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적인 부부간의 갈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공통적인 부부간의 갈등

0 개 1,776 이현숙

상담을 하면서 그리고 주변에서도 많은 부부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 세상에 DNA가 같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건만 각각 다른 가정의 부부들인데 어찌 그 문제들은 비슷할 수가 있을 까 싶어 놀라운데, 더욱더 놀라운 것은 각각의 남편과 아내가 서로 비난하는 말들은 토씨도 안 틀리고 같을 때입니다. 


무슨 부부 갈등을 일으키는 학교라도 있고 교과서라도 있어서 배우는 것도 아닌데 어떻게 그렇게 같은 말들과 행동들을 보이는지 그리고 문제가 있어도 어쩜 그렇게 동일하게 풀어가지 못하고 악화되어가는 과정도 흡사한지 말입니다. 


그러니 사람사는 건 다 똑같다고 말씀을 하는 것인가 싶기도 합니다. 


게다가 1.5세대 부부들도 그 전 세대의 부모가 겪었던 경험들을 하고 있는데 그렇기에 서구적인 교육을 학교에서 받는 것이 가정 교육에서 보며 자란 것을 이길 수 없구나 싶고 부모의 모습을 보면서 나는 저렇게 하지 말아야지 결심하지만 막상 나의 결혼생활에서는 그 비슷한 문제들을 일으키게도 됩니다. 


acddc034cbbabbfdef67a334f543b1d5_1620796246_4782.png
 

사실 근본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은 남성과 여성의 뇌 구조가 다르고 그렇기에 상황이나 문제들을 받아들이는 것도 너무나 다릅니다. 그러니 할 수 없는 부분을 답답해하고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은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격이기 때문에 부부간의 갈등이 해소되기가 어렵게 됩니다. 


많은 부부들이 대화를 시도해보려고도 하지만 그것도 늘 감정적으로 되어서 싸움으로 끝나는 부정적인 경험들을 하게 되면서 입을 다물게 되고 그러다 보니 서로의 생각과 감정으로 상대가 하는 말들이나 행동들을 바라보게 되니 이해보다는 오해가 발생하게 되고 점점 갈등은 깊어지게 됩니다. 


아내들은 어떤 답답한 일들이 생길 때 남편이 그 어려움을 이해해주기를 바라면서 말을 꺼내는데 남편들은 공감능력이 여성들과 같지 않아서 그 감정을 이해하고 위로해주는 것이 힘듭니다, 반면에 문제를 해결하려는 본능이 강하기 때문에 아내가 겪는 갈등이나 감정을 해소하는 게 급선무이고 그러다보니 자주 마치 아내가 그 문제의 원인이라도 되는 것과 같은 말들을 하게 되고 아내들을 그것이 더 큰 상처로 오고 위로는 커녕 서운함과 화가 더 치밀어 오르는 결과로 치닫게 됩니다. 


그래서 화를 보이면 남편들은 기껏 얘기도 들어주고 도와주려고 했는데 화를 내는 아내가 못마땅하고 역시 당신은 그렇지, 당신은 듣고 싶은 말이 있는데 내가 그 말을 해주지 않으니 화를 내는 군, 그럴거면 뭐하러 말을 해 라고 반응을 보이게 되고 이제 부부의 싸움으로 번지게 됩니다. 


아내들은 이구동성으로 내가 남편에게 바라는 것은 힘들겠다라는 말 한마디, 위로의 말 한마디였는데 내가 큰 걸 바라는 거냐 라며 하소연을 합니다.  



근데 맞습니다. 그것이 남편들에게는 힘듭니다. 그리고 남편들은 아내가 자신이 도와주려는 조언들은 죄다 무시하고 들으려고 하지도 않지만 오히려 자신의 호의를 받아들이지도 않지만 무안을 주고 화를 내는 감정 조절이 안되는 성질이 나쁜 대상으로 여겨지고 흔히 내 아내는 자기가 들으려는 말이 정해져 있는데 왜 나에게 묻느냐 말을 하느냐고 합니다.


아주 간단한 해결책이 있지만 부부가 갈등을 겪을 때는 실천하기란 어렵습니다. 그래서 쌓아 놓은 감정들을 해소하는 상담을 통해서 해소하고 서로의 다른 점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그리고 방법들을 시도하려는 의지를 가지게 된다면 5년 혹은 20년이 넘게 묵은 감정들도 털어지고 새로운 관계로 재 정립해 갈 수도 있습니다. 


상담이 어렵다 해도 아주 간단한 말들을 연습해봐도 효과가 있는데 그것은 아내에게는 “그랬구나, 그렇지, 그럴만 했네, 아이고, 세상에 그런 일이, 그런 사람들은 상대를 말아야 겠지, 그냥 힘들면 쉬어, 관둬 등등” 상대가 하는 말들에 고개를 끄덕여 주고 들어주고 간단한 대꾸들을 하면서 내가 잘 듣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만 한다면 되는 일입니다. 


