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스틱 듀오, 커피와 와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판타스틱 듀오, 커피와 와인

0 개 1,620 피터 황

ee74951184972ad24dff0524fbce4534_1547613234_6044.JPG
 

요즘 카페에서는 커피와 함께 와인이, 와인바에서는 와인과 함께 커피가 메뉴 판 리스트에 적혀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소믈리에나 바리스타들이 실제로 와인이나 커피 모두를 취급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당연한 것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소비자들이 커피의 향미에 눈을 뜨면서 와인처럼 커피를 가려 마시기 시작한 데 있다. 

 

먼저 맛과 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한다는 점에서 와인과 커피는 공통점이 있다. 복잡하고 다양한 맛과 향을 즐기려는 사람들 때문에 이들 두 음료는 오랫동안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 생산지의 기후와 토양은 물론 그 지역 사람들의 문화까지 고스란히 담아내는 와인과 커피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맛과 향의 배합이 가능하다. 그러니 와인과 커피 애호가들이 자신에게 맞는 맛과 향을 찾아 긴 여정을 떠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히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다. 

 

‘우아하다, 복잡하다, 풍부하다, 달콤하다’ 등 테이스팅을 하면서 맛과 향을 표현하는 어휘도 무척이나 유사하다. 질 좋은 와인에서 느끼는 풍미를 커피에서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을 평가하는 언어에서도 커피는 와인의 것을 많이 가져온 것도 사실이며 커피가 비록 개발도상국가에서 재배된다는 등의 이유로 와인과 같은 감정체계를 개발하지 못해왔지만 시간과 장소에 대한 감각을 동일하게 전달하는 훌륭한 음료다. 

 

빈티지에 따라 원두 커피의 품질이 다른 것도 와인과 닮은꼴이다. 와인이 산지를 분류하듯이 커피도 마찬가지다. 과테말라, 니카라과 같은 나라들은 법으로 커피 산지를 구분하고 있으며 콜롬비아는 86개 지역으로 산지를 나눈다. 포도가 전 세계에 수많은 품종이 있듯이 커피도 병충해에 강하고 향미가 뛰어난 품종을 개발하면서 점차 다양한 커피들이 등장하고 있다. 

 

훌륭한 와인은 지리, 토양, 기후와 날씨 패턴을 포함하는 그 지역의 특성을 전달하는 능력으로 가치가 매겨진다. 와인의 명칭은 이같은 차이를 확인하고 보호하며 품질의 기준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커피도 최근에는 마케팅을 위해 테루아를 홍보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스페셜티 커피가 지역적 특징을 가지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형식적인 호칭(appellation)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점차적으로 특별한 지역이나 농장을 기록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생산국가별로 커피를 인식하고 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부분의 와인은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라 불리는 고품질의 포도로부터 온다. 예를 들어 피노누아(Pinot Noir)나 샤도네이(Chardonnay)라 불리는 품종들이다. 이들은 척박한 환경에 잘 견디는 비티스 라브루스카(Vitis labrusca)나 비티스 리파리아(Vitis riparia)와 같은 품종과 변종들로 분화한다. 커피도 유사한데 크게는 아라비카와 로부스타로 구분된다. 아라비카는 스페셜티급 커피의 주요 원료가 되고 로부스타는 맛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주로 인스턴트 커피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비티스 비니페라의 테두리 안에서 수백종의 포도 품종들이 상업 용 와인양조를 위해 재배되듯이 아라비카 종에도 부르봉(Bourbon), 티피카(Typica), 값비싼 게이샤(Geisha) 등 다양한 품종들이 있다. 

 

넓은 수확지역에서 분리된 예외적인 커피콩인 마이크로 랏(micro-lots)의 증가는 우수한 커피콩의 재배지역을 확인하게 해 주는데, 이는 와인에서 싱글 빈야드(single-vineyard)의 개념과 유사하다. 와인 상인들이 우수한 포도밭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유지하려 하듯이 동일한 개념이 커피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와인과 마찬가지로 당연히 커피의 질은 농장의 관습에서 출발한다. 오랫동안 채집자들은 단순히 수확한 커피콩의 무게로 돈을 받았다. 오랜 기간동안 질보다 양이 우선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열매가 익은 것을 확인하고 분류하고 가공하는 방법과 병충해나 물 관리법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농부들의 능력과 수입이 향상됐다. 수입이 많아지니 커피산지에서도 품질 좋은 스페셜티 커피를 생산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이와 더불어 미국스페셜티커피협회(SCAA)가 만들어져 커피의 외관, 질감, 깔끔함 등을 평가해 80점 이상 점수를 받은 커피를 스페셜티 커피로 규정해 품질 제고를 유도하고 있다. 

