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월령가와 'Moon Calender'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농가월령가와 'Moon Calender'

0 개 2,950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솔가지 꺾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장원(담장)도 수축하고 개천도 쳐 올리소.
                   안팎에 쌓인 검불(지푸라기) 정쇄히 쓸어 내어
                          불 놓아 재 받으면 거름을 보태리니
              육축(六畜)은 못다 하나 우마계견(牛馬鷄犬) 기르리라
                          씨암탉 두어 마리 알 안겨 깨여 보자.
                           산채는 일렀으니 들나물 캐어 먹세.
                        고들빼기 씀바귀요 조롱장이 물쑥이라.
                                             (중략)
                          달래김치 냉잇국은 바위를 깨치나니"

좀 생소하게 들릴지 모르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월령의 일부 내용이다. 농가월령가는 계절별 농사를 비롯한 세시풍속을 일깨워 주는 월령체 장편가사로 이조 헌종 때 정 학유가 지은 우리 가사문학의 대표작 중에 하나이다. 전래되는 농업에 대한 체험 과학이 담겨 있으며, 농민을 계도하기 위하여 청유형으로 쓰여 진 권장가요인 셈이다.

농가월령가에는 월별로 2개의 절기로 나누어서 일 년 24절기마다의 농사 일이 기록되어 있고, 농촌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세시풍습이 잘 묘사 되어 있다. 2월령에는 경칩과 춘분에 대한 절기가 나와 있다. 원래 절기는 중국 화북지방을 기준으로 마련되었다지만, 농가월령가에 보는 바와 같이 한국에서도 잘 적용이 되고 있다. 절마다 운율이 있어 읽어 내려 가는 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언제 누가 읽어도 정감이 나게 되어 있어 고전문학의 진수를 맛 볼 수 있다.

농사를 비롯한 가든닝(Gardening)에는 절기가 있기 마련이다. 이번 달 오클랜드의 절기는 한국의 음력 2월에 해당된다. 해마다 절기를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우리 선조들은 농가월령가를 지어서 농민을 일깨웠던 것이다. 그러면 뉴질랜드 사람들은 이러한 절기의 변화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필자는 양력은 서양인들의 달력이고, 음력은 동양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알았던 적이 있다. 또한 '세계인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서는 양력을 사용해야 한다'는 교육을 받으면서 자란 세대다. 따라서 서양인들이 음력을 활용하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무지하게도 서양인의 달력에도 음력이 기록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유기농업 운동으로 유명한 'Biodynamic Farming'에서도 'Moon Calendar'를 기준으로 가든닝에 대한 설명이 기록된다.

작물별로 씨 뿌리는 적당한 시기가 기록되어 있고, 수확하는 때도 나와 있다. 음력을 활용해서 달이 차 오르는 기간에는 각종 씨앗을 파종하거나 옮겨심기에 적합하며, 달이 기우는 기간에는 농작물의 거두는 시기로 분류한다. 한 달에 이틀씩은 농사일을 피해서 휴식을 취하는 날로 되어 있어 주술적이기도 하다. 아마도 동양의 책력에 영향을 받았으리라 생각된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기후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농업기술의 발달로 절기의 기준이 달라질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절기의 변화는 일 년을 주기로 반복되면서 우리는 계절을 변화를 느끼게 된다. 뉴질랜드와 한국은 6개월의 계절차이를 보인다. 뉴질랜드에서의 농사일이나 가든닝에 절기를 적용하는 데, 한국을 절기를 빌려서 이해하려는 것도 우리에게 익숙한 기준대로 활용하려는 편의성 때문이리라.

한국의 농촌진흥청에서는 절기에 따른 '주간 농사정보'를 발표한다. 또한 뉴질랜드에서는 'Organic Garden Calendar'에는 월별 가든닝에 대한 안내를 제시한다. 어느 것을 활용하든지 자신에게 편리한 정보로 계절의 변화를 느끼면서 생활하는 것이 살아가는 지혜로 여겨진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클랜드 식물원의 텃밭 디자인

댓글 1 | 조회 2,641 | 2012.05.08
오클랜드 식물원에서는 방문객센터 왼편에 새로 텃밭을 조성한다. 시민들의 텃밭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 시작해서 올해가 두 번째 해를 맞이한다. 첫해는 구획… 더보기

수퍼프루트(Superfruit)

댓글 0 | 조회 2,677 | 2013.03.13
어떤 과일을 즐겨 드시는지요? 세계에서 인기 있는 과일은 좀 엉뚱하게도 바나나와 감귤이다. 왜 그러냐 하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즐길수 있기 때문이다. 칼 같은 … 더보기

[372] 한국인이 찾는 순한 매운 맛

댓글 0 | 조회 2,714 | 2008.01.15
해외여행을 다녀와서는 얼큰한 것이 먹고 싶다고 한다. 김치 고추장 매운탕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과연 한국인이 찾는 이 얼큰한 맛은 무엇일까? 누구나 쉽게 짐작이… 더보기

‘퀸스랜드 과일파리(Queensland fruit fly)’ 한 마리

댓글 1 | 조회 2,715 | 2012.06.13
지난 5월초 오클랜드 주택가에서 ‘퀸스랜드 과일파리’ 한 마리가 당국의 예찰 트랩에서 발견되었다. 일차산업부(MPI, 새로운 조직의 농림수산… 더보기