그리고 남편들의 해결 본능을 이해하고 나를 도와주려는 말이구나 받아들이면 마음도 편해지고 “내가 원한는 건 그저 내 옆에서 들어주는 것 뿐이니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비판적으로 혹은 해결점들을 찾으려고 하지 않아도 돼, 그냥 들어주는 것으로도 도움이 되요” 라고 말한다면 조금씩 다름을 받아들이고 편해질 수 있는 부부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유익한 IMAGO therapy 도 단순히 보면 상대가 하는 말을 따라하게 하는 것인데 이것은 잘 들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화라는 것은 주거니 받거니 하며 탁구같은 것이니 상대가 말을 중간에 끊는 것에 예민한 분들은 그것이 자연스러운 대화법이 아니고 자신이 뭔가 과거의 경험이나 상처때문에 예민해졌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탁구처럼 공을 주고 받듯 대화하는 연습을 해보기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또한 상대를 이해하면 손해본다는 마음이 흔히들 드는 데, 부부간에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은 서로를 위해서도 스스로를 위해서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화가 나거나 속상한 감정들은, 해결되지 못하는 갈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나를 해하는 것이니 관계에서의 노력도 나를 위한 것이라는 생각으로 시작해보기를 바랍니다. 


■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https://www.asianfamilyservices.nz/546204439750612.html  
(한국어 서비스) 혹은 asian.admin@asianfamilyservices.nz / 0800 862 342 “내선 2번을 누르세요”로 연락주세요

도박 피해 인식 주간

댓글 0 | 조회 1,578 | 2022.09.26
2005 년부터 9 월 첫 주에는 도박 피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를 포함한 많은 기관들이 참여해 왔습니다. 올해는 9 월… 더보기

3살에서 8살 사이 자녀들을 위한 Parenting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1,580 | 2022.06.15
문교부에서 한국인 커뮤니티를 위해 Incredible Years parenting 프로그램을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자녀… 더보기

장애가정, 싱글맘가정, 빈곤가정을 생각합니다

댓글 0 | 조회 1,650 | 2019.05.29
5월 가정의 달, 독자여러분 가족들과 함께 소중하고 행복한 시간 보내고 계신지요.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이 몰려있는 5월에 ‘가정의 달’ 만큼 어울리는 … 더보기

중독과 치료

댓글 0 | 조회 1,652 | 2020.11.11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등 4대 중독을 제외하고 스마트폰 중독, 쇼핑중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독과 게임 중독 등 시대와 생활환경이 변화하면서 중… 더보기

‘화’, ‘분노’ 모두 감정먹기(?) 나름이야!!!

댓글 0 | 조회 1,654 | 2017.08.22
혹시, 여러분 마음 한 가운데 큰 호랑이 한마리가 들어 있지는 않은가요?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다가, 조금이라도 틈새가 보이면 날카로운 발톱과 이빨을 드러내며 곧 … 더보기

잘난 당신, 초라한 나, 그리고 상처

댓글 0 | 조회 1,674 | 2018.08.22
‘제 주변에는 왜 이렇게 잘난 사람들이 많은지 모르겠어요! 그 사람들 옆에 있으면 주눅이 들고 초라한 내 자신에게도 화가 나요!!’독자분들의 반응은 대개 두 가지… 더보기

새해 가족이 모두 모였는데 행복하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727 | 2019.01.30
2019년 새해가 활짝 열렸습니다. 독자여러분, 성탄과 새해 연휴기간동안 가족들과 함께 행복한 시간 보내셨는지요? 아무쪼록, 올 한해도 건강하고 평안하시기를 기원… 더보기

도박중독으로부터 벗어나는 길

댓글 0 | 조회 1,749 | 2022.08.30
남편은 밥을 먹을 때에도 항상 휴대폰을 하고 있으면서 아이들이나 나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예전에는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특히 아이들에게 더… 더보기

비난하는 부모, 평생 영향받는 자녀

댓글 0 | 조회 1,764 | 2022.07.12
부모는 아마도 자신의 말 한마디 행동하나 하나가 자녀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 모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자녀와 부모는 서로에게 거울이여서 … 더보기

도박의 해가 어린 자녀에게 미친 평생의 영향

댓글 0 | 조회 1,774 | 2021.03.24
도박은 죽어야 끊을 수 있다고 했던 도박자의 말이 사실 지나친 말이 아니라는 것을 전 세계의 모든 도박자들 그리고 가까이는 뉴질랜드 스카이 시티 카지노 혹은 동네… 더보기

