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키위, 치매에 대한 인식 차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국인 키위, 치매에 대한 인식 차이

0 개 2,059 김임수

토요일 아침, 자동차 2대를 함께 움직여야 하는 상황. 먼저 출발하기로 한 차가 틱 틱 소리를 내며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아이고!! 또 배터리 방전이다.  

 

어제 퇴근 후 자동차 전등을 끄지 않은 것이다. “당신, 도대체 벌써 몇 번째야??!!!” 죄인이 무슨 변명을 하리오. 사실 작년에만 해도 두 번이나 사고를 쳤으니 말이다. 

 

노후화된 차의 응급상황에 나의 건망증까지 더해져, AA 멤버쉽은 우리 가족에게 필수아이템이 된 지 오래이다. 건망증으로 말하자면 아내도 나에게 큰 소리 칠 처지는 아니다. 

 

자부컨대, 그녀의 자동차키와 지갑, 그리고 모바일 폰의 소재는 본인보다도 내가 더 알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번잡한 삶 속에서 머리에 과부하가 걸린 것일까? 자연스런 노화 과정이겠거니 서로 위로를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것이 치매의 전조가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 덜컥 들기도 한다.

 

노인건강세미나를 준비하면서 North Shore 병원의 Gerontology Nurse Specialist (노인전문 간호사)로 근무하는 이현주 선생님으로부터 건망증과 치매를 구분하는 몇 가지 팁을 들었다. 

 

물론, 정밀한 진단은 인지 능력검사, 혈액검사, 컴퓨터 뇌 조영술 (CT)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한다.

 

세계 보건기구들에 따르면, 향후 10년 이내에 치매나 알츠하이머 등 뇌 기능 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지금의 2배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뉴질랜드에서도 노년기 3대 질환 (암, 심혈관 질환, 치매) 중 치매로 인한 의료비용이 나머지 두 질환의 합을 넘어선 지도 꽤 오래전 일이라고 한다.

 

이현주 님이 들려준 치매를 둘러싼 한국인과 키위들과의 문화적, 정서적 차이가 흥미롭다.

 

키위들은 치매를 생각하면, ‘자기가 스스로 판단할 수 없는 상태’를 가장 두려워하는 반면, 한국인들은 ‘자식들에게 짐이 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고 한다. 개인주의적 사고와 가족 중심의 집단주의적 사고가 여기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치매도 조기진단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하면 진행속도를 줄이면서 자기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계획 (법적 문제 등 포함)을 미리미리 세울 수 있다고 하는데, 한국분들의 경우 이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다고 한다.

 

치매와 관련하여 한국분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대응 유형 3가지 타입을 살펴보자.

 

첫째는 ‘내 병은 내가 안다’. 좋은 예가 혈압약의 복용을 본인 스스로 끊어 버리는 경우이다. 혈압이 적절히 관리되지 못하면 뇌에서 미세한 혈관이 터질 수 있고 이것이 서서히 치매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한다.

 

둘째는 ‘나는 살만큼 살았다’.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구하는 것을 자식들이나 주변사람에게 ‘오래 살려고 애를 쓰는 추한 행동(?)’으로 치부하는 정서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세째는 ‘나 혼자가 제일 속 편하다’. 오랜 시간 대인관계의 단절로 인하여 고립이 심화되고 언어기능 상실까지 이어져 이것이 우울증, 치매로까지 발전하는 경우이다.

 

의학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우리는 100세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단순한 수명 연장을 넘어 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노인건강 전문가들은 장수 (longevity)와 생활가능성 (Functionality)의 높은 상관관계에 주목한다. 생활가능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하게 되면 당연히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체크하게 되고, 이것이 장수로 이어지는 선 순환의 구조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한국인들의 이민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90년대 초반 정착한 1세대 교민들이 이제는 60대에 이르게 되었다. 

 

안타깝게도 이 분들 중 많은 분들이 문화, 정서적 차이와 언어장벽으로 뉴질랜드 노인의료서비스의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다. 