 

와인이 유대 기독교의 유럽문화에 기반을 둔 음료라면 커피는 이슬람 세계의 특징적인 음료다. 기독교를 기반으로 하는 문명 어디에서나 와인을 찾을 수 있는 것처럼 아랍이 정복한 곳에서는 예외없이 커피가 발견된다. 커피와 와인은 극명하게 다른 두 문화를 대변하는 음료였지만 인간의 역사가 흐르면서 유럽문명과 아랍문명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근대문명의 원동력이 되었다. 한 잔의 커피와 와인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풍요롭게 한다. 불화와 갈등을 해소시키는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뜻한 커피와 향기로운 와인의 자리에 진실한 사랑이 더해질 수만 있다면 그보다 더 행복한 순간이 있을까.

 

샴페인과 삑사리 철학

댓글 0 | 조회 8,898 | 2015.10.14
고향에선 추석명절이면 오랜만에 모인 식구들이 화투(花鬪)를 하곤 했다. ‘꽃으로 싸운다’는 뜻의 화투는 그 이름에서 이미 심오한 철학의 무게가 느껴진다. 48장의… 더보기

웰컴 투 보르도(Bordeaux)

댓글 0 | 조회 2,492 | 2015.11.12
세계와인의 표준, 프랑스. 와인 하면 어째서 프랑스를 세계 제일로 여기는 것일까? 이유는 와인을 만들어 온 역사가 깊다는데 있다. 로마인들이 갈리아를 정복하고 포… 더보기

요강을 뒤엎는 술, 복분자(Black Raspberry)

댓글 0 | 조회 3,998 | 2015.12.09
대충 약 30년 전의 서울시 시민들의 이야기가 리얼하다. ‘연탄불, 성문종합영어, 골목길, 카스텔라’. 응답 받고 싶은 1988년도, 나의 대학시절이기도 한 그 … 더보기

나의 첫 사랑, 피조아(Fejoa)

댓글 0 | 조회 3,360 | 2016.01.14
남자는 첫 사랑을 못 잊어 또다시 닮은 사랑을 하고 여자는 첫 사랑을 잊기 위해 두 번째 사랑을 시작한다고 했던가. 내가 그를 만난 것은 대략 20년 전, 데본포… 더보기

육각형의 방, 코르크(Cork)의 정체

댓글 0 | 조회 3,052 | 2016.02.11
와인은 오래될 수록 좋다는 생각이 보편적이다. 숙성이 되면서 풍미가 풍부해지는 와인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와인과 함께 동고동락해온 코르크(Cor… 더보기

청국장과 치즈는 누가 다 먹었을까

댓글 0 | 조회 3,998 | 2016.03.10
카메라 앞에만 서면 무뚝뚝하게 서있는 나에게 사진사는 간절하게 김치를 외쳐댄다. 그래 봐야 마지못해 억지웃음을 만들어내자 이번엔 치즈를 부르짖는다. 입가에 웃음을… 더보기

청주(淸酒) VS 사케(Sake)

댓글 0 | 조회 6,699 | 2016.04.13
아버지와 여러 겹의 노끈으로 손잡이를 만든 백화수복을 들고 고향에 내려 올려다본 밤하늘엔 별들이 빼곡했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 더보기

엄친아 아버지, 카베르네 프랑

댓글 0 | 조회 2,912 | 2016.05.11
연예인 뺨치는 외모에 공부 잘하고 부모 말씀에는 무조건 순종한다는 무시무시한 존재, 엄친아(엄마친구아들). 이제는 모든 방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갖춘 사람을 일컫는… 더보기

나폴레옹과 술의 황제, 코냑(Cognac)

댓글 0 | 조회 7,294 | 2016.06.09
프랑스의 지명이기도 한 코냑(Cognac)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최고급 브랜디(Brandy)인 코냑이 와인을 증류해서 만든 술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의… 더보기

초콜릿을 사랑한 아이스(Ice)와인

댓글 0 | 조회 2,398 | 2016.07.14
사랑을 하게 되면 서로 닮아간다고 한다. 그래서인지는 모르지만 초콜릿과 와인은 닮은 점이 많다. 초콜릿의 재료인 카카오 빈이 전혀 다른 자신만의 고유한 맛과 성질… 더보기

와인 디자인, 블렌딩(Blending)의 세계

댓글 0 | 조회 3,806 | 2016.08.11
언제나 손님으로 인산인해를 이룬다는 맛 집들은 대부분 한 가지 메뉴로 승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독창적인 비법으로 대를 이어가면서 전통의 맛을 변함없이 지켜가기… 더보기

