홇배 이셔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홇배 이셔도

0 개 3,063 이동온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저 홇배 이셔도 
마참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홇 하니라
내 이랄 윙하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 여듧자랄 맹가노니 
사람마다 해여 수비니겨 날로 쑤메 뼌한키 하고져 할 따라미니라”
 
독자 분들 중, 위의 구절을 읽고 이해하시는 분은 몇 분이나 될까?  위는 훈민정음의 서문이다.  막상 읽으려니 어떻게 읽어야 할지도 모르겠고, 무슨 의미인지도 감이 안 온다.  현대 한국어로 변화해보면 아래와 같이 읽을 수 있다고 한다.
 
“나랏말(쓰임)이 중국과 달라 문자로 서로 맞지 아니하여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글자에) 실어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 이를 위하여 가엾이 여겨 새로 스물 여덟 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하여 쉬이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우리가 지금 한글이라 부르는 훈민정음의 문자체계는 다들 알다시피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정립하였는데, 5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금은 쓰이지 않는 아래아와 여린히읗, 된이응을 포함하여 많은 변화를 거쳐왔다.
 
이민 오신지 오래된 교민들 중에는 글을 쓸 때 ‘습니다’를 ‘읍니다’로 적는 분들이 적지 않다. 이는 표준어 맞춤법이 1988년 개정 되었기 때문인데, 1988년 전에 의무교육을 마치신 분들은 아직도 ‘읍니다’를 표준어로 알고 쓰시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  불과 2년 전만 하여도 우리는 중국집으로 자장면을 먹으러 갔지, 짜장면은 찾아볼 수가 없었지만, 2011년 표준어 개정 이후 짜장면과 자장면이 모두 표준어로 인정되었다고 한다.
 
영어는 한글보다 오랜 시간 사용되어 오며, 마찬가지로 많은 변화를 겪어왔는데, 법률 문서를 보면 아직까지 고어가 종종 사용 된다. 
 
셰익스피어 문집에서나 볼법한 ‘witnesseth’, ‘doth’ 등의 고어는 웬만한 deed 형식의 문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deed 형식의 계약서는 먼저 계약을 체결 하기까지의 배경을 설명한 후, 도입부에서 ‘now in consideration of the premises this deed witnesseth as follows’라는 문장을 시작으로 계약 내용을 서술 하게 된다. 이를 현대 영어로 기술하면 ‘in acknowledgement of payment and receipt of the consideration as described in the recital, the parties agree’ 또는 간단하게 ‘the parties agree’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즉, ‘계약 당사자들이 (이렇게) 동의한다’라는 계약 본문의 도입부 역할을 한다.

비슷한 예로, deed 형식의 문서는 서명을 날인 하기 전, 문서의 말미에 ‘in witness whereof these presents have been executed the day and year first hereinbefore written’ 등의 구절로 문서를 끝맺게 되는데,‘in witness whereof’란 구절은 ‘in cujus rei testimonium’라는 라틴어에서 전래한 구절로, 이를 한글로 표현 하면 ‘이상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 문서의 제일 처음에 적힌 날짜에 서명함’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외에도 aforesaid, aforementioned, foregoing, forthwith, herein, hereinafter, hereto, hereby, heretofore, herewith, hitherto, whereas, whereby, wherefore 등 현대 영문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이 법률 문서에는 아직도 흔히 사용된다.
 
몇 해 전, 부동산 매매계약서를 plain English, 즉 법률 용어가 아닌 쉬운 일반 영문체로 작성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부동산 중개인 협회의 지지를 받아, 쉬운 영어로 작성된 매매 계약서가 도입 되었지만, 판례의 부족, 단어와 절차의 불확실성 등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중화되는 데는 실패한 전철이 있다.  법률 용어 역시 언어의 변화에 발 맞추어 조금씩 진화 하겠지만, 아직까지는 현대 영어와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한 부분에 아쉬울 따름이다.
 

