … 더보기

[372] 한국인이 찾는 순한 매운 맛

댓글 0 | 조회 2,714 | 2008.01.15
해외여행을 다녀와서는 얼큰한 것이 먹고 싶다고 한다. 김치 고추장 매운탕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과연 한국인이 찾는 이 얼큰한 맛은 무엇일까? 누구나 쉽게 짐작이… 더보기

현재 ‘퀸스랜드 과일파리(Queensland fruit fly)’ 한 마리

댓글 1 | 조회 2,715 | 2012.06.13
지난 5월초 오클랜드 주택가에서 ‘퀸스랜드 과일파리’ 한 마리가 당국의 예찰 트랩에서 발견되었다. 일차산업부(MPI, 새로운 조직의 농림수산… 더보기

화요일 저녁

댓글 1 | 조회 2,772 | 2011.10.12
어떤 모임이든 한 달에 한 번씩 모이면 월례회다. 예전에 한국 농촌에서 개최하던 4H 구락부(클럽) 월례회를 기억하시는 분도 계시리라. 마을회관에서 동네의 청소년… 더보기

유기농산물(Organic food)과 지역농산물

댓글 0 | 조회 2,773 | 2014.08.13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충분치 못할 경우, 슈퍼마켓 농산물 코너에 넘쳐나는 그들의 라벨로 여러분은 많은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유기농산물의 … 더보기

[370] 푸드 마일(Food Miles)

댓글 0 | 조회 2,796 | 2007.12.11
지난해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에서 유기 농산물 취급을 늘린다고 발표함에 따라 유기 농산물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 졌다. 그래서 시사주간지 타임(Time, 2… 더보기

강낭콩에 대한 추억

댓글 0 | 조회 2,843 | 2013.04.10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도 깊고/ 불붙은 정열은/ 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밝은/ 그 마음 흘러라./… 더보기

[382] 한 그루의 장미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2,912 | 2008.06.10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그루의 장미를 길러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될 거다. 필자도 여기 와서야 그 꿈을 실현하고 있다. 겨울은 장미를 돌보며 생각… 더보기

여름밤에 불어보는 하모니카

댓글 0 | 조회 2,914 | 2009.02.11
여름밤은 길어서 하모니카를 불기에도 좋다. 그러나 하모니카를 불어 본지가 너무 오래되었고,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내기도 쉽지가 않을 거다. 대신에 옥수수 하모니카를… 더보기

오클랜드 식물원에는 지금

댓글 1 | 조회 2,937 | 2009.04.15
어느 도시나 식물원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잘 아시겠지만 오클랜드시도 1번 모터웨이 옆 마누레와에 식물원(www. aucklandbotanicgardens.co… 더보기

농가월령가와 'Moon Calender'

댓글 0 | 조회 2,950 | 2008.09.10
"솔가지 꺾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장원(담장)도 수축하고 개천도 쳐 올리소.안팎에 쌓인 검불(지푸라기) 정쇄히 쓸어 내어 불 놓아 재 받으면 거름을 보태리니 육… 더보기

달콤함 속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댓글 0 | 조회 2,959 | 2014.10.15
현대인의 간편한 아침식사 시리얼에, 언제나 즐기는 커피에, 애들의 오후간식 초코바에, 목마를 때 찾게 되는 탄산음료에, 그리고 아이스크림에 상당량의 당분이 들어 … 더보기

[384] 과수원과 까치

댓글 0 | 조회 3,003 | 2008.07.08
한국의 가을철 사과 배 과수원에서는 까치와의 전쟁이 치열하다. 농업인들은 일 년 내내 가꿔온 탐스러운 과일을 지키느라 눈을 부릅뜬 상태이고, 먹을거리가 마땅치 못…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13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정도에 GE(유전자조작, Genetically engineered) 작물이 심겨 졌다. GE 작물이 개발 된지 14년만의 결과…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58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매우 소중하다. 우리가 이 공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은 현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당…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19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얘기는 끊이질 않는다. 영국의 찰스 황태자는 유기농 신봉자로 유명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채마…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48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어디서나 쉽게 탐스러운 장미를 만날 수 있어 좋다. 올해는 해밀톤 가든을 찾아 로저스 가든에서 장미 사랑에 흠뻑 빠져 보는 것… 더보기

[378] 사돈집 사과 먹는 법

댓글 0 | 조회 3,151 | 2008.04.08
사과의 계절이 다가온다. 그런데, 아직도 사과를 깎아서 드십니까? 한국에서 들여진 습관이 잘 바뀌지 않아서 그럴 수 밖에 없다면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런지… 더보기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7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다. 1951년 이래로 가장 심한 눈으로 기록되었다. 도로가 차단되는가 하면 기차 항공기 등 교통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더보기

Permaculture (퍼머컬처)

댓글 0 | 조회 3,161 | 2008.12.10
우리가 살고 있는 터전은 봄이 되면 꽃과 함께 벌 나비 모여들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져 새들이 드나들며, 가을에는 풍성한 열매로 우리와 주변 동물을 포용한다. … 더보기

선비의 밥상에 오르던 미나리

댓글 0 | 조회 3,166 | 2013.12.11
한민족의 정신문화를 대표하는 미덕으로 선비정신을 들기도 한다. 그런 선비들이 민속채소인 미나리를 즐겨 먹었으며, 거기서 식채로써의 삼덕(三德)을 발견했다니 흥미롭… 더보기

처절하게 선명한 붉은색 그대, 비트(Beet)

댓글 0 | 조회 3,176 | 2014.03.12
텃밭 한 귀퉁이에서 뽑아 온 비트, 머리 베고 꼬리를 자리니 선명한 붉은색이 칼에 번진다. 처절한 핏빛 같아 섬뜻 놀란다. 비트의 한 가운데 뿌리를 자르면 나무의… 더보기

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

댓글 0 | 조회 3,178 | 2008.11.12
음식물은 나름대로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때는 이 향에 의해서 끌리게 되지만, 어떤 때는 생선의 비린내 같이 강력한 냄새로 입맛을 잃게 한다. 이러한 음… 더보기

열무김치

댓글 1 | 조회 3,201 | 2012.03.13
‘아가리 딱딱 벌려라 열무김치 들어간다.’ 어릴 적 들었던 동요의 일부분 이다. 그 밖의 내용은 잘 기억이 잘 나질 않는데, 아무튼 분명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