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각형의 방, 코르크(Cork)의 정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육각형의 방, 코르크(Cork)의 정체

0 개 3,053 피터 황

 

 

f33dcd8cd4654c4673a28d8a9cc0530e_1455164084_8331.jpg

 

와인은 오래될 수록 좋다는 생각이 보편적이다. 숙성이 되면서 풍미가 풍부해지는 와인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와인과 함께 동고동락해온 코르크(Cork)는 와인이 개봉되는 순간까지 와인의 맛과 향을 지켜주는 중요한 임무를 가지고 있다. 어떤 이들은 코르크 마개에 와인을 마신 날짜와 장소, 함께 마신 사람을 적어서 보관하며 추억하기도 한다. 현재는 코르크 마개 대신 스크류 형태의 병 뚜껑(Screw Caps)이 등장했지만 코르크의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다. 이것은 실용성보다는 분위기와 멋을 중요시하는 와인의 문화 때문일 것이다. 

 

와인이 시간이 지날수록 코르크를 통해서 숨을 쉬면서 숙성되고 진화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병 속의 와인은 엄밀히 말하면 질식상태다. 거의 극소량의 산소만을 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코르크는 재질 자체에 육각형 모양의 구멍이 많아 미량의 산소가 들어갈 수 있는데 이것이 와인 숙성을 돕는 역할을 한다. 코르크를 통해 들어가는 극소량의 산소는 병 속에 존재하는 산소와 함께 와인을 서서히 숙성시켜 색깔이나 맛, 향을 조화롭고 원숙하게 만들어 준다. 결국 와인은 코르크로 숨이 막힌 채 병 안에서 극소량의 산소로 숨을 쉬며 기나긴 세월 성숙의 시간을 갖고 변신 후에 우리와 마주한다는 얘기다. 

 

레스토랑에서 소믈리에가 코르크 마개를 건네주고 확인을 부탁하면 냄새도 맡아봐야겠지만 무엇보다도 젖어 있는 쪽이 말랑말랑한지 눌러보는 게 현명하다. 세워서 오랫동안 보관했다면 코르크가 딱딱하게 굳어있을 것이고 코르크의 틈이 벌어져 산화됐을 가능성이 크다. 운송하면서 섭씨 60도를 넘으면 끓어 넘친다는 표현을 쓰는데 이럴 땐 빙빙 돌아가도록 되어 있는 병목의 PVC호일이 딱 달라붙어 움직이지 않고 와인의 양도 확연히 줄어있다. 잘 보관된 좋은 와인은 코르크가 도장처럼 끝부분이 고르게 젖어 있는 것이다. 

 

코르크 나무는 지중해 연안을 중심으로 포르투갈과 스페인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의 굴피나무와 같이 껍질을 벗기면 다시 그 층이 형성되는 참나무 계통의 나무다. 수령이 40년 이상 된 나무에서 10년 간격으로 껍질을 벗겨 수확하는 데 이를 바크(Bark)라고 한다. 바크를 몇 년 동안 두었다가 조직이 수축하고 성분이 균일하게 되면 삶아서 탄력성을 높인다. 그 후 시원한 곳에 건조시켜 일정한 크기로 잘라 펀칭을 해서 코르크 마개를 만든다. 보통 100Kg의 바크를 가공해서 30Kg의 코르크를 만들 수 있다. 

 

코르크 마개가 와인에 쓰이기 시작한 것은 17세기경으로 샴페인을 발명한 프랑스의 돔 페리뇽 신부가 처음 만들어 썼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 전에는 와인을 항아리나 가죽부대에 넣어 보관했다고 한다. 코르크에는 속이 비어있는 벌집과 같은 육각형의 방이 1입방 센티미터의 공간에 수천만 개가 들어있고 1입방 인치 속에 2억 개의 세포들이 수지 막에 쌓인 채 밀집되어 있다. 부피의 절반이 공기로 차있어 매우 가볍고 연하며 탄력성이 좋아 압력을 가해도 금방 원상복구가 된다. 그러나 코르크는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에 곰팡이와 같은 해로운 미생물이 침투하거나 먼지 등이 들어가서 와인에 말썽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그래서 코르크는 육각형 방의 크기와 그 방이 많고 적음에 따라 품질이 좌우된다. 

