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비즈니스 구입시 유의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96]비즈니스 구입시 유의점

0 개 1,632 코리아타임즈
비즈니스를 사기 전에 다음의 내용을 참고로 하길 바란다.

1. 비즈니스를 사기 전 가장 중요한 것은 회계사에게서 조언을 구하여 이 비즈니스를 살 여유가 있는지 비즈니 스가 얼마나 많은 이윤을 남길 수 있는지 검토해 보는 것이다. 이때 비즈니스의 지난 3년간의 재정자료를 검토 하여 보는게 보통이다. 그리고 나서 비즈니스의 구매가가
합당한지 살펴본다.
2. 비즈니스의 구매가격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내 부시설(Plant, fittings and fixture), 재고(Stock) 그리 고 영업권 Goodwill)이다. 영업권에는 비즈니스의 이름, 평판, 고객 base, 좋은 건물, 좋은 자리, 인터넷 사이트 주소, 현재 가지고 있는 공급자나 배급자와의 계약 등이 포함된다.
3. 계약 전에 건물의 LIM 리포트를 받아 보거나 카운슬 의 town planner나 building compliance officer와 확인을 해 봐서 건물에 허가없이 지어진 부분이 있는지 점검한다. 또한 모든 전기나 수도, 작업장 등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4. 임대 계약서를 잘 살펴본다. 일단 임대계약서에 충분 한 계약기간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고 임대료가 현 시장가 격과 비슷한가 본다. 만약 임대료가 현 시장가격보다 월 등히 높다면 다음 임대료 조정때 더 많이 오를 수 있다.
5. 건물에 수리와 관리 상태를 확인한다. 보통 임대계약 서에 의하면 건물 구조상의 수리는 임대인의 책임이지만 그 외의 건물 안의 수리는 임차인이 하여야 한다. 그러 므로 계약기간 안에 큰 수리를 해야 할 부분이 있는지 점검한다.
6. 임대계약서에 있는 건물 사용 용도를 체크한다. 만약 건물을 개조하거나 사용용도를 바꾸고 싶은 경우 미리 임대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7. Council에 문의를 하여서 그 지역의 zoning을 확인한 다. 당신이 매입하려는 비즈니스가 그 지역에 허가가 되 어 있는지 또한 다른 제한은 없는지 확인한다. 예를들어 가게 운영시간이나 고용인의 수, 주차장 확보 등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8. 만약 술이나 음식을 파는 비즈니스를 한다면 Council에서 그에 따른 허가를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음식을 판다면 건물은 Food Hygiene Regulations 아래 허가 를 받아야 하고 이미 그 장소에 허가가 났다면 그 허가를 매수인 이름으로 넘겨야 하며 매수인 자신도 Council에서 Food Handling Certificate을 따야 한다.
9. 비즈니스 매매 계약서에는 매각자가 매수인과 경쟁이 될 수 있는 유사한 비즈니스를 시작하지 못하게 제한하 는 조항이 있다. 이때 만약 매각자가 회사라면 그 회사 이사들이나 주주들 개인도 이 영업제한 조항에 싸인을 하도록 해야만 그들 개인들이 경쟁이 될 수 있는 비즈니 스를 시작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적당한 기간과 영역 안에서 영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데 만약 너무 긴 기간이나 넓은 영역 안에서 제한한다면 법정이 그 기 간이나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보통 현재 비즈니스를 하는 영역보다 넓은 곳에서 영업제한을 하면 과도하다고 볼 수 있다.
10. 비즈니스를 사기 전에 매각인이 할인쿠폰 등을 손님 에게 발행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약 매각인이 최근에 할인 쿠폰을 대량 배포하였다면 비즈니스를 사고 나서 큰 어 려움이 있을 수 있다.
11.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인터넷 사이트 주소 등을 그대로 쓸 수 있는지를 매각자와 확인한다. 만약 매각자가 1년치 yellow pages 마케팅비를 냈다면 계약서에 특별히 써져 있지 않는 이상 매수인은 그 마케 팅비를 배분하여 낼 필요가 없다.
12. 임대 계약서에 의하면 임차인이 건물 보험을 들어야 하지만 그 외의 보험은 임차인 본인이 가입여부를 결정 하고 들 수 있다. 보통 건물 안의 내부시설이나 재고, 비 즈니스 자체에 보험을 드는 것을 권장한다.
  이 외에도 비즈니스를 살 때 고려해야 할 점이 여러가 지있다. 이 때 일찍부터 변호사와 상의를 하는 것이 최선 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법률상식은 교민들에게 전반적인 법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게재 된 것으로 특정적인 법적 조언이 아니므로 일을 추진하기 전에 변호사와 상의하십시오. 필자는 이 글만 보고 행동해서 생기는 손해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Duthie Whyte Lawyers 김지연 변호사 제공  

