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왕년에 말이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내가 왕년에 말이야

0 개 1,791 새움터

1980년대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라는 곡으로 어느 정도 대중적 사랑을 받았던 가수가 있었다. 흰 눈 사이로 썰매를 타야지만 크리스마스인 줄 알았던 필자에게 이 노래 제목은 낯설었다. 이 가수는 한국과 사계절이 정반대인 호주라는 미지의 곳에서 날아 온 또 다른 지구인이었다. 그 낯설었던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가 올 해로 20번 째다. 너무나 쉽게 상상되던 함박눈이 내리는 겨울 거리, 구세군의 종소리, 은은한 가로등과 상점에서 울려 나오는 캐롤이 낯설게 느껴진다. 오히려 11월 부터 벌써 크리스마스 준비에 분주한 사람들, 상점마다 진열된 상품들, 덩달아 들썩대는 분위기. 그리고 크리스 마스 당일에는 그저 파란 하늘과 파도가 넘실대는 바닷가에 돗자리를 펼쳐 놓고 바베큐를 하는 것에 익숙해져 버렸다. 나이듦과 더불어 시간과 공간이 변해 갈수록 스스로가 상황에 맞게끔 변화하고 적응해야 하는데 이게 그렇게 간단치 않다. 익숙해 진다는 것은 편안해 진다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한다. 주위 사람과 주변 환경에 익숙해지면 편안하고 편안한 만큼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본인의 지나간 시절이 더욱 소중하고 아름답게 느껴지고 ‘왕년’을 이야기 속에서 안정감을 찾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때론 ‘왕년’의 시간 속에 갇히기도 한다. 

 

최근 치매 요양원을 찾아가 한 노인에게 도움을 드렸던 일이 있다. 이 노인은 2차 세계대전 참전 용사이다. 10대 후반의 나이에 뉴질랜드 공군에 기술병과로 입대하여 필리핀 공군기지로 배속되었다. 약 3년간 격납고에서 전투기 정비병으로 근무했다. 시쳇말로 기름밥을 먹은 분 이었다. 안타깝게도 불과 두 세달 사이에 치매증세가 많이 진행되어 본인은 물론이고 가족 그리고 요양원 스탭들도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중이었다. 필자를 처음 만나셨음에도 반갑게 맞이하시고 현재 자신이 복무하고 있는 자대 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하셨다. 옆방에 있는 동료는 수송대 소속이고 얼마나 골초인지 비흡연자인 본인과는 안 맞아서 말도 안섞는다는 이야기부터 요즘 부대 짠밥이 얼마나 나빠졌는지 자주 식사를 거르게 된다고도 말씀 하셨다. 조만간에 미국으로 재배치 대기 중이라 따로 독방을 사용 중이라고 벽에 걸린 사진을 보고 말씀 하셨다. 그 빛 바랜 흑백 사진 속에는 본인이라고 주장하는 어느 청년이 전투기 날개 옆에 장난끼 가득한 얼굴로 정면을 응시하고 있었다. 함께 가게될 전우가 생겨 반갑다며 마침 아버지를 방문한 칠순의 아들의 손을 맞잡으셨다. 

 

그 노인에게 치매 요양원은 필리핀에 있던 내무반이었고 여전히 2차 세계 대전은 현재 진행형 이었다. 왜 굳이 많은 시간들 중 특별히 그 ‘왕년’만 기억하고 그 시간 속에 갇혀 있는지 누구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치매의 증상 가운데 ‘Sun downing symptom’ 즉 해질녁 증상이라는 것이 있다. 이 증상은 치매 환자들이 유독 오후가 되고 해질녁이 되 갈수록 말과 행동이 과격해 지는 것이다. 개인에 따라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치매 노인의 보호자 입장이라면 하루 24시간 어느 한순간이라도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여유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90을 바라보는 나이에 여전히 군복무 중이신 그 노인의 경우도 주위 다른 요양원 거주 노인들에게 본의 아니게 민폐를 끼치고 있었다. 오후만 되면 옆방 노인과 수시로 다투거나 종종 지팡이를 흔들며 위협적인 행동을 하기도 하고 식사와 개인 위생을 도와주는 스탭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과격한 행동으로 인해 요주의 인물로 알려지게 되었다. 결국 적절한 치료와 요양을 위해 미국이 아닌 보다 높은 단계의 시설로 재배치(?)되는 것으로 결론이 나게 되었다. 