Pro Forma Invoicing - 광고 사기

댓글 0 | 조회 3,171 | 2014.08.26
“Share Moments. Share Life.” ‘순간을 공유하면 삶을 함께할 수 있습니다’. 잘 알려진 한 기업의 광고 문구이다. 어느 기업일까? 페이스북,… 더보기

Essential Commercial Terms (필수 상업조항)

댓글 0 | 조회 3,170 | 2009.02.10
임대차 계약의 조항들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것은 변호사가 해야 할 일이지만, 변호사가 건물에 직접 가 보거나 비지니스에 관련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Lease 계… 더보기

Terms of Trade(계약 조건)

댓글 0 | 조회 3,158 | 2014.05.28
대규모의 공급 계약은 공급이 이뤄지기 전에 그에 대한 서면계약서를 먼저 체결한 후에야 공급이 이뤄지게된다. 이에반해 소규모의 비지니스는 소비자에게 직접 소매로 물… 더보기

비지니스 창업과 매매(Ⅰ) - <서문, 연재에 앞서>

댓글 0 | 조회 3,130 | 2010.08.11
2007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세계 경제 불황으로 인해 대다수의 국가들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뉴질랜드 역시 그 여파를 피해갈 수가 없었다. 다행히도 정부의 통화 정… 더보기

이별(離別) 그리고 재산분할(財産分割)

댓글 0 | 조회 3,125 | 2010.02.23
부부나 커플이 헤어지는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최근 신문 기사를 보니 경제적인 이유로 이별하는 커플들이 늘었다고 한다. 세계적인 불황이 찾아 옴에 따라 … 더보기

변칙 거래와 채무 탕감의 번복 -No Asset Procedure

댓글 0 | 조회 3,103 | 2014.09.10
몇 해 전 칼럼에서 No Asset Procedure(NAP)라는 제도를 소개 한 적이 있다. 채무가 많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파산을 통해 구제를 … 더보기

사색 (VI) -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

댓글 0 | 조회 3,083 | 2015.03.10
간혹 친구들이나 지인들을 만나 사는 얘기를 하다 보면 곧잘 회사 얘기를 하게 된다. 아무래도 하루 대부분을 보내는 곳이기에 일어나는 일도 많고 할 얘기도 많은 것… 더보기

Family Trust의 개요 (Ⅰ)

댓글 0 | 조회 3,072 | 2009.02.11
회사/법인을 설립할 때 정관이 필요하듯이, 트러스트를 설립할 때도 기본 문서가 필요한데, 이를 Trust Deed라 부른다. 이 문서에 트러스트의 전반적인 내용과… 더보기

[369] Easement - 지역권 (地役權) 이란?

댓글 0 | 조회 3,065 | 2007.11.28
필자는 칼럼을 쓸 때 되도록 영어단어를 한글로 풀어 쓰고자 노력한다. 유년 생활을 뉴질랜드에서 보낸 필자로서는 한글로 풀어 쓰는 것이 더욱 힘들 때도 있다. 법령… 더보기

현재 홇배 이셔도

댓글 0 | 조회 3,064 | 2013.06.12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저 홇배 이셔도 마참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홇 하니라 내 이랄 … 더보기

고래사냥

댓글 0 | 조회 3,047 | 2014.12.10
이번 칼럼의 주제는 좀 거시기 하다. 겨울방학 철이 되면 한국의 비뇨기과에는 포경수술을 위한 상담전화가 쇄도한다고 한다. 포경수술은 넓은 의미에서 할례라고도 불리… 더보기

파업/직장 폐쇄 (Strike and Lockout)

댓글 0 | 조회 3,047 | 2009.10.28
10월 8일부터 14일까지 7일간 오클랜드 버스 운전기사들의 파업이 있었고, 이에 응수하여 고용주인 NZ Bus측의 직장 폐쇄가 있었다. 이에따라 오클랜드 통근자… 더보기

비지니스 설립구조 (上)