 

이제, 이 분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우리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 분들의 행복한 삶이 우리가 원하는 우리 자신의 미래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노인건강 세미나가 3월 2일 금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Sunnynook Community Centre’에서 개최됩니다. (문의처: 021 221 7603) 

 

dc9d02cb7841c141a2fa533fa4969ea3_1519785823_2078.jpg
 

도박 피해 인식 주간

댓글 0 | 조회 1,578 | 2022.09.26
2005 년부터 9 월 첫 주에는 도박 피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를 포함한 많은 기관들이 참여해 왔습니다. 올해는 9 월… 더보기

3살에서 8살 사이 자녀들을 위한 Parenting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1,580 | 2022.06.15
문교부에서 한국인 커뮤니티를 위해 Incredible Years parenting 프로그램을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자녀… 더보기

장애가정, 싱글맘가정, 빈곤가정을 생각합니다

댓글 0 | 조회 1,650 | 2019.05.29
5월 가정의 달, 독자여러분 가족들과 함께 소중하고 행복한 시간 보내고 계신지요.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이 몰려있는 5월에 ‘가정의 달’ 만큼 어울리는 … 더보기

중독과 치료

댓글 0 | 조회 1,652 | 2020.11.11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등 4대 중독을 제외하고 스마트폰 중독, 쇼핑중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독과 게임 중독 등 시대와 생활환경이 변화하면서 중… 더보기

‘화’, ‘분노’ 모두 감정먹기(?) 나름이야!!!

댓글 0 | 조회 1,654 | 2017.08.22
혹시, 여러분 마음 한 가운데 큰 호랑이 한마리가 들어 있지는 않은가요?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다가, 조금이라도 틈새가 보이면 날카로운 발톱과 이빨을 드러내며 곧 … 더보기

잘난 당신, 초라한 나, 그리고 상처

댓글 0 | 조회 1,674 | 2018.08.22
‘제 주변에는 왜 이렇게 잘난 사람들이 많은지 모르겠어요! 그 사람들 옆에 있으면 주눅이 들고 초라한 내 자신에게도 화가 나요!!’독자분들의 반응은 대개 두 가지… 더보기

새해 가족이 모두 모였는데 행복하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727 | 2019.01.30
2019년 새해가 활짝 열렸습니다. 독자여러분, 성탄과 새해 연휴기간동안 가족들과 함께 행복한 시간 보내셨는지요? 아무쪼록, 올 한해도 건강하고 평안하시기를 기원… 더보기

도박중독으로부터 벗어나는 길

댓글 0 | 조회 1,749 | 2022.08.30
남편은 밥을 먹을 때에도 항상 휴대폰을 하고 있으면서 아이들이나 나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예전에는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특히 아이들에게 더… 더보기

비난하는 부모, 평생 영향받는 자녀

댓글 0 | 조회 1,763 | 2022.07.12
부모는 아마도 자신의 말 한마디 행동하나 하나가 자녀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 모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자녀와 부모는 서로에게 거울이여서 … 더보기

도박의 해가 어린 자녀에게 미친 평생의 영향

댓글 0 | 조회 1,774 | 2021.03.24
도박은 죽어야 끊을 수 있다고 했던 도박자의 말이 사실 지나친 말이 아니라는 것을 전 세계의 모든 도박자들 그리고 가까이는 뉴질랜드 스카이 시티 카지노 혹은 동네… 더보기

2021년 새해 정신건강을 위한 한 걸음

댓글 0 | 조회 1,775 | 2021.02.09
새해를 맞이하면서 늘 그렇듯이 건강을 위한 식단과 운동을 준비하고 계획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다짐을 합니다. 이런 시기에 정신건강을 위한 나름대로의 기술을 가져보… 더보기

공통적인 부부간의 갈등

댓글 0 | 조회 1,776 | 2021.05.12
상담을 하면서 그리고 주변에서도 많은 부부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 세상에 DNA가 같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건만 각각 다른 가정의 부부들인데 어찌 그 문제들은 비슷할… 더보기

2020년 행복을 위한 10가지 행동지침들

댓글 0 | 조회 1,780 | 2020.01.29
올해만큼 연말 연초를 심란하게 보냈던 적이 없는 것 같다. 호주의 재앙적 산불로 인한 인명과 동물의 피해. 뉴질랜드 화이트아일랜드 화산폭발로 인한 인명피해, 교착… 더보기

