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maculture (퍼머컬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Permaculture (퍼머컬처)

0 개 3,161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우리가 살고 있는 터전은 봄이 되면 꽃과 함께 벌 나비 모여들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져 새들이 드나들며, 가을에는 풍성한 열매로 우리와 주변 동물을 포용한다. 또한 겨울에는 낙엽과 수확의 잔재물에 묻혀 새로운 해를 준비한다. 이러한 변화는 해를 두고 연속적으로 그렇게 계속된다.

이런 계절의 변화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그냥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적인 변화는 우리 주변에서 아주 친근한 딸기, 피조아, 장미, 벌, 나비, 지렁이, 무당벌레, 참새 같은 각종 동식물은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또한 사계절을 통하여 우리를 괴롭히기도 때로는 우리에게 상쾌함을 선사하기도 하는 비바람의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생명체와 무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의 순환은 나름대로 질서를 가진다. 그 속에서 우리는 생활하며 희로애락의 역사를 기록한다.

우리의 생활공간과 주변 환경에는 자연의 질서라는 생명윤리가 존재한다. 우리가 자연의 질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우리의 생활은 지속 가능한 선택으로 자신과 환경을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 먹거리의 선택은 후손의 미래와 연관이 있으며, 우리의 주거 환경은 자연의 순환원리에 맞물려 있다. 그래서 우리 터전의 잔디밭이나 텃밭 관리는 물론 우리의 생활 쓰레기 처리까지 이러한 생활윤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우리 주변의 모든 요소들은 서로가 맞물려서 서로가 지지하면서 연관되기 때문이다. 자연의 순환에는 어떠한 공해물질도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요소는 땅 속, 동식물체, 공기 속을 옮겨 다니며 순환하게 된다.

퍼머컬쳐의 개념은 1970년대 호주의 과학자 몰리슨(Mollison)과 홈그렌(Holmgren)에 의해 인간의 친환경적 주거공간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창조되었다. 인간의 주거 공간의 설계에는 식물, 동물, 건물은 물론 물, 에너지, 통신 같은 기간구조를 동시에 고려하게 된다. 우리의 주거 공간에서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빗물에 의한 순환의 예를 들면, 우리 주거 공간의 물은 여러 동식물의 생명활동에 근본이다. 퍼머컬처에서 빗물은 하수구를 통하여 강으로 곧바로 내보는 것이 아니며, 가능한 우리 터전에 오랫동안 붙잡아 두어야 주변 생명체에 활용이 가능하며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비가 올 때마다 우리는 땅 속 물이 필요한 곳에 가둘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원의 잔디도 물을 붙잡아 둘 수 있도록 약간 길게 깎아야 한다. 그래야만 여름철 가뭄에 의한 토양 균열을 예방하여 작물재배에 아주 소중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주거 공간은 생활과 잘 어울리도록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내야 한다. 우리의 터전은 우리만을 위한 생활공간, 날마다 드나들며 자연과 접하는 근접 공간, 일주일 단위로 아니면 하루에 아주 잠깐만 들리게 되는 이차적 공간, 마지막으로 우리의 접근이 거의 필요 없게 되는 자연 공간 등이 있게 된다. 이런 구분은 추상적인 개념의 공간이지만, 생활을 위한 편리성이 우선 되어야 한다. 우리의 생활 터전이 넓던지 좁던지 이러한 분류는 존재하며,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유지한다.

현재 뉴질랜드의 퍼머컬처 운동은 Rainbow Valley Farm, Koanga Gardens 등에서 적응 실험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개별 가정의 Organic Gardening에서도 실천을 위한 노력이 적극적이다.

우리는 생활 터전의 주인으로서 우리의 주거공간을 주변 환경과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하고 관리 한다. 계절의 변화가 세월을 두고 계속되는 것처럼 자연의 순환은 그렇게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런 지속 가능한 터전의 설계는 간단치는 않지만, 꽤나 경이로운 체험으로 우리에게 다가 온다. 우리 생활공간은 아주 다양한 생명체와 무기물의 순환 광장이 된다. 우리는 정원에 작은 텃밭을 가꾸면서 생활과 자연의 조율사로의 우리의 소임을 생각해 본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클랜드 식물원의 텃밭 디자인

댓글 1 | 조회 2,641 | 2012.05.08
오클랜드 식물원에서는 방문객센터 왼편에 새로 텃밭을 조성한다. 시민들의 텃밭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 시작해서 올해가 두 번째 해를 맞이한다. 첫해는 구획… 더보기

수퍼프루트(Superfruit)

댓글 0 | 조회 2,677 | 2013.03.13
어떤 과일을 즐겨 드시는지요? 세계에서 인기 있는 과일은 좀 엉뚱하게도 바나나와 감귤이다. 왜 그러냐 하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즐길수 있기 때문이다. 칼 같은 … 더보기

[372] 한국인이 찾는 순한 매운 맛

댓글 0 | 조회 2,714 | 2008.01.15
해외여행을 다녀와서는 얼큰한 것이 먹고 싶다고 한다. 김치 고추장 매운탕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과연 한국인이 찾는 이 얼큰한 맛은 무엇일까? 누구나 쉽게 짐작이… 더보기

‘퀸스랜드 과일파리(Queensland fruit fly)’ 한 마리

댓글 1 | 조회 2,715 | 2012.06.13
지난 5월초 오클랜드 주택가에서 ‘퀸스랜드 과일파리’ 한 마리가 당국의 예찰 트랩에서 발견되었다. 일차산업부(MPI, 새로운 조직의 농림수산… 더보기

