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 있게 사는 사람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멋 있게 사는 사람들

0 개 1,157 명사칼럼

요즘 팬데믹으로 불편하고 때로는 위축되어 지내다 보니 바쁜 가운데서도 멋 있게 살고 있는 사람들이 생각난다. 마음과 영혼에 신선한 멋을 공급하며 삶을 즐겁게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세상이 아무리 바쁘고 시끄러워도 주어진 생업에 충실하면서 삶의 가치를 지켜 나가는 사람들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을 수리할 일이 있어 플라스터링 하는 사람을 불러 공사를 한 적이 있었다. 혼자 일 하는 것이 따분한 듯하여 나는 일은 못 돕지만 그에게 말 동무가 되어주었다. 일이 방해가 되지 않는 정도에서 이런 저런 살아가는 얘기를 주고 받았다. 어느 날, 이 사람이 일 하다 말고 일 하던 도구를 황급히 거두며 자리를 뜰 채비를 하고 있기에 조금은 의아해서 원인을 묻자 “오늘 저녁에는 우리 밴드에서 연주회가 있는데 가서 섹소폰 연주해야 한다”며 총총히 자리를 떴다. 그래서 그런지 잘 다듬어진 뒷 꽁지머리가 신선해 보였다. 흙손으로 하는 생업에 충실하면서도 음악에서 삶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그가 다시 보였다.


우리 집 잔디도 깎고 마당 구석 구석을 손보아 주던 아저씨 한 사람이 있었다. 여름에 찌는 더위에도 영락없이 문을 따고 들어와 마당의 잔디를 말끔히 밀어 놓고는 입구의 편지통에 수고비 청구서를 넣어 놓고 가고는 했다. 팔뚝에 문신이 있어도 딱 어울릴 얼굴과 작업복 차림새를 하고 조금은 거친 말 투였지만 그에게는 잘 어울렸다. 옆에서 몇 마디 건네면 잠시 숨도 돌릴 겸 돌리던 잔디깍이를 잠시 멈추고 서서 구수한 대꾸도 해줘 재미 있었다. 어느 날 잔디 깎는 일을 이제 그만두겠다고 하여 섭섭함을 담아 고맙다고 인사말을 건넸다. 그 후 어느 날… 편지 통 안에 그 아저씨가 넣은 봉투가 있었다. 수고비 청구서(*수고비는 이미 지불했음) 인줄만 알고 조금은 이상한 마음으로 봉투를 열었는데 놀랍게도 본인이 지은 시 몇 편이 쓰인 프린트물이었다. 기계 소리와 몸에 튀는 풀 찌꺼기와 땀 가운데에서도 영혼의 시를 건지고 있었다. 이 멋 있는 아저씨를 이후에 만난적은 없었다. 어느 날 한 카페에서 어떤 여인과 앉아 있는 아저씨를 보기는 했으나… 가끔 생각나는 멋 있는 키위이다.


22c93c0cb9b2a2a1da7814ea67407b78_1640036274_8351.png
 

한 사회 클럽 모임에서 만나 가깝게 지내던 한 할아버지가 있었다. 몸은 연로했으나 마음은 따뜻하고 농담도 잘 해 가까이했다. 목이 마르면 물도 가져다 드렸고 걸을 때면 부축도 해 드렸다. 한창 시절 젊을 때 제빵사업이 잘 되어 늙마에도 넉넉히 지내어 푸근한 멋이 풍겼다. 사랑하는 첫 번째 부인을 먼저 보내고 두번째 분과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여느 때처럼 같이 앉아 모임 순서에 참석하고 있었는데 이 할아버지가 옆에 앉아 있는 필자의 손에 손바닥 만한, 작고도 얄팍한 책자를 쥐어 주었다. 별 말은 없었으나 웃음이 그 얼굴에 꽉 찼다. 책 표지에는 “리플렉션(Reflections)”라는 제목이 달려 있었다. 본인의 친필 서명도 있었다. 집에 와서 열어 보니 먼저 보낸 아내를 그리워하며 마련한 24 페이지의“시와 영혼의 속삭임”이라고나 할 내용들이었다. 성경(구약)과 몇 영시 등에서 애송하는 부분을 골라 담아 작은 책으로 만든 것이었다. 그 중, “Elegy Written in a Country Churchyard”는 필자에게도 감명을 주고 있는데 이는 토마스 그레이(1716-1761)가 영어로 쓴 시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명시로 알려져 있다. 원제(原題)를 소개했으니 많이 읽어 보시기를 권하고 싶다. 이 멋있는 할아버지가 자신의 90세 잔치를 한다고 오클랜드 시내의 한 호텔을 잡아 놓고 함께 살아온 각계 친구들을 위해 마음의 잔치를 베풀며 행복해하던 모습이 지금도 그립다. 


