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물결 효과, 고맙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잔물결 효과, 고맙다

0 개 1,710 새움터

 ♥ 정인화의 민낯 보이기 

 

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일했다. 편해서 좋긴 한데 발전이 없다. 내용만 보면 같은 일의 반복이다. 언제 여기를 떠날 수 있을까. 오늘도 공상이다. 그 놈의 은행 빚 때문에 오도 가도 못하는 모습에 짜증이 몰려온다. 숨이 막힌다. 

 

공원에 앉아 책을 붙들고 있다. 글은 읽는데 무슨 내용인지는 모르겠다. 책을 베개 삼아 눕는다. 파란 하늘은 조금씩 사라지고 보르네오 정글이 나타난다. 오랑우탄이 보고 싶다. 여행이나 가볼까. 눈이 절로 떠진다. 

 

나이 들어 가치의 변화가 생겼다. 새로운 세상을 보고 싶은 욕구가 커졌다. 모험을 해볼까. 직장을 때려치울까. 생각의 끝을 가보면 항상 비슷한 결론에 이른다. 

 

‘그러면 현실적인 문제는...’머리 안은 복잡하다. 절망감은 아니지만 괜히 우울해진다. 

 

‘어떻게 살아야 하지.’ 

이 질문은 요사이 내 인생의 화두다. 언제부터인가 ‘무엇’을 위해보다는 ‘왜’와 ‘어떻게’살아야 하냐에 더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인생이란 영화를 관객으로만  만나지 말고  직접 감독하며 아름답게 만들어 보고 싶다. 

 

사회 복지사 뿐만 아니라 심리 치료사와 심리 상담사도 변화의 대리인(agent of change)이다. 나름대로 사회의 변화를 위해 목소리를 많이 낸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아무리 소리쳐도 메아리만 들려올 때가 많다. 

 

기득권과 하는 논쟁은 번번이 힘들다. 피곤하고 짜증스럽다. 자기 계발서의 지은이들은 할 수 있는 부분만 찾아 변화를 꾀하라고 주장한다.

 

‘가장 쉬운 곳이 타인이 아니라 본인’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 그뿐만 아니라, “행동과 사고의 장단점을 인식, 인정하면서 소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온전함을 느끼라”는 답도 준다. 

 

지식을 현실에 적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는 설명도 첨가해준다. 참 고맙고 깨어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공식을 쫓다보면 가끔 화가 난다.

 

나만 바뀌면 문제가 없을 거라고 얘기하는거 같아 기분이 나빠진다. 불공평하다.

 

‘당신들은 훈계하는대로 살고있어’라는 의심의 눈길도 보낸다.  이럴 때는 변하지도 않는 세상을 상대로 발길질이라도 해본다. 대부분은 후회하지만 말이다. 

 

‘어떻게 살아야 하지.’ 

사무실로 돌아왔지만 이 질문에서 아직 자유스럽지 않다. 눈에 띄는 변화가 없을 때 이 물음은 나를 짓누른다. 발전하고픈 이상과 현실의 만족 사이에서 갈등한다. 말과 행동이 일치하게 살고 싶다. 안전한 직장이지만 과감하게 박차고 떠나야 하나. 

 

동료가 쪽지하나 건넨다. 전에 나를 만났던 피상담자라고 한다. 누굴까. 

“Thank you for your presence in my life. I would not be here if I had not met you. I am happy now and am seeing more beauty in life.” (감사합니다. 선생님을 안 만났으면 저는 이 세상에 없을지도 몰라요. 지금 행복하고 세상이 아름다와요.) 

 

가슴이 뭉클하다. 눈가가 촉촉해지면서 엷은 웃음이 스친다. 생각해보면, 많은 사람들이 내게 고마움을 전했다. 그들은 상담실 안에서 무슨 얘기를 한지는 기억에 없으나 변했다고 한다. 공통으로 본인부터 시작한 변화가 가족의 행복을 가져왔다고도 한다. 

 

이런 말을 들을 때는 ‘잔물결의 효과’(rippling effects)가 생각난다. 우리 각자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쳐 그 변화가 다른 사람에게도 파문처럼 퍼진다는 말이다. 나로 인해 변화가 조금이라도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가슴이 뿌듯해진다. 

 

‘어떻게 살아야 하지.’ 

아직도 답이 없다. 매사추세츠 의과 대학의 명예 교수인 존 카밧진(Jon Kabat-Jin)은 마음챙김(mindfulness) 명상의 창시자다. 

 

그는“마음챙김은 의도적으로 현재 순간에 판단을 하지 않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라고 했다. 이를 통해 생각과 욕구를 멈추고 관찰자로써 자신에게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한다.  그의 말처럼, 당분간은 조바심을 내지 말고 마음의 흐름을 봐야겠다. 