화요일 저녁

댓글 1 | 조회 2,772 | 2011.10.12
어떤 모임이든 한 달에 한 번씩 모이면 월례회다. 예전에 한국 농촌에서 개최하던 4H 구락부(클럽) 월례회를 기억하시는 분도 계시리라. 마을회관에서 동네의 청소년… 더보기

유기농산물(Organic food)과 지역농산물

댓글 0 | 조회 2,773 | 2014.08.13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충분치 못할 경우, 슈퍼마켓 농산물 코너에 넘쳐나는 그들의 라벨로 여러분은 많은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유기농산물의 … 더보기

[370] 푸드 마일(Food Miles)

댓글 0 | 조회 2,796 | 2007.12.11
지난해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에서 유기 농산물 취급을 늘린다고 발표함에 따라 유기 농산물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 졌다. 그래서 시사주간지 타임(Time, 2… 더보기

강낭콩에 대한 추억

댓글 0 | 조회 2,843 | 2013.04.10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도 깊고/ 불붙은 정열은/ 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밝은/ 그 마음 흘러라./… 더보기

[382] 한 그루의 장미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2,912 | 2008.06.10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그루의 장미를 길러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될 거다. 필자도 여기 와서야 그 꿈을 실현하고 있다. 겨울은 장미를 돌보며 생각… 더보기

여름밤에 불어보는 하모니카

댓글 0 | 조회 2,914 | 2009.02.11
여름밤은 길어서 하모니카를 불기에도 좋다. 그러나 하모니카를 불어 본지가 너무 오래되었고,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내기도 쉽지가 않을 거다. 대신에 옥수수 하모니카를… 더보기

오클랜드 식물원에는 지금

댓글 1 | 조회 2,937 | 2009.04.15
어느 도시나 식물원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잘 아시겠지만 오클랜드시도 1번 모터웨이 옆 마누레와에 식물원(www. aucklandbotanicgardens.co… 더보기

농가월령가와 'Moon Calender'

댓글 0 | 조회 2,951 | 2008.09.10
"솔가지 꺾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장원(담장)도 수축하고 개천도 쳐 올리소.안팎에 쌓인 검불(지푸라기) 정쇄히 쓸어 내어 불 놓아 재 받으면 거름을 보태리니 육… 더보기

달콤함 속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댓글 0 | 조회 2,959 | 2014.10.15
현대인의 간편한 아침식사 시리얼에, 언제나 즐기는 커피에, 애들의 오후간식 초코바에, 목마를 때 찾게 되는 탄산음료에, 그리고 아이스크림에 상당량의 당분이 들어 … 더보기

[384] 과수원과 까치

댓글 0 | 조회 3,003 | 2008.07.08
한국의 가을철 사과 배 과수원에서는 까치와의 전쟁이 치열하다. 농업인들은 일 년 내내 가꿔온 탐스러운 과일을 지키느라 눈을 부릅뜬 상태이고, 먹을거리가 마땅치 못…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13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정도에 GE(유전자조작, Genetically engineered) 작물이 심겨 졌다. GE 작물이 개발 된지 14년만의 결과…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58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매우 소중하다. 우리가 이 공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은 현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당…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19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얘기는 끊이질 않는다. 영국의 찰스 황태자는 유기농 신봉자로 유명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채마…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48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어디서나 쉽게 탐스러운 장미를 만날 수 있어 좋다. 올해는 해밀톤 가든을 찾아 로저스 가든에서 장미 사랑에 흠뻑 빠져 보는 것… 더보기

[378] 사돈집 사과 먹는 법

댓글 0 | 조회 3,151 | 2008.04.08
사과의 계절이 다가온다. 그런데, 아직도 사과를 깎아서 드십니까? 한국에서 들여진 습관이 잘 바뀌지 않아서 그럴 수 밖에 없다면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런지… 더보기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7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다. 1951년 이래로 가장 심한 눈으로 기록되었다. 도로가 차단되는가 하면 기차 항공기 등 교통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더보기

현재 Permaculture (퍼머컬처)

댓글 0 | 조회 3,162 | 2008.12.10
우리가 살고 있는 터전은 봄이 되면 꽃과 함께 벌 나비 모여들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져 새들이 드나들며, 가을에는 풍성한 열매로 우리와 주변 동물을 포용한다. … 더보기

선비의 밥상에 오르던 미나리

댓글 0 | 조회 3,166 | 2013.12.11
한민족의 정신문화를 대표하는 미덕으로 선비정신을 들기도 한다. 그런 선비들이 민속채소인 미나리를 즐겨 먹었으며, 거기서 식채로써의 삼덕(三德)을 발견했다니 흥미롭… 더보기

처절하게 선명한 붉은색 그대, 비트(Beet)

댓글 0 | 조회 3,176 | 2014.03.12
텃밭 한 귀퉁이에서 뽑아 온 비트, 머리 베고 꼬리를 자리니 선명한 붉은색이 칼에 번진다. 처절한 핏빛 같아 섬뜻 놀란다. 비트의 한 가운데 뿌리를 자르면 나무의… 더보기

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

댓글 0 | 조회 3,178 | 2008.11.12
음식물은 나름대로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때는 이 향에 의해서 끌리게 되지만, 어떤 때는 생선의 비린내 같이 강력한 냄새로 입맛을 잃게 한다. 이러한 음… 더보기

열무김치

댓글 1 | 조회 3,201 | 2012.03.13
‘아가리 딱딱 벌려라 열무김치 들어간다.’ 어릴 적 들었던 동요의 일부분 이다. 그 밖의 내용은 잘 기억이 잘 나질 않는데, 아무튼 분명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