2021년 새해 정신건강을 위한 한 걸음

댓글 0 | 조회 1,775 | 2021.02.09
새해를 맞이하면서 늘 그렇듯이 건강을 위한 식단과 운동을 준비하고 계획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다짐을 합니다. 이런 시기에 정신건강을 위한 나름대로의 기술을 가져보… 더보기
Now

현재 공통적인 부부간의 갈등

댓글 0 | 조회 1,777 | 2021.05.12
상담을 하면서 그리고 주변에서도 많은 부부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 세상에 DNA가 같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건만 각각 다른 가정의 부부들인데 어찌 그 문제들은 비슷할… 더보기

2020년 행복을 위한 10가지 행동지침들

댓글 0 | 조회 1,780 | 2020.01.29
올해만큼 연말 연초를 심란하게 보냈던 적이 없는 것 같다. 호주의 재앙적 산불로 인한 인명과 동물의 피해. 뉴질랜드 화이트아일랜드 화산폭발로 인한 인명피해, 교착… 더보기

투표와 이민자로써의 혜택

댓글 0 | 조회 1,801 | 2020.08.11
처음 뉴질랜드에 정착하고 나면 선거에도 관심을 가지고 살짝 긴장되는 마음으로 투표소로 향하기도 하지만 점점 시간이 흐르면서 나하고는 별개의 일처럼 느껴지면서 오랫… 더보기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811 | 2021.04.29
과거와는 달리 정신적 건강의 위험신호와 질병에 대해 거부감이 줄어 들고 있고 전문가를 찾아서 도움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정신건강의 문제에 … 더보기

뉴질랜드 유학생의 웰빙을 위한 지원: Vikram Selvaraj의 호소

댓글 0 | 조회 1,812 | 2022.09.26
Vikram Selvaraj공부하면서, 뉴질랜드 인으로서의 발판을 찾고, 뉴질랜드 유학생 협회 (NZISA)의 회장으로서의 역할을 분주히 하느라 여가 시간이별로 … 더보기

분노의 대물림-가정 폭력의 가해자

댓글 0 | 조회 1,816 | 2020.09.09
2007년 Journal of Family Violence 에 ‘가정 폭력 범죄자의 특성 : 아동기 폭력 노출과의 연관성’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새로운 가정 … 더보기

복권도 도박

댓글 0 | 조회 1,906 | 2021.03.09
많은 분들이 복권을 사는 것이 자연스럽고 한국에서나 뉴질랜드에서나 복권은 텔레비젼에서 광고를 하고 슈퍼마켓과 같은 누구나 그리고 가족들과 함께 가는 장소들에서 판… 더보기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댓글 0 | 조회 1,926 | 2017.11.22
10년전인가 이렇게 요상한 제목의 한국영화를 본 기억이 있다. 한국판 서부활극 오락영화였는데 세 주인공을 각각 이렇게 묘사한 것이었다. 또, 우스개 소리로 이런 … 더보기

십대 청소년들의 깊은 슬픔 그리고 극단적 선택

댓글 0 | 조회 1,943 | 2020.12.08
죽음에 대해 말하지 않는 문화를 가진 나라들이 많은데 한국도 그 중 하나이고 그래서 인지 가족안에서도 건강하게 죽음에 대해 깊게 얘기를 나눈다거나 심지어 오랜 기… 더보기

우울감과 수면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953 | 2020.06.10
지난 칼럼에서는 공황장애에 대한 증상과 전문적인 상담이나 약물 복용 외에도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우울증이나 불면증에도 같은 방법들이 … 더보기

50대 아재 방탄소년단에게서 배우다

댓글 0 | 조회 2,004 | 2018.06.14
지난 4월 한인의 날 행사에서 눈길을 끈 참가자 그룹이 있었다. 뉴질랜드 젊은이들로 구성된 K-Pop 동아리였다. 리더 격으로 보이는 백인 여학생과 잠깐 대화를 … 더보기

공황장애

댓글 0 | 조회 2,054 | 2020.05.27
첫번 째 - 공황장애전쟁이나 국가 재난 수준의 엄청난 위력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뜻하지 않게 우리의 일상을 토네이도 수준으로 휩쓸면서 평상시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스… 더보기

한국인 키위, 치매에 대한 인식 차이

댓글 0 | 조회 2,060 | 2018.02.28
토요일 아침, 자동차 2대를 함께 움직여야 하는 상황. 먼저 출발하기로 한 차가 틱 틱 소리를 내며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아이고!! 또 배터리 방전이다.어제 퇴… 더보기

뉴질랜드, 중국, 일본에서 자란 세명의 한국 젊은이들

댓글 0 | 조회 2,091 | 2018.12.21
2018년이 저물어갑니다. 독자여러분, 한해동안 만났던 수 많은 사람들과의 사연들을 잘 정리하고, 또 마음속에서 소용돌이쳤던 기쁨, 슬픔, 노여움, 아쉬움 등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