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슴도치의 고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고슴도치의 고민

0 개 1,917 새움터

 9e566353983df97080c547d7a045610f_1508907219_8867.jpg

 

“전화 끊어. 나 바빠!”

 

첫 마디가 날카롭다. 평소에 친하게 지냈다고 생각한 친구의 반응이다. 얼른 전화를 끊었다. 마음이 영 편안하지가 않다. 나도 바쁜 데 시간을 내서 전화했던 거였다. 특별히 마음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동창도 없고, 친척도 없는 이민 생활에서 그래도 나를 많이 이해해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무슨 특별한 이유가 있겠거니 했다. 그런데도 섭섭한 마음이 멈추질 않아 동네를 한 바퀴 산책하고 왔다. 기분은 살짝 나아진 것 같지만 머릿속은 복잡했다. 결국, 엉뚱한 생각에까지 이르렀다.‘내가 그 동안 너무 잘해줬나? 내가 너무 쉽게 보이나? 앞으로 내가 다시는 연락하나 봐라.’

 

‘고슴도치의 고민’(Hedgehog’s dilemma). 독일 철학자 쇼펜하우어와 정신 분석의 창시자인 오스트리아 신경과 의사 프로이트가 사람 사이의 친밀감을 유지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를 은유적으로 표현해 사용한 말이다. 친밀감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서로 간의 상처와 아픔을 감내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운 겨울날 고슴도치는 체온을 지키려고 끼리끼리 모인다. 그러나 가시가 찌르기 때문에 떨어져 있어야 한다. 얼마 안 있어 고슴도치들은 다시 모인다. 그것도 잠시, 또 떨어져 있어야 한다. 이런 행동을 몇 번 반복한 후에 고슴도치들은 어느 정도 적절한 거리에서 머무른다.

 

이런 현상이 사람 관계에서도 자주 일어난다. 사람들과 함께 있고 싶은 마음으로 가까이 다가가지만, 각자의 타고난 독특한 성격으로 인해 서로를 밀어낸다. 서로를 향한 뚜렷한 선의를 가지고 있음에도 개개인의 타고난 기질과 각자 다르게 살아온 생활환경으로 말미암아 상처되는 말과 행동을 하게 된다.

 

좁은 이민 사회 안에서 우리는 쉽게 상처를 받는다. “우리가 남이야”하면서 상대에게 불쑥 다가간다. 이것저것 다 챙겨주고 다 퍼준다. 내가 하고 싶어 한 것이다. 그러다가 상대편의 가시가 나를 찌르면 “내가 어떻게 했는데 네가 이렇게 할 수가 있어”하고 원망을 한다.

 

또한, 반대로“한국 사람이 다~아 그렇지 뭐. 내가 이래서 이민을 왔다니까…”하며 볼멘소리를 한다. 조금은 비아냥거리면서 다른 한국 사람들을 멀리서 쳐다본다. 본인은 한국 사람이 아닌 것처럼. 그리고 백인 키위만 보면“땡큐!!”를 연발하며 환하게 웃는다.

 

이제 나를 들여다본다. 나도 혹시 이런 비슷한 행동을 한 적이 없었을까? 피식 웃음이 나온다.

 

2주 전쯤이다. 한국에 사는 여동생한테서 전화가 왔다. 치과 약속 시간에 늦어 정신없이 나가려던 참이었다. 미처 준비하지 못한 나 때문에 신경이 날카로워진 남편은 이미 차 시동을 걸어 놓고 있었다.

 

“나 지금 나가야 해!!!!!”

왜 전화했냐고 묻지도 못했다. 외치듯 내 말만 하고 성급히 전화를 끊었다. 그때는‘치과에 갔다 와서 바로 전화해야지’하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그런데 완전히 까마득히 잊고 있었다.

 

“맙소사 !!!”

여동생에게 전화를 해야겠다. 먼저 미안하다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급하게 전화를 끊어야만 했던 이유를 이해가 가도록 찬찬히 설명하고 싶다. 동생이 평소의 그 활달한 성격대로

“무슨 말 하는 거야! 다 잊어버렸어.”

그렇게 말해줬으면 참 고맙겠다.