투표와 이민자로써의 혜택

댓글 0 | 조회 1,801 | 2020.08.11
처음 뉴질랜드에 정착하고 나면 선거에도 관심을 가지고 살짝 긴장되는 마음으로 투표소로 향하기도 하지만 점점 시간이 흐르면서 나하고는 별개의 일처럼 느껴지면서 오랫… 더보기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811 | 2021.04.29
과거와는 달리 정신적 건강의 위험신호와 질병에 대해 거부감이 줄어 들고 있고 전문가를 찾아서 도움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정신건강의 문제에 … 더보기

뉴질랜드 유학생의 웰빙을 위한 지원: Vikram Selvaraj의 호소

댓글 0 | 조회 1,812 | 2022.09.26
Vikram Selvaraj공부하면서, 뉴질랜드 인으로서의 발판을 찾고, 뉴질랜드 유학생 협회 (NZISA)의 회장으로서의 역할을 분주히 하느라 여가 시간이별로 … 더보기

분노의 대물림-가정 폭력의 가해자

댓글 0 | 조회 1,816 | 2020.09.09
2007년 Journal of Family Violence 에 ‘가정 폭력 범죄자의 특성 : 아동기 폭력 노출과의 연관성’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새로운 가정 … 더보기

복권도 도박

댓글 0 | 조회 1,906 | 2021.03.09
많은 분들이 복권을 사는 것이 자연스럽고 한국에서나 뉴질랜드에서나 복권은 텔레비젼에서 광고를 하고 슈퍼마켓과 같은 누구나 그리고 가족들과 함께 가는 장소들에서 판… 더보기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댓글 0 | 조회 1,926 | 2017.11.22
10년전인가 이렇게 요상한 제목의 한국영화를 본 기억이 있다. 한국판 서부활극 오락영화였는데 세 주인공을 각각 이렇게 묘사한 것이었다. 또, 우스개 소리로 이런 … 더보기

십대 청소년들의 깊은 슬픔 그리고 극단적 선택

댓글 0 | 조회 1,943 | 2020.12.08
죽음에 대해 말하지 않는 문화를 가진 나라들이 많은데 한국도 그 중 하나이고 그래서 인지 가족안에서도 건강하게 죽음에 대해 깊게 얘기를 나눈다거나 심지어 오랜 기… 더보기

우울감과 수면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953 | 2020.06.10
지난 칼럼에서는 공황장애에 대한 증상과 전문적인 상담이나 약물 복용 외에도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우울증이나 불면증에도 같은 방법들이 … 더보기

50대 아재 방탄소년단에게서 배우다

댓글 0 | 조회 2,004 | 2018.06.14
지난 4월 한인의 날 행사에서 눈길을 끈 참가자 그룹이 있었다. 뉴질랜드 젊은이들로 구성된 K-Pop 동아리였다. 리더 격으로 보이는 백인 여학생과 잠깐 대화를 … 더보기

공황장애

댓글 0 | 조회 2,054 | 2020.05.27
첫번 째 - 공황장애전쟁이나 국가 재난 수준의 엄청난 위력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뜻하지 않게 우리의 일상을 토네이도 수준으로 휩쓸면서 평상시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스… 더보기
Now

현재 한국인 키위, 치매에 대한 인식 차이

댓글 0 | 조회 2,060 | 2018.02.28
토요일 아침, 자동차 2대를 함께 움직여야 하는 상황. 먼저 출발하기로 한 차가 틱 틱 소리를 내며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아이고!! 또 배터리 방전이다.어제 퇴… 더보기

뉴질랜드, 중국, 일본에서 자란 세명의 한국 젊은이들

댓글 0 | 조회 2,091 | 2018.12.21
2018년이 저물어갑니다. 독자여러분, 한해동안 만났던 수 많은 사람들과의 사연들을 잘 정리하고, 또 마음속에서 소용돌이쳤던 기쁨, 슬픔, 노여움, 아쉬움 등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