 

와인 병을 세워서 보관하면 코르크가 건조해지면서 바깥쪽 공기가 쉽게 들어와 와인의 질에 변화를 주게 된다. 그러나 와인 병을 눕히거나 거꾸로 두면 코르크가 와인과 접촉하여 팽창하므로 공기가 들락거릴 틈을 주지 않는다. 사실 공기유통은 거의 불가능하다. 산소는 그 양이 극소량(1년에 0.02-0.03입방 센티미터)이기 때문에 병 숙성에 관여하지 못한다. 그래서 와인은 항상 눕혀서 시원한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와인을 오랫동안 보관 한다고 해서 더 좋아질 것은 없다. 그렇지만 알코올 농도가 높고 묵직한 레드 와인은 세월이 지나면서 미세한 변화를 일으켜 서서히 맛이 부드러워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와인 자체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한 것이지 결코 코르크가 숨쉬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코르크를 사용한 이유가 와인을 숨쉬게 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와인을 흡수하면 팽창하게 되어 더욱 견고히 입구를 막아 줄 수 있는 코르크의 물리적 특성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와인이 병 외부와 내통하며 숨을 쉬고 있다기 보다는 질식 상태로 잠을 자고 있다고 보는 게 더 타당하다. 그 이유는 코르크 조직이 물이나 공기를 통과시키기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든 와인은 일단 병 속에 들어가면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다. 코르크를 통해 공기가 들락거린다면 와인은 본래의 맛이 아닐 것이 분명하다. 마시다가 남긴 와인을 며칠이 지난 후에 마셔본 사람이라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 바깥으로부터 유입된 산소가 와인을 급격히 산화시켜 오래 두면 식초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와인은 개봉하고 나서 잠든 와인을 깨웠다면(디캔팅, Decanting)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모두 마시는 것이 좋다. 

 

샴페인과 삑사리 철학

댓글 0 | 조회 8,899 | 2015.10.14
고향에선 추석명절이면 오랜만에 모인 식구들이 화투(花鬪)를 하곤 했다. ‘꽃으로 싸운다’는 뜻의 화투는 그 이름에서 이미 심오한 철학의 무게가 느껴진다. 48장의… 더보기

웰컴 투 보르도(Bordeaux)

댓글 0 | 조회 2,495 | 2015.11.12
세계와인의 표준, 프랑스. 와인 하면 어째서 프랑스를 세계 제일로 여기는 것일까? 이유는 와인을 만들어 온 역사가 깊다는데 있다. 로마인들이 갈리아를 정복하고 포… 더보기

요강을 뒤엎는 술, 복분자(Black Raspberry)

댓글 0 | 조회 3,999 | 2015.12.09
대충 약 30년 전의 서울시 시민들의 이야기가 리얼하다. ‘연탄불, 성문종합영어, 골목길, 카스텔라’. 응답 받고 싶은 1988년도, 나의 대학시절이기도 한 그 … 더보기

나의 첫 사랑, 피조아(Fejoa)

댓글 0 | 조회 3,360 | 2016.01.14
남자는 첫 사랑을 못 잊어 또다시 닮은 사랑을 하고 여자는 첫 사랑을 잊기 위해 두 번째 사랑을 시작한다고 했던가. 내가 그를 만난 것은 대략 20년 전, 데본포… 더보기
Now

현재 육각형의 방, 코르크(Cork)의 정체

댓글 0 | 조회 3,054 | 2016.02.11
와인은 오래될 수록 좋다는 생각이 보편적이다. 숙성이 되면서 풍미가 풍부해지는 와인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와인과 함께 동고동락해온 코르크(Cor… 더보기

청국장과 치즈는 누가 다 먹었을까

댓글 0 | 조회 3,998 | 2016.03.10
카메라 앞에만 서면 무뚝뚝하게 서있는 나에게 사진사는 간절하게 김치를 외쳐댄다. 그래 봐야 마지못해 억지웃음을 만들어내자 이번엔 치즈를 부르짖는다. 입가에 웃음을… 더보기

청주(淸酒) VS 사케(Sake)

댓글 0 | 조회 6,702 | 2016.04.13
아버지와 여러 겹의 노끈으로 손잡이를 만든 백화수복을 들고 고향에 내려 올려다본 밤하늘엔 별들이 빼곡했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 더보기

엄친아 아버지, 카베르네 프랑

댓글 0 | 조회 2,916 | 2016.05.11
연예인 뺨치는 외모에 공부 잘하고 부모 말씀에는 무조건 순종한다는 무시무시한 존재, 엄친아(엄마친구아들). 이제는 모든 방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갖춘 사람을 일컫는… 더보기

나폴레옹과 술의 황제, 코냑(Cognac)

댓글 0 | 조회 7,296 | 2016.06.09
프랑스의 지명이기도 한 코냑(Cognac)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최고급 브랜디(Brandy)인 코냑이 와인을 증류해서 만든 술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의… 더보기

초콜릿을 사랑한 아이스(Ice)와인

댓글 0 | 조회 2,400 | 2016.07.14
사랑을 하게 되면 서로 닮아간다고 한다. 그래서인지는 모르지만 초콜릿과 와인은 닮은 점이 많다. 초콜릿의 재료인 카카오 빈이 전혀 다른 자신만의 고유한 맛과 성질… 더보기