댓글 0 | 조회 3,028 | 2010.08.24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떤 사업을 할 것인지 업종을 정해야 한다. 비교적 작은 규모로는 음식점, 모텔, 데어리 등이 있을 것이고, 큰 스케일의 제조업, … 더보기

Footlong, 샴페인, 하이타이

댓글 0 | 조회 3,008 | 2011.02.23
간단히 끼니를 때울때에는 햄버거 등의 패스트푸드를 많이들 애용한다. 맥도널드, 버거킹 같은 햄버거 체인점 외에 서브웨이라 불리는 샌드위치 전문점이 있다. 뉴질랜드… 더보기

Relationship Property Agreement (재산 분할 양해 각서)

댓글 0 | 조회 2,999 | 2010.03.08
지난호에 이어서, 재산 분할 양해 각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겠다. 영어로는 보통 relationship property agreement 라고 하는데, 이미 … 더보기

[368] Residential Tenancy - 렌트를 끝낼때

댓글 0 | 조회 2,956 | 2007.11.13
곧 학교 방학이 시작 된다. 많은 분들이 방학동안 한국에 가실텐데 그 동안 살던 렌트집을 비워 주시고 가실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렌트의 종료에 대해 알아보겠다.… 더보기

90일의 수습기간

댓글 0 | 조회 2,951 | 2009.04.15
2008년 말 고용관계법이 개정 되었다. 개정안이 국회에 상정되고 여러번의 심의를 거치는 동안 정치적으로 뿐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개정안… 더보기

결혼을 앞둔 사람의 유언장

댓글 0 | 조회 2,941 | 2009.12.09
법은 시대의 흐름과 필요, 그리고 당시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국회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통과된 법도, 몇년이 채 지나지 않아 폐지될 수도 있고, 유… 더보기

InterCity와 Nakedbus 회사간의 송사

댓글 0 | 조회 2,935 | 2014.04.24
뉴질랜드 국내에서 장거리 여행을 해보신 분은 InterCity나 Nakedbus라는 회사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이다. 두 회사 모두 뉴질랜드 주요 도시 사이를 … 더보기

미성년자 계약법(Minors' Contracts Act)

댓글 0 | 조회 2,925 | 2009.03.10
Age of Majority Act 1970 (성년법)에 의하면, 뉴질랜드에서의 '성인'은 만 20세 이상인 사람을 뜻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성년'과 '성… 더보기

비지니스 설립구조 (下)

댓글 0 | 조회 2,925 | 2010.09.14
Sole Trader와 파트너쉽 외에도 트러스트(Trust) 형태로 운영하는 비즈니스도 있다. 트러스트를 한글로 번역하면 신탁 또는 위탁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서(Ⅰ)

댓글 0 | 조회 2,910 | 2010.10.28
비지니스 매매 계약을 할 때, 매매당사자들이 직접 꼼꼼히 챙겨야 할 사항들이 있는데, 이 사항들은 매매계약서의 첫 페이지에 요약되어 있다. 각 항목을 위에서부터 … 더보기

은행 구좌에 거금이 입금되었다면

댓글 0 | 조회 2,900 | 2009.05.27
아침에 아무런 생각 없이 은행 잔고를 체크했는데 생각지 못한 거금이 입금 되었다면 어떻게 할까… 은행에 신고를 해야 할까 아니면 조용히 기다려 봐야 할까. 이도저… 더보기

[375] 부동산 매매시의 계약금 (Deposit)

댓글 0 | 조회 2,898 | 2008.02.26
요즘 뉴질랜드 비지니스 업계의 화제거리는 BlueChip 이다. 연일 신문에서 BlueChip에 관한 새로운 기사가 보도되는데, BlueChip은 최근의 뉴질랜드… 더보기

정족수(Quorum)

댓글 0 | 조회 2,867 | 2014.03.11
어떠한 단체던지 회의를 개회하고 의안을 심의하거나 그것을 의결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의 참석자가 필요하다. 이때 필요한 최소 참석자수를 quorum 또는 정족수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