 

지금의 마음 같아서는 친구에게도 내가 먼저 전화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괜찮냐고 혹시 무슨 일이 있는 것은 아니냐고? 며칠 전에는 전화를 그렇게 받아서 내가 마음이 상할 뻔했다고.

 

아니면 조금 더 기다려야 할까? 이 친구와 나 사이의 적정거리를 머리 속으로 그려본다.

 

*새움터는 정신 건강의 건전한 이해를 위한 홍보와 교육을 하는 단체입니다.

어찌 하오리까 Ⅱ

댓글 0 | 조회 1,965 | 2020.12.22
‘베트남의 호치민, 태국의 치앙마이, 인도네시아의 발리, 체코의 프라하그리고 한국의 제주도’지금이야 코로나로 인해 국내외 여행이 사실상 불가능 해졌지만 나열한 장… 더보기

새움터의 시작

댓글 0 | 조회 1,950 | 2014.08.13
요즈음 웰빙 바람과 더불어 정신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사람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은 일상 속에… 더보기

Anger (화)

댓글 0 | 조회 1,931 | 2012.10.24
“어떤 사람은 화를 슬기롭게 다스려 지혜로운 삶을 살고, 어떤 사람은 화를 어리석게 다뤄 자신과 주변에 큰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 비벌리… 더보기

사랑하는 사람과의 동침 OR 적과의 동침

댓글 0 | 조회 1,930 | 2013.10.22
여성들은 종종 자신은 적과 동침한다고 한다. 왜 그렇게 사느냐 물으면 남편이 생활비를 주니까, 아이들이 어리니까, 이혼녀가 되는 것이 두려워서, 키워주신 부모님을… 더보기
Now

현재 고슴도치의 고민

댓글 0 | 조회 1,918 | 2017.10.25
“전화 끊어. 나 바빠!”첫 마디가 날카롭다. 평소에 친하게 지냈다고 생각한 친구의 반응이다. 얼른 전화를 끊었다. 마음이 영 편안하지가 않다. 나도 바쁜 데 시… 더보기

내겐 너무 소중한 당신

댓글 0 | 조회 1,910 | 2011.10.12
여러분은 전등불도, 달빛도 없는 깜깜한 밤 시골 길을 걸어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얼마 전 일간지에 실린 한 일본인의 긍정의 시각을 빌려, 어려움 속에서 희망과 긍… 더보기

내가 선택하는 나의 희망과 꿈

댓글 0 | 조회 1,910 | 2011.12.23
몸에 병이 있어도 삶은 풍성할 수 있다. 정신 건강에 좋은 무기 (Wellness Tools)를 개발하면 그것이 풍성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용기를 주며, 움직이게… 더보기

나도 몰라주는 내 아픔

댓글 0 | 조회 1,904 | 2013.12.11
경미씨는 부쩍 생각이 많아지고 불안하다. 뭔가 잘못되고 있는 것 같아서 더욱 많은 생각을 해보지만 불안 초조가 심해질 뿐이다. 남편에게 자신의 불안한 생각을 말해… 더보기

내 딸이 양치기가 된다면

댓글 0 | 조회 1,884 | 2017.11.22
“My son is a shepherd in South Island.”귀를 의심했다. 아들의 직업이 ‘양치기’(shepherd)라니. 뉴질랜드에는 사람보다 양이 … 더보기

나는 언제나 청춘

댓글 0 | 조회 1,881 | 2011.10.26
삼 세대가 함께 사는 어느 가족이야기가 떠오릅니다. 치매에 걸려 여러 번 값비싼 사기접시를 깨뜨리신 할머니가 못마땅해 어느 날 어머니는 아들에게 시장에 가서 할머… 더보기

우리 부부는 적군인가 아군인가

댓글 0 | 조회 1,858 | 2013.11.12
한 지붕 아래에서 적군과 대치하는 경험을 해 보지 않은 부부는 없을 것이다. 서로 가까이 있으니 수시로 전쟁을 치룬다. 미워도 그만큼 미운 적군은 세상에 없다. … 더보기