와인 디자인, 블렌딩(Blending)의 세계

댓글 0 | 조회 3,809 | 2016.08.11
언제나 손님으로 인산인해를 이룬다는 맛 집들은 대부분 한 가지 메뉴로 승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독창적인 비법으로 대를 이어가면서 전통의 맛을 변함없이 지켜가기… 더보기

속도중독, 느리게 살 수 있는 용기

댓글 0 | 조회 2,150 | 2016.09.15
우리를 둘러싼 세상은 너무 빨리 달리고 있다. 느리게 따라가다 보면 상위무리에서 뒤처진다는 강박관념이 모두를 괴롭힌다. 근면한 한국인의 ‘빨리빨리 정신’이 지금의… 더보기

와인의 몸무게, Body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216 | 2016.10.11
살찐 고양이 한 마리가 봄 햇살을 즐기며 풀숲에 평화롭게 누워있다. Fat Cat, 이 그림이 그려진 와인을 마신 후에 느껴지는 느낌이 상상이 되는가? 이 그림을… 더보기

호스트 테이스팅(Host Tasting)을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3,643 | 2016.11.09
허물없이 친한 사람들끼리의 자리라면 그다지 매너를 따질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런 형식이나 절차가 편안한 분위기를 너무 학문적(?)이고 딱딱하게 만들 수도 있기 … 더보기

광화문에서 나는 숲을 보았다

댓글 0 | 조회 1,978 | 2016.12.06
세상 모든 것이 모두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 아니겠냐고 들 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다. 굶을 때면 제일 무서운 것이 그 목구멍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먹을 수만… 더보기

파리(Paris)로 떠난 모나리자

댓글 0 | 조회 1,597 | 2018.09.11
프랑스 VS 이탈리아 (Ⅰ)카톡이나 안부를 먼저 보내주는 사람이 한가하고 할 일이 없어서 그러는 게 아니라 마음 속에 늘 당신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다툰 후에 … 더보기

욕쟁이할머니 맛의 비밀

댓글 0 | 조회 1,563 | 2018.10.10
신의 선물 와인의 초대 (67)​퇴근한 후에 산동네를 오르는 동네아저씨들은 길목에 있던 우리집 구멍가게를 그냥 지나 칠 수가 없었다. 한 동네 모두가 이웃이었고 … 더보기

빈치(Vinci) 마을의 천재, 레오나르도

댓글 0 | 조회 1,671 | 2018.11.15
프랑스 VS 이탈리아 (II)이탈리아가 낳은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는 화가일 뿐 아니라 위대한 발명가였다. 자동차, 비행기, 헬… 더보기

프로세코여~. 아직도 로맨스를 꿈꾸는가?

댓글 0 | 조회 1,598 | 2018.12.12
벼락처럼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는 로맨스를 우린 평생 몇 번이나 해볼 수 있을 까? 어떤 이들은 유치한 드라마 속 이야기 라고도 한다. 삶의 절정을 지나버린 나이가… 더보기

판타스틱 듀오, 커피와 와인

댓글 0 | 조회 1,622 | 2019.01.16
요즘 카페에서는 커피와 함께 와인이, 와인바에서는 와인과 함께 커피가 메뉴 판 리스트에 적혀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소믈리에나 바리스타들이 실제로 … 더보기

검은 순수 VS 황홀한 지옥

댓글 0 | 조회 1,603 | 2019.02.13
커피와 와인을 마시는 것은 곧 자연을 마시는 것이다. 처음에 이 둘은 약으로 사용됐다. 기원 전 에티오피아 부족들은 커피나무 잎을 씹거나 줄기 끓인 물을 마시며 … 더보기

향기(香氣)를 잃으면 독(毒)이 된다

댓글 0 | 조회 1,633 | 2019.03.13
화학약품의 조합으로 실험실에서 와인이 만들어지고 콘크리트 빌딩에서 컴퓨터로 채소와 과일이 만들어진다. 덕분에 우리의 식탁은 향을 잃은 식재료들로 채워져 가고 있다… 더보기

상식을 깨는 돌연변이

댓글 0 | 조회 1,790 | 2019.04.10
피노(Pinot)라는 말은 솔방울을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그러니 프랑스 부르고뉴의 대표적인 레드 와인인 피노누아(Pinot Noir)는 검은 솔방울이라는 뜻이 되… 더보기

잡종의 생존법칙

댓글 0 | 조회 1,654 | 2019.05.14
와인의 품질은 포도 품종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개성에 크게 지배된다. 결국 품종이 같다면 재배지가 다르더라도 품질 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말할 수 있… 더보기

나의 혈액형은 카베르네

댓글 0 | 조회 1,681 | 2019.06.11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는 말이 있듯이 혈액형이 같은 사람은 같은 종류의 유전인자를 갖게 돼 성격, 행동, 질병이 비슷해진다고 한다. 피는 신선한 산소, 맑은 공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