속도중독, 느리게 살 수 있는 용기

댓글 0 | 조회 2,149 | 2016.09.15
우리를 둘러싼 세상은 너무 빨리 달리고 있다. 느리게 따라가다 보면 상위무리에서 뒤처진다는 강박관념이 모두를 괴롭힌다. 근면한 한국인의 ‘빨리빨리 정신’이 지금의… 더보기

와인의 몸무게, Body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215 | 2016.10.11
살찐 고양이 한 마리가 봄 햇살을 즐기며 풀숲에 평화롭게 누워있다. Fat Cat, 이 그림이 그려진 와인을 마신 후에 느껴지는 느낌이 상상이 되는가? 이 그림을… 더보기

호스트 테이스팅(Host Tasting)을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3,642 | 2016.11.09
허물없이 친한 사람들끼리의 자리라면 그다지 매너를 따질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런 형식이나 절차가 편안한 분위기를 너무 학문적(?)이고 딱딱하게 만들 수도 있기 … 더보기

광화문에서 나는 숲을 보았다

댓글 0 | 조회 1,977 | 2016.12.06
세상 모든 것이 모두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 아니겠냐고 들 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다. 굶을 때면 제일 무서운 것이 그 목구멍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먹을 수만… 더보기

파리(Paris)로 떠난 모나리자

댓글 0 | 조회 1,596 | 2018.09.11
프랑스 VS 이탈리아 (Ⅰ)카톡이나 안부를 먼저 보내주는 사람이 한가하고 할 일이 없어서 그러는 게 아니라 마음 속에 늘 당신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다툰 후에 … 더보기

욕쟁이할머니 맛의 비밀

댓글 0 | 조회 1,562 | 2018.10.10
신의 선물 와인의 초대 (67)​퇴근한 후에 산동네를 오르는 동네아저씨들은 길목에 있던 우리집 구멍가게를 그냥 지나 칠 수가 없었다. 한 동네 모두가 이웃이었고 … 더보기

빈치(Vinci) 마을의 천재, 레오나르도

댓글 0 | 조회 1,670 | 2018.11.15
프랑스 VS 이탈리아 (II)이탈리아가 낳은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는 화가일 뿐 아니라 위대한 발명가였다. 자동차, 비행기, 헬… 더보기

프로세코여~. 아직도 로맨스를 꿈꾸는가?

댓글 0 | 조회 1,597 | 2018.12.12
벼락처럼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는 로맨스를 우린 평생 몇 번이나 해볼 수 있을 까? 어떤 이들은 유치한 드라마 속 이야기 라고도 한다. 삶의 절정을 지나버린 나이가… 더보기
Now

현재 판타스틱 듀오, 커피와 와인

댓글 0 | 조회 1,621 | 2019.01.16
요즘 카페에서는 커피와 함께 와인이, 와인바에서는 와인과 함께 커피가 메뉴 판 리스트에 적혀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소믈리에나 바리스타들이 실제로 … 더보기

검은 순수 VS 황홀한 지옥

댓글 0 | 조회 1,602 | 2019.02.13
커피와 와인을 마시는 것은 곧 자연을 마시는 것이다. 처음에 이 둘은 약으로 사용됐다. 기원 전 에티오피아 부족들은 커피나무 잎을 씹거나 줄기 끓인 물을 마시며 … 더보기

향기(香氣)를 잃으면 독(毒)이 된다

댓글 0 | 조회 1,631 | 2019.03.13
화학약품의 조합으로 실험실에서 와인이 만들어지고 콘크리트 빌딩에서 컴퓨터로 채소와 과일이 만들어진다. 덕분에 우리의 식탁은 향을 잃은 식재료들로 채워져 가고 있다… 더보기

상식을 깨는 돌연변이

댓글 0 | 조회 1,789 | 2019.04.10
피노(Pinot)라는 말은 솔방울을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그러니 프랑스 부르고뉴의 대표적인 레드 와인인 피노누아(Pinot Noir)는 검은 솔방울이라는 뜻이 되… 더보기

잡종의 생존법칙

댓글 0 | 조회 1,653 | 2019.05.14
와인의 품질은 포도 품종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개성에 크게 지배된다. 결국 품종이 같다면 재배지가 다르더라도 품질 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말할 수 있… 더보기

나의 혈액형은 카베르네

댓글 0 | 조회 1,680 | 2019.06.11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는 말이 있듯이 혈액형이 같은 사람은 같은 종류의 유전인자를 갖게 돼 성격, 행동, 질병이 비슷해진다고 한다. 피는 신선한 산소, 맑은 공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