 

치매는 뇌질환의 일종으로 알츠하이머로 알려진 퇴행성 치매, 뇌혈관계 치매 그리고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파키슨병으로 크게 나뉜다. 흔히 기억력이 저하되고 시공간의 인지능력이 저하된다. 치매가 무섭다고 하는 것은 서서히 단기 기억이 상실되다가 결국엔 한 인격체로서의 존엄마저 사라지게 되는 안타까운 병이기 때문이다. 특히 많이 알려진 치매의 증상은 과거로의 회귀이다. 방금 식사한 사실은 잊어버리고 또 밥을 달라 보채지만 50년 전에 첫 애를 낳아 품에 안았던 것은 기억하는 그런 식이다. 그리고 그 찰나의 기억들만 무한 재생을 하며 다른 세상에서 살고 있는 듯 행동하고 말한다. 안타까운 것은 치매는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 규명도 이에 따른 치료 가능한 질병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결국 건강한 생활 습관이 그나마 노년에 발생하게 될 치매를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건강한 생활 습관은 운동, 취미 생활, 식습관 뿐 아니라 평소 정신건강 관리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시황제가 그토록 원했던 불로초(不老草)가 존재하지 않듯 치매 예방을 위해 모든이에게 딱 맞는 만능열쇠는 없다. 오늘 만큼은 각자의‘왕년’으로 잠시 돌아가 보자. 그리고 지금의 내 모습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시간 여행을 통해 각자가 주체적 정신 건강 전문가가 되어 보면 어떨까 싶다.                     <새움터 회원 장요셉> 

 

새움터는 정신 건강의 건전한 이해를 위한 홍보와 교육을 하는 비영리 단체입니다. www.saewoomtor.org.nz 

 

잔물결 효과, 고맙다

댓글 0 | 조회 1,711 | 2017.11.07
♥ 정인화의 민낯 보이기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일했다. 편해서 좋긴 한데 발전이 없다. 내용만 보면 같은 일의 반복이다. 언제 여기를 떠날 수 있을까. 오늘도 공상… 더보기

취직하기 위한 용기

댓글 0 | 조회 1,731 | 2012.06.13
요즈음 취직하기란 정말 어려운 시점에 와 있다고 많은 분들이 얘기도 하고 또 피부로 느낄 수 있지만 그래도 어딘가에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에 일을 찾을 수 있다는… 더보기

컴뮤니티 참여와 정신건강

댓글 0 | 조회 1,760 | 2012.04.24
평균 수명이 점점 늘어나는 요즘, 어떻게 하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 가장 큰 화두인데, 노인의 하루하루를, 삶을 알차게 설계하고 어떻게… 더보기

다 너 잘 되라고 그러는 거야

댓글 0 | 조회 1,773 | 2020.10.14
며칠 전이 추석이었다. 모처럼 캄캄한 밤하늘에 걸린 쟁반같이 둥근 달을 새삼 올려다 보게 되었다. 한국을 떠나 이곳 뉴질랜드에 정착하여 20년 넘게 살다보니 추석… 더보기

당신이 꿈꾸는 노년은....

댓글 0 | 조회 1,779 | 2013.06.11
인간의 오랜 열망이었던 장수의 꿈이 실현되어가고 있다. 자녀양육과 직장에 얽매인 이전까지의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꿈 꿀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장수… 더보기

여보, 축의금을 얼마나 하면 좋을까?

댓글 0 | 조회 1,782 | 2013.03.13
지인으로 부터 청첩장를 받게 되면 축하의 마음과 더불어 한가지 고민이 생깁니다. ‘과연 축의금을 얼마나 하는것이 적절한가’ 입니다. 청첩장을… 더보기

계절적 우울증

댓글 0 | 조회 1,785 | 2012.06.26
(Seasonal Affective Disorder/Winter Depression) 이렇게 매일 비가 오는 것을 보니 이제 겨울이 점점 깊어지고 있는 것 같다.… 더보기

현재 내가 왕년에 말이야

댓글 0 | 조회 1,792 | 2019.12.23
1980년대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라는 곡으로 어느 정도 대중적 사랑을 받았던 가수가 있었다. 흰 눈 사이로 썰매를 타야지만 크리스마스인 줄 알았던 필자에게 … 더보기

노을, 아프다

댓글 0 | 조회 1,799 | 2017.06.14
♥ 정인화의 민낯 보이기우리 집 데크(deck)에서 바라보는 서쪽 하늘은 장관이다. 내가 아는 모든 수식어를 송두리째 훔쳐간다. 난 그 정경에 한없이 왜소해진다.… 더보기

당신 괜찮아요, 우리가 있잖아요

댓글 0 | 조회 1,800 | 2011.09.14
많은 사람들이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의 마음에 상처를 준 기억을 떠 올립니다. 정말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일로 다투었던 나와 주변 사람들... 내가… 더보기

자기 비하

댓글 0 | 조회 1,803 | 2013.08.13
자기 비하로 고통 하는 분들이 있다. 자기 비하가 심하면 자신을 존중하기 어렵고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자신감도 떨어지고 항상 불안해 하며 근… 더보기

나는 어떤 사람인가?