[317] 하청업자(Contractor)와 피고용인(employee)

댓글 0 | 조회 1,720 | 2005.09.28
회사들이 개인의 서비스가 필요할 때 고용주와 고용인 사이의 고용계약서를 쓰기 보다는 하청의 형식으로 계약을 맺을 때가 있다. 이런 하청식의 계약에서는 하청업자들은… 더보기

[301] "Personal Property Securities Act 1999"…

댓글 0 | 조회 1,688 | 2005.09.28
지난 호에서는 물건을 사기 전에 그 물건이Personal Property Securities Register(PPSR)에 등록이 되어있는지 확인을 해야 하는 중요… 더보기

[297] 유서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678 | 2005.09.28
사람들은 자신이 죽었을때 남기고 가는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보살펴 지도록 유서를 남길 필요가 있다. 유서에는 재산이 어떻게 나누어 지고, 자 식의 가디언은 누가 … 더보기

[303] Watertight Homes Resolution Services Ac…

댓글 0 | 조회 1,678 | 2005.09.28
누수주택 소유자들을 위한 이 법령은 지난 2002년 11월27일부터 시행되었다. 이 법령에 의해 만 들어진 Watertight Homes Resolution Se… 더보기

[294] 분쟁해결소(Dispute Tribunal)

댓글 0 | 조회 1,641 | 2005.09.28
만약 누군가와 분쟁이 생겼다면 당신과 가장 가까 운 곳에 있는 분쟁해결소에 가는 것이 가장 적당한 해결책 일 수 있다. 이 분쟁 해결소는 법정만큼 형식이 중요하거… 더보기

현재 [296]비즈니스 구입시 유의점

댓글 0 | 조회 1,633 | 2005.09.28
비즈니스를 사기 전에 다음의 내용을 참고로 하길 바란다. 1. 비즈니스를 사기 전 가장 중요한 것은 회계사에게서 조언을 구하여 이 비즈니스를 살 여유가 있는지 비… 더보기

[295] 상표를 만들기 전에

댓글 0 | 조회 1,596 | 2005.09.28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다는 것은 아주 기대되는 일 이다 - 직원 고용과 여러 계약서 사인과 물건 매입 등…, 그 중 가장 흥미로운 일은 아마도 디 자이너들과 함께 … 더보기

[310] Care of Children Act 2004

댓글 0 | 조회 1,591 | 2005.09.28
새 Care of Children Act 2004가 예전의 Guard ianship Act 1968을 대체하여 올해 7월 1일부 터 시행된다.이 법령은 두 가지의… 더보기

[304] Health & Safety in Employment Act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578 | 2005.09.28
Health & Safety in Employment Act 1992는 고용주가 고용인의 안전과 건강에 대해 지켜야 할 의무에 대한 법령이다.이 법령에 따르면 고… 더보기

양광모 변호사의 법률 탐방 1 - 지적재산권

댓글 0 | 조회 1,550 | 2005.09.28
일반적으로 지적 재산권은 일반인들에게는 거리가 먼 이야기로 생각되어 왔다. 특허권은 발명가들에게나 어울리는 이야기였고, 저작권은 작곡가나 작가들에게, 상표권은 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