 

생활이 힘들고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능력을 인정받으며 알려지고 싶은 욕구가 꿈틀거린다. 이런 순간에는 잡(job)과 커리어(career)사이에서 고민한다. 

 

또한, 나한테 감사해하는 피상담자들을 잊어버리며 그들의 얘기에 흥미를 잃곤 했던 모습이 지나친다. 공감없이 기계적으로 대했다. 후회한다. 아직은 돈벌이를 위해 나를 소모시키고 싶지는 않다. 

 

삶의 방향을 돌아보게 한 쪽지의 주인에게 감사한다. 변화의 대리인으로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분야에서 오랫동안 일하며 발전 하고픈 의지가 솟는다.  나도 잔잔한 물결에 영향을 받았나 보다. 

 

오늘은 동네 바닷가에 들려야겠다. 편평한 돌을 한두 개 던져볼까. 어릴 때 개울가에서 물수제비(stone skipping)를 하던 게 떠오른다. 

 

오랜만에 어깨 근육이나 풀어봐야지. 돌이 물에 닿을 때 그 파문도 보자고 생각하며 상담실 건물을 나선다. 

 

* 새움터 회원 정인화는 1991년 뉴질랜드에 이민와서 스무 해 가까이 상담과 심리치료 일을 하고 있습니다.

 

*새움터는 정신 건강의  건전한 이해를 위한 홍보와 교육을 하는 단체입니다.

 

481a48950ac9d99a32017ac0671d5d89_1510006604_0107.jpg 

 

Now

현재 잔물결 효과, 고맙다

댓글 0 | 조회 1,711 | 2017.11.07
♥ 정인화의 민낯 보이기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일했다. 편해서 좋긴 한데 발전이 없다. 내용만 보면 같은 일의 반복이다. 언제 여기를 떠날 수 있을까. 오늘도 공상… 더보기

취직하기 위한 용기

댓글 0 | 조회 1,731 | 2012.06.13
요즈음 취직하기란 정말 어려운 시점에 와 있다고 많은 분들이 얘기도 하고 또 피부로 느낄 수 있지만 그래도 어딘가에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에 일을 찾을 수 있다는… 더보기

컴뮤니티 참여와 정신건강

댓글 0 | 조회 1,760 | 2012.04.24
평균 수명이 점점 늘어나는 요즘, 어떻게 하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 가장 큰 화두인데, 노인의 하루하루를, 삶을 알차게 설계하고 어떻게… 더보기

다 너 잘 되라고 그러는 거야

댓글 0 | 조회 1,773 | 2020.10.14
며칠 전이 추석이었다. 모처럼 캄캄한 밤하늘에 걸린 쟁반같이 둥근 달을 새삼 올려다 보게 되었다. 한국을 떠나 이곳 뉴질랜드에 정착하여 20년 넘게 살다보니 추석… 더보기

당신이 꿈꾸는 노년은....

댓글 0 | 조회 1,778 | 2013.06.11
인간의 오랜 열망이었던 장수의 꿈이 실현되어가고 있다. 자녀양육과 직장에 얽매인 이전까지의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꿈 꿀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장수… 더보기

여보, 축의금을 얼마나 하면 좋을까?

댓글 0 | 조회 1,782 | 2013.03.13
지인으로 부터 청첩장를 받게 되면 축하의 마음과 더불어 한가지 고민이 생깁니다. ‘과연 축의금을 얼마나 하는것이 적절한가’ 입니다. 청첩장을… 더보기

계절적 우울증

댓글 0 | 조회 1,785 | 2012.06.26
(Seasonal Affective Disorder/Winter Depression) 이렇게 매일 비가 오는 것을 보니 이제 겨울이 점점 깊어지고 있는 것 같다.… 더보기

내가 왕년에 말이야

댓글 0 | 조회 1,791 | 2019.12.23
1980년대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라는 곡으로 어느 정도 대중적 사랑을 받았던 가수가 있었다. 흰 눈 사이로 썰매를 타야지만 크리스마스인 줄 알았던 필자에게 … 더보기

노을, 아프다

댓글 0 | 조회 1,799 | 2017.06.14
♥ 정인화의 민낯 보이기우리 집 데크(deck)에서 바라보는 서쪽 하늘은 장관이다. 내가 아는 모든 수식어를 송두리째 훔쳐간다. 난 그 정경에 한없이 왜소해진다.… 더보기

당신 괜찮아요, 우리가 있잖아요

댓글 0 | 조회 1,800 | 2011.09.14
많은 사람들이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의 마음에 상처를 준 기억을 떠 올립니다. 정말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일로 다투었던 나와 주변 사람들... 내가… 더보기

자기 비하

댓글 0 | 조회 1,803 | 2013.08.13
자기 비하로 고통 하는 분들이 있다. 자기 비하가 심하면 자신을 존중하기 어렵고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자신감도 떨어지고 항상 불안해 하며 근… 더보기

나는 어떤 사람인가?