아무리 바쁘고 급한 세상이라도 자신을 돌아보며 이 다음을 준비하는 삶이 아름답고 가치를 남긴다. 팬테믹으로 사회 질서가 변화하며 새로운 틀이 짜여지고 있는 가운데에도 우리 본래의 모습은 지켜져야 할 것이다.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마스크, 백신 패스…등 서툴고 낯 선 새로운 말들이 이제 우리의 일상속에 들어와 있다. 미래속에 어떠한 일들이 펼쳐질지 모르지만 그래도 우리 모두는 나름대로 자신의 가치를 높이며 즐겁게 살아 가야 할 것이다.


이제 곧 2021년을 보내고 비젼과 희망이 넘치는 새해, 2022년 임인(壬寅)년을 맞는다. 호랑이 해이다. 우리 민족에게 호랑이는 전설과 얘기로 오히려 친한 동물이다. 호랑이는 다른 짐승과 달라 영물(靈物)이며 지혜와 은혜를 갚을 줄 아는 동물로 알려지고 있다. 


새 해에는 모든 노력이 하나로 뭉쳐 팬데믹도 완전히 잡는 한 해가 되기를 교민 여러분과 함께 기원합니다.“새 해에 복 많이 받으십시오.”“新年大吉 ! 萬事大通 !”


■ 유 승재

(한민족한글학교 BOT의장) 


22c93c0cb9b2a2a1da7814ea67407b78_1640036162_8267.jpg
 

러시아: 침략과 후진성

댓글 0 | 조회 905 | 2022.04.13
‘침략’의 의도들은 시대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가장 단순하고, 분석하기 쉬운 것은 ‘자원 확보’나 ‘전략적 요충지’ 확보형 침략들입니다. 예컨대 미국의… 더보기

누가 감히 우크라이나를 조롱하는가

댓글 0 | 조회 1,614 | 2022.03.23
“여기저기서 기관총을 조준사격하고 있었다. 거리에 쓰러진 시민을 구하기 위해 얇은 양철 방패에 의지해 이동하던 시민군에 또 사격이 가해졌다. 임시로 설치된 야전병… 더보기

나를 만든 한 권의 책 <<문학과 미술 사이>>

댓글 0 | 조회 890 | 2022.03.09
대학과 학문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품으며, 1982년 봄 대학신입생이 되었다. 그러나 그 환상이 사라지는 시간은 입학과 동시에 다가왔다. 졸업정원제로 인한 고등학… 더보기

한글학교 - 미래의 자산

댓글 0 | 조회 1,258 | 2022.02.23
5천여 년이란 길고 긴 역사의 물결과 함께 한 중국사람들......부드럽고 은근한 면이 있는가 하면 또 생각이 깊고 앞을 멀리 내다본다. 그러나 그 바탕에는 늘 … 더보기

SNS 시대, 개인 내면의 소멸?

댓글 0 | 조회 1,084 | 2022.02.10
저는 아무래도 사화관이나 정치관은 (자본주의에 좀 회의적인 만큼) ‘진보적’인지 몰라도 생활적으로 대단히 보수적인 것 같습니다. 전자 기계들을 다룰 때마다 대단한… 더보기

이대남의 생각

댓글 0 | 조회 936 | 2022.01.26
■ 오 길영오늘자 토요판 종이신문에서 이대남(20대 남성)이 생각하는 페미니즘 기획 기사를 읽었다.(기사는 댓글) 시의성 있는 기획이다. 토요판이 알차진 느낌이다… 더보기

백석, 우리 시대 시인들의 시인

댓글 0 | 조회 1,057 | 2022.01.11
■ 백 승종백석은 자신이 태어난 마을의 자연과 인간을 소재로 시를 썼습니다. 마을에 전하는 민속 또는 민간신앙 등을 고향의 구수한 사투리 즉, 토착어(土着語)를 … 더보기
Now

현재 멋 있게 사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1,158 | 2021.12.21
요즘 팬데믹으로 불편하고 때로는 위축되어 지내다 보니 바쁜 가운데서도 멋 있게 살고 있는 사람들이 생각난다. 마음과 영혼에 신선한 멋을 공급하며 삶을 즐겁게 살아… 더보기

<오징어게임>의 함의

댓글 0 | 조회 926 | 2021.12.07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은 <기생충>에 뒤이어 세계에다 “한국형 신자유주의”를 그 근거 자료로 삼는 또 하나의 화두를 던졌습니다. 물론 이 … 더보기

아빠, 내 이름은 무슨 뜻이야?

댓글 0 | 조회 1,482 | 2021.11.23
최근에 한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 중 특히 나이 어린 학생들이 많이 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이민 2세가 태어나 자라고 있어 자랑스럽고 이들을 위한 우리 말과 글의… 더보기

내가 그 때에 왜 행복했는가?