뜬금없이 찾아온 나의 정체성 혼돈기

댓글 0 | 조회 1,854 | 2019.06.11
이민 온 누구나가 그렇듯이, 이왕 이민 온 것 잘 살아보려고 열심히 노력하였고, 크고 작은 일들을 겪으며 아이들은 이민생활에 잘 적응해서 학교마치고 직장생활하는 … 더보기

정신건강 스스로 지킬 수 있다

댓글 0 | 조회 1,846 | 2012.03.28
세계는 이미 고령화시대로 접어들었다. 뉴질랜드 노인의 인구가 12%를 넘었고, 2031년 되면 21%를 넘을 추세이다. 이는 베이비붐 때 태어난 분들이 만 65세…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1,844 | 2011.12.14
11월에 개봉된 영화 ‘완득이’가 300만 관객 돌파로 화제가 되고 있다. 영화 <완득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던 기존의 흥미 위… 더보기

웃음의 미학

댓글 0 | 조회 1,834 | 2012.07.10
어느 팔순 노인이 자신의 인생을 회고해보니… 잠자는데 26년, 일하는데 21년, 밥먹는데 6년, 사람을 기다리는데 6년을 보냈는데, 웃으며 보낸시간은… 더보기

당신 곁에 누군가가

댓글 0 | 조회 1,833 | 2012.05.09
2006년 말 유방암 진단을 받고 그 동안 계획했던 사회 복지학 공부를 포기 해야 될 상황이 찾아왔다. 영어가 부족해 날이면 날마다 영어를 가지고 씨름하면서 나름… 더보기

치유의 말과 행동, 무엇이 더 중요할까?

댓글 0 | 조회 1,824 | 2018.07.11
오랫동안 상담 일을 해 왔다. 심리 상담이나 치료를 직업으로 한다고 하면 많은 사람이 묻는 게 있다. “어떻게 듣기만 해요?”또는 “무척 힘드시죠?”등이다. 그들… 더보기

나에게 박수를

댓글 0 | 조회 1,822 | 2011.09.28
최근 한 분의 정신 건강 관련 전문의 강연에서 느낀 것들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자기 스스로를 사회로부터 소외 시키는 삶은 여러가지 모양의 질병으로 나… 더보기

나는 어떤 사람인가?

댓글 0 | 조회 1,817 | 2012.02.28
직업상 이런 저런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이젠 제법 연륜이 생겨 처음 보는 사람과도 몇 마디 대화를 나누다 보면 그 사람의 내면이 어떤 상태에 있는… 더보기

노년기의 일과 행복

댓글 0 | 조회 1,815 | 2012.04.11
“우리 집사람 또 일냈어! 집에서 그냥 쉬는 꼴을 못 봐요. 2년전 까페를 정리하면서 이젠 마지막이 될 꺼라고 말했었는데…… … 더보기

자기 비하

댓글 0 | 조회 1,800 | 2013.08.13
자기 비하로 고통 하는 분들이 있다. 자기 비하가 심하면 자신을 존중하기 어렵고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자신감도 떨어지고 항상 불안해 하며 근… 더보기

당신 괜찮아요, 우리가 있잖아요

댓글 0 | 조회 1,798 | 2011.09.14
많은 사람들이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의 마음에 상처를 준 기억을 떠 올립니다. 정말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일로 다투었던 나와 주변 사람들... 내가… 더보기

노을, 아프다

댓글 0 | 조회 1,797 | 2017.06.14
♥ 정인화의 민낯 보이기우리 집 데크(deck)에서 바라보는 서쪽 하늘은 장관이다. 내가 아는 모든 수식어를 송두리째 훔쳐간다. 난 그 정경에 한없이 왜소해진다.… 더보기

내가 왕년에 말이야

댓글 0 | 조회 1,789 | 2019.12.23
1980년대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라는 곡으로 어느 정도 대중적 사랑을 받았던 가수가 있었다. 흰 눈 사이로 썰매를 타야지만 크리스마스인 줄 알았던 필자에게 … 더보기

계절적 우울증

댓글 0 | 조회 1,784 | 2012.06.26
(Seasonal Affective Disorder/Winter Depression) 이렇게 매일 비가 오는 것을 보니 이제 겨울이 점점 깊어지고 있는 것 같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