댓글 0 | 조회 1,818 | 2012.02.28
직업상 이런 저런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이젠 제법 연륜이 생겨 처음 보는 사람과도 몇 마디 대화를 나누다 보면 그 사람의 내면이 어떤 상태에 있는… 더보기

노년기의 일과 행복

댓글 0 | 조회 1,818 | 2012.04.11
“우리 집사람 또 일냈어! 집에서 그냥 쉬는 꼴을 못 봐요. 2년전 까페를 정리하면서 이젠 마지막이 될 꺼라고 말했었는데…… … 더보기

나에게 박수를

댓글 0 | 조회 1,824 | 2011.09.28
최근 한 분의 정신 건강 관련 전문의 강연에서 느낀 것들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자기 스스로를 사회로부터 소외 시키는 삶은 여러가지 모양의 질병으로 나… 더보기

치유의 말과 행동, 무엇이 더 중요할까?

댓글 0 | 조회 1,826 | 2018.07.11
오랫동안 상담 일을 해 왔다. 심리 상담이나 치료를 직업으로 한다고 하면 많은 사람이 묻는 게 있다. “어떻게 듣기만 해요?”또는 “무척 힘드시죠?”등이다. 그들… 더보기

당신 곁에 누군가가

댓글 0 | 조회 1,835 | 2012.05.09
2006년 말 유방암 진단을 받고 그 동안 계획했던 사회 복지학 공부를 포기 해야 될 상황이 찾아왔다. 영어가 부족해 날이면 날마다 영어를 가지고 씨름하면서 나름… 더보기

웃음의 미학

댓글 0 | 조회 1,836 | 2012.07.10
어느 팔순 노인이 자신의 인생을 회고해보니… 잠자는데 26년, 일하는데 21년, 밥먹는데 6년, 사람을 기다리는데 6년을 보냈는데, 웃으며 보낸시간은…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1,848 | 2011.12.14
11월에 개봉된 영화 ‘완득이’가 300만 관객 돌파로 화제가 되고 있다. 영화 <완득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던 기존의 흥미 위… 더보기

정신건강 스스로 지킬 수 있다

댓글 0 | 조회 1,850 | 2012.03.28
세계는 이미 고령화시대로 접어들었다. 뉴질랜드 노인의 인구가 12%를 넘었고, 2031년 되면 21%를 넘을 추세이다. 이는 베이비붐 때 태어난 분들이 만 65세… 더보기

뜬금없이 찾아온 나의 정체성 혼돈기

댓글 0 | 조회 1,856 | 2019.06.11
이민 온 누구나가 그렇듯이, 이왕 이민 온 것 잘 살아보려고 열심히 노력하였고, 크고 작은 일들을 겪으며 아이들은 이민생활에 잘 적응해서 학교마치고 직장생활하는 … 더보기

우리 부부는 적군인가 아군인가

댓글 0 | 조회 1,860 | 2013.11.12
한 지붕 아래에서 적군과 대치하는 경험을 해 보지 않은 부부는 없을 것이다. 서로 가까이 있으니 수시로 전쟁을 치룬다. 미워도 그만큼 미운 적군은 세상에 없다. … 더보기

나는 언제나 청춘

댓글 0 | 조회 1,883 | 2011.10.26
삼 세대가 함께 사는 어느 가족이야기가 떠오릅니다. 치매에 걸려 여러 번 값비싼 사기접시를 깨뜨리신 할머니가 못마땅해 어느 날 어머니는 아들에게 시장에 가서 할머… 더보기

내 딸이 양치기가 된다면

댓글 0 | 조회 1,885 | 2017.11.22
“My son is a shepherd in South Island.”귀를 의심했다. 아들의 직업이 ‘양치기’(shepherd)라니. 뉴질랜드에는 사람보다 양이 … 더보기

나도 몰라주는 내 아픔

댓글 0 | 조회 1,906 | 2013.12.11
경미씨는 부쩍 생각이 많아지고 불안하다. 뭔가 잘못되고 있는 것 같아서 더욱 많은 생각을 해보지만 불안 초조가 심해질 뿐이다. 남편에게 자신의 불안한 생각을 말해… 더보기

내겐 너무 소중한 당신

댓글 0 | 조회 1,912 | 2011.10.12
여러분은 전등불도, 달빛도 없는 깜깜한 밤 시골 길을 걸어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얼마 전 일간지에 실린 한 일본인의 긍정의 시각을 빌려, 어려움 속에서 희망과 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