댓글 0 | 조회 1,818 | 2012.02.28
직업상 이런 저런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이젠 제법 연륜이 생겨 처음 보는 사람과도 몇 마디 대화를 나누다 보면 그 사람의 내면이 어떤 상태에 있는… 더보기

노년기의 일과 행복

댓글 0 | 조회 1,818 | 2012.04.11
“우리 집사람 또 일냈어! 집에서 그냥 쉬는 꼴을 못 봐요. 2년전 까페를 정리하면서 이젠 마지막이 될 꺼라고 말했었는데…… … 더보기

나에게 박수를

댓글 0 | 조회 1,824 | 2011.09.28
최근 한 분의 정신 건강 관련 전문의 강연에서 느낀 것들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자기 스스로를 사회로부터 소외 시키는 삶은 여러가지 모양의 질병으로 나… 더보기

치유의 말과 행동, 무엇이 더 중요할까?

댓글 0 | 조회 1,826 | 2018.07.11
오랫동안 상담 일을 해 왔다. 심리 상담이나 치료를 직업으로 한다고 하면 많은 사람이 묻는 게 있다. “어떻게 듣기만 해요?”또는 “무척 힘드시죠?”등이다. 그들… 더보기

웃음의 미학

댓글 0 | 조회 1,836 | 2012.07.10
어느 팔순 노인이 자신의 인생을 회고해보니… 잠자는데 26년, 일하는데 21년, 밥먹는데 6년, 사람을 기다리는데 6년을 보냈는데, 웃으며 보낸시간은… 더보기

당신 곁에 누군가가

댓글 0 | 조회 1,836 | 2012.05.09
2006년 말 유방암 진단을 받고 그 동안 계획했던 사회 복지학 공부를 포기 해야 될 상황이 찾아왔다. 영어가 부족해 날이면 날마다 영어를 가지고 씨름하면서 나름…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1,848 | 2011.12.14
11월에 개봉된 영화 ‘완득이’가 300만 관객 돌파로 화제가 되고 있다. 영화 <완득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던 기존의 흥미 위… 더보기

정신건강 스스로 지킬 수 있다

댓글 0 | 조회 1,850 | 2012.03.28
세계는 이미 고령화시대로 접어들었다. 뉴질랜드 노인의 인구가 12%를 넘었고, 2031년 되면 21%를 넘을 추세이다. 이는 베이비붐 때 태어난 분들이 만 65세… 더보기

뜬금없이 찾아온 나의 정체성 혼돈기

댓글 0 | 조회 1,856 | 2019.06.11
이민 온 누구나가 그렇듯이, 이왕 이민 온 것 잘 살아보려고 열심히 노력하였고, 크고 작은 일들을 겪으며 아이들은 이민생활에 잘 적응해서 학교마치고 직장생활하는 … 더보기

우리 부부는 적군인가 아군인가

댓글 0 | 조회 1,860 | 2013.11.12
한 지붕 아래에서 적군과 대치하는 경험을 해 보지 않은 부부는 없을 것이다. 서로 가까이 있으니 수시로 전쟁을 치룬다. 미워도 그만큼 미운 적군은 세상에 없다. … 더보기

나는 언제나 청춘

댓글 0 | 조회 1,883 | 2011.10.26
삼 세대가 함께 사는 어느 가족이야기가 떠오릅니다. 치매에 걸려 여러 번 값비싼 사기접시를 깨뜨리신 할머니가 못마땅해 어느 날 어머니는 아들에게 시장에 가서 할머… 더보기

내 딸이 양치기가 된다면

댓글 0 | 조회 1,885 | 2017.11.22
“My son is a shepherd in South Island.”귀를 의심했다. 아들의 직업이 ‘양치기’(shepherd)라니. 뉴질랜드에는 사람보다 양이 … 더보기

나도 몰라주는 내 아픔

댓글 0 | 조회 1,906 | 2013.12.11
경미씨는 부쩍 생각이 많아지고 불안하다. 뭔가 잘못되고 있는 것 같아서 더욱 많은 생각을 해보지만 불안 초조가 심해질 뿐이다. 남편에게 자신의 불안한 생각을 말해… 더보기

내겐 너무 소중한 당신

댓글 0 | 조회 1,912 | 2011.10.12
여러분은 전등불도, 달빛도 없는 깜깜한 밤 시골 길을 걸어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얼마 전 일간지에 실린 한 일본인의 긍정의 시각을 빌려, 어려움 속에서 희망과 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