화요일 저녁

댓글 1 | 조회 2,772 | 2011.10.12
어떤 모임이든 한 달에 한 번씩 모이면 월례회다. 예전에 한국 농촌에서 개최하던 4H 구락부(클럽) 월례회를 기억하시는 분도 계시리라. 마을회관에서 동네의 청소년… 더보기

유기농산물(Organic food)과 지역농산물

댓글 0 | 조회 2,773 | 2014.08.13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충분치 못할 경우, 슈퍼마켓 농산물 코너에 넘쳐나는 그들의 라벨로 여러분은 많은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유기농산물의 … 더보기

[370] 푸드 마일(Food Miles)

댓글 0 | 조회 2,796 | 2007.12.11
지난해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에서 유기 농산물 취급을 늘린다고 발표함에 따라 유기 농산물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 졌다. 그래서 시사주간지 타임(Time, 2… 더보기

강낭콩에 대한 추억

댓글 0 | 조회 2,843 | 2013.04.10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도 깊고/ 불붙은 정열은/ 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밝은/ 그 마음 흘러라./… 더보기

[382] 한 그루의 장미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2,912 | 2008.06.10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그루의 장미를 길러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될 거다. 필자도 여기 와서야 그 꿈을 실현하고 있다. 겨울은 장미를 돌보며 생각… 더보기

여름밤에 불어보는 하모니카

댓글 0 | 조회 2,914 | 2009.02.11
여름밤은 길어서 하모니카를 불기에도 좋다. 그러나 하모니카를 불어 본지가 너무 오래되었고,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내기도 쉽지가 않을 거다. 대신에 옥수수 하모니카를… 더보기

오클랜드 식물원에는 지금

댓글 1 | 조회 2,937 | 2009.04.15
어느 도시나 식물원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잘 아시겠지만 오클랜드시도 1번 모터웨이 옆 마누레와에 식물원(www. aucklandbotanicgardens.co… 더보기

현재 농가월령가와 'Moon Calender'

댓글 0 | 조회 2,951 | 2008.09.10
"솔가지 꺾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장원(담장)도 수축하고 개천도 쳐 올리소.안팎에 쌓인 검불(지푸라기) 정쇄히 쓸어 내어 불 놓아 재 받으면 거름을 보태리니 육… 더보기

달콤함 속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댓글 0 | 조회 2,959 | 2014.10.15
현대인의 간편한 아침식사 시리얼에, 언제나 즐기는 커피에, 애들의 오후간식 초코바에, 목마를 때 찾게 되는 탄산음료에, 그리고 아이스크림에 상당량의 당분이 들어 … 더보기

[384] 과수원과 까치

댓글 0 | 조회 3,003 | 2008.07.08
한국의 가을철 사과 배 과수원에서는 까치와의 전쟁이 치열하다. 농업인들은 일 년 내내 가꿔온 탐스러운 과일을 지키느라 눈을 부릅뜬 상태이고, 먹을거리가 마땅치 못…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13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정도에 GE(유전자조작, Genetically engineered) 작물이 심겨 졌다. GE 작물이 개발 된지 14년만의 결과…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58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매우 소중하다. 우리가 이 공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은 현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당…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19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얘기는 끊이질 않는다. 영국의 찰스 황태자는 유기농 신봉자로 유명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채마…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48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어디서나 쉽게 탐스러운 장미를 만날 수 있어 좋다. 올해는 해밀톤 가든을 찾아 로저스 가든에서 장미 사랑에 흠뻑 빠져 보는 것… 더보기

[378] 사돈집 사과 먹는 법

댓글 0 | 조회 3,151 | 2008.04.08
사과의 계절이 다가온다. 그런데, 아직도 사과를 깎아서 드십니까? 한국에서 들여진 습관이 잘 바뀌지 않아서 그럴 수 밖에 없다면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런지… 더보기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7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다. 1951년 이래로 가장 심한 눈으로 기록되었다. 도로가 차단되는가 하면 기차 항공기 등 교통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더보기

Permaculture (퍼머컬처)

댓글 0 | 조회 3,161 | 2008.12.10
우리가 살고 있는 터전은 봄이 되면 꽃과 함께 벌 나비 모여들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져 새들이 드나들며, 가을에는 풍성한 열매로 우리와 주변 동물을 포용한다. … 더보기

선비의 밥상에 오르던 미나리

댓글 0 | 조회 3,166 | 2013.12.11
한민족의 정신문화를 대표하는 미덕으로 선비정신을 들기도 한다. 그런 선비들이 민속채소인 미나리를 즐겨 먹었으며, 거기서 식채로써의 삼덕(三德)을 발견했다니 흥미롭… 더보기

처절하게 선명한 붉은색 그대, 비트(Beet)

댓글 0 | 조회 3,176 | 2014.03.12
텃밭 한 귀퉁이에서 뽑아 온 비트, 머리 베고 꼬리를 자리니 선명한 붉은색이 칼에 번진다. 처절한 핏빛 같아 섬뜻 놀란다. 비트의 한 가운데 뿌리를 자르면 나무의… 더보기

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

댓글 0 | 조회 3,178 | 2008.11.12
음식물은 나름대로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때는 이 향에 의해서 끌리게 되지만, 어떤 때는 생선의 비린내 같이 강력한 냄새로 입맛을 잃게 한다. 이러한 음… 더보기

열무김치

댓글 1 | 조회 3,201 | 2012.03.13
‘아가리 딱딱 벌려라 열무김치 들어간다.’ 어릴 적 들었던 동요의 일부분 이다. 그 밖의 내용은 잘 기억이 잘 나질 않는데, 아무튼 분명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