댓글 0 | 조회 916 | 2021.11.10
그제 10살이 된 딸내미와 같이 텔레비전을 보다가 과거 이야기를 좀 나누었습니다. 지금 수십 개의 티비 채널 중에 하나를 골라 볼 수 있는 딸내미는, 아빠가 어렸… 더보기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력은 ‘공감력’에서 출발

댓글 0 | 조회 1,065 | 2021.10.28
늦은 시간 술에 취한 남자가 택시를 잡으려고 비틀비틀 차도 깊숙이 들어갑니다. 씽씽 달리는 차들은 헤드라이트를 켜고 경적을 울려대며 지나갑니다.‘저러다 큰일 나는… 더보기

내 손가락 끝에 모든 것이

댓글 0 | 조회 1,254 | 2021.10.13
언젠가 한 Rotary Club 모임에서 Kiwi참석자와 교민 회원들 간에 젓가락으로 콩을 집어 옆 그릇으로 옮겨 담는 내기를 한 적이 있었다. 웃자고 했었으나 … 더보기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댓글 0 | 조회 1,957 | 2021.08.25
■ 김 무인1차 백신 주사를 며칠 전에 맞았는데 이게 생각보다 후유증이 있다. 콧물에 몸살 증세도 수반되어 sick leave를 내고 집에서 쉬고 있다. 쉬면서 … 더보기

일본문학과 일본 친구를 좋아하는 한 비평가의 생각...

댓글 0 | 조회 1,010 | 2021.08.10
아마도 나는 누구보다도 일본의 친구들과 일본문학과 문화, 일본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있는 편이라고 기꺼이 말하고 싶다. 실제가 그렇기도 하다..일본여행과 일본음식…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4)

댓글 0 | 조회 1,214 | 2021.07.27
다양성은 어디에?이번 역사교육 커리큘럼 초안에 대한 Royal Society of New Zealand의 전문가 어드바이스 패널 중에 유일하게 아시안으로 참가한 …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3)

댓글 0 | 조회 1,640 | 2021.07.14
이번의 역사적인 결정이 있기까지2022년부터 초중고에서 뉴질랜드 역사교육을 의무화하는 정부의 결정은 2019년에 발표되었는데 이는 2017년 노동당의 선거 공약에…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2)

댓글 0 | 조회 1,197 | 2021.06.23
■ 김 무인자국 역사교육의 긍정적 효과와 기대위 같은 우려 상황이 분명 있지만, 자국의 과거에 대한 ‘솔직한’ 교육은 이런 우려를 거뜬히 뛰어넘는 긍정적 효과가 …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1)

댓글 0 | 조회 1,537 | 2021.06.10
머리말최근 지인으로부터 초중고교 뉴질랜드 역사교육 의무화에 대한 설명회가 있으니 관심 있으면 참가하라는 연락을 받았다. 선약이 있어 참가는 못했지만, 과연 무슨 … 더보기

어휘력의 한계가 내가 아는 세상의 한계

댓글 0 | 조회 1,114 | 2021.05.26
2007년 10월 3일 평양 외곽 백화원초대소에 있었습니다. 제 2차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북한에 온 노무현 대통령이 이곳에 묵고 있었지요. 나는 평양 방문 첫째 … 더보기

노만남매를 파키스탄으로 돌려보내야만 했을까?

댓글 0 | 조회 3,076 | 2021.05.11
■ 김 무인머리말이 블로그의 주 탐사 주제는 ‘ethnic relations’와 ‘사회주의적 가치의 재발견/부활’ 이다. 그런 관점에서 한국에서 현재 진행 중인 … 더보기

무위당 장일순, 물질 만능의 세태를 질타하다

댓글 0 | 조회 1,013 | 2021.04.29
장일순(1928~1994)은 평생 단 한 권의 저술도 남기지 않았다. 언어도단(言語道斷) 곧, 말로는 진리를 표현할 수 없다고 확신했기 때문이다.그는 동서양의 종… 더보기

도강 만세

댓글 0 | 조회 1,071 | 2021.04.14
1960년대인 대학시절에 필자는 경영학과로 진학했었다. 법학과나 상학과는 주위에 전공자가 너무 많았다. 인문계통이면서도 조금은 새롭고 특성이 있는 방향으로의 진학… 더보기

기대하던 영화 ‘미나리’를 봤다

댓글 0 | 조회 1,686 | 2021.03.23
■ 오 길영 충남대학교 교수, 문학평론가기대하던 영화 ‘미나리’를 봤다. 단상을 적는다.- 먼저 간단한 줄거리.“낯선 미국에서 병아리를 감별하며 생계를 이어가던 … 더보기

상처받은 시인의 아름다움

댓글 0 | 조회 1,038 | 2021.03.09
지금으로부터 34년 전인 1987년 봄 27세의 청년 시인이 장편 서사시‘한라산’을 한 잡지에 발표했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반공주의와 역사적 무지를 강타한 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