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응답의 시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질의응답의 시간

0 개 1,492 박건호
CV만 40장째였다. 차가운 웰링턴의 바람만큼이나 핸드폰 수화부에도 스산한 침묵이 스며들고 있었다. 그리고 그 침묵이 내 머릿속을 파고들어 포화상태를 이룰 때쯤, 몇몇 군데에서 연락이 왔다. 그 중 한군데, 조그만 옷 가게의 면접을 보러 어느 카페에 들어갔다.
 
수 십장의 CV가 켜켜이 쌓여있었고, 파란 눈과 하얀 머리의 할아버지가 이방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악수를 청하자, 가볍게 내 손을 잡고 흔들고는 커다란 아이보리색 소파에 마주보고 앉았다.
 
한국에 대해서 묘사해 볼 수 있겠니? 네가 내 가게에 지원한 유일한 아시안이라서 말이야.

몇몇 질문 끝에 굉장히 뜬금없이 그 질문이 나왔고, 나는 극단적인 이념들과 대단히 바쁜 삶들이 횡횡하는 사회(의도는 그랬다)라고 했다.

다음 질문은 상황극이었다. 그가 파란 눈을 똑바로 뜨고 내게 말했다. 내가 딸을 데리고 가게 왔는데, 네가 가게를 보고 있어. 자, 내가 들어간다. 하이 데얼? 나는 두리번거리다 앞 테이블의 빵 봉지를 집어 들고 엉터리 리본을 만들어 머리에 맞붙이고는 이거 좋아! 예쁘지 않아? 라고 퍽 흉하게 말했다. 픽, 하고 사장이 웃었다. 그리고는 “Ok, em.. ok put that down”이라고 말했다. (한국어로는 “자, 됐고요” 쯤 됐을 것이다.) 그리고 몇몇 질문이 지나 갔고, 그가 내게 물었다.
 
“고객에게 왜 친절해야만 하지?”
 
프랑스의 바깔로레아를 방불케 하는 그 질문에 잠깐 당황한 나는, 솔직하게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역시 의도는 이러했다)

저는 판매자가 단순히 판매자의 역할이 아니라, 사람 대 사람, 마음 대 마음으로 다가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설령 손님이 마음에 드는 물건이 없어서 가게 밖으로 나선다 해도, 저의 친절함으로 인해 그 손님이 웃으며 하루를 보낼 수 있다면 저는 만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면접이 끝난 후, 버스를 타고 집으로 가는 길. 내가 옷가게 면접을 본 것인가? 아니면 대기업 심층면접을 본 것인가? 나는 누구인가 여긴 어디인가? 오후 3시에 만나 30분 이상 계속되었었던 면접은 15평 남짓의 옷가게라고 하기엔 내 마음에 너무도 거대한 자국을 남겨놓았다.

심지어 많이도 아니고 FULL TIME 단 한 명을 뽑는 면접이었다.
 
한국에 있을 때, 지인을 통해 상업영화 편집보조를 해 본 경험이 있었다. 처음에 들어갔을 때 이틀간 편집기사(편집감독님) 얼굴도 못 뵈었었다. 그리고 마침내 얼굴을 뵈었을 때, 한 가닥 악수와 두 마디 통성명을 한 후, 그 후 2달간 일적인 대화만을 나누었을 뿐이다. 그 이외 한국에서 다른 일을 할 때엔 빵집, 광고 일 등 모든 면접이 5분 내로 끝나거나 연줄을 통해 들어갔더랬다.
 
존재를 자각하는 일은 곧 책임을 느끼는 일이다. A회사는 30분의 면접을 통해 들어간 직장이고, B는 입사 후 이틀 후에 사장을 만난 회사라고 하자(직원은 두 회사 모두 2-3명 정도다). A와 B 두 개 회사 모두 일에 대한 흥미도와 비전, 급여 등을 동등하다 가정할 때, A 회사와 B회사 중 어느 직장에서 책임감을 느낄지는 자명하다. 책임감은 곧 존재의 자각으로 치환되고 그것은 곧 인생의 즐거움으로 배가될 것이다.
 
난 그 때의 면접을 생각할 때마다 그 때의 시간을 스스로 존중하려 애쓴다. 옷가게의 그 면접이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내 맘 속에 남아있는 이유는, 내 존재의 그림자가 형식적으로나마 뉴질랜드에 처음으로 드리워졌었던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그 시간을 존중하다보면, 어느새 - 흐르는 삶 속에서 다른 방식, 더 나은 방식 등으로 나 자신이 스스로 바꾸어지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그 기억으로 말미암아 비록 지금은 내 손이 비어 있다 해도, 언젠가는 그 손에 어떤 무엇인가를 꼭 쥘 날이 올 것을 스스로 믿게 되는 것이다.
 
그 면접 후 이틀 뒤, 그 옷가게에선 문자가 왔다. “I’m sorry you were unsucessful for the job.”

오이

댓글 0 | 조회 1,716 | 2012.11.28
그는 지금 웰링턴에서 가장 바쁘다는, 조그만 식당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 12평 남짓한 그 식당엔, 17명의 사람들이 있었다. 모두 일본,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더보기

벙어리 장갑

댓글 0 | 조회 1,715 | 2016.05.26
너는 장갑이 싫다고 했다. 장갑이 왜 싫으냐, 물었더니 장갑은 다섯손가락 모두를 만들어야 해서 어렵다고 했다. 그렇다면 장갑이 싫은 것이 아니라 장갑을 만들기가 … 더보기

너의 스위치였다

댓글 0 | 조회 1,674 | 2013.08.14
딸깍. 열리는 암실의 문. 외면하고 싶은 현실은 때때로 순간을 아름답게 포착해내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아름다운 포착은 시간을 초월한 채 머리 한 켠에 걸어지는 … 더보기

반뼘

댓글 0 | 조회 1,631 | 2014.12.09
새벽 6시 30분에 일을 시작했다. 오후 2시쯤 퇴근해서 밥을 먹고 멍 때리다가 친구가 의뢰한 영화음악 작업을 했다. 작업을 했다가 밥을 먹었다가 작업을 했다가 … 더보기

침몰

댓글 0 | 조회 1,623 | 2014.11.12
“도” 음정이 맞지 않는 “도”가 또 한 번 울렸다. 청색 지붕, 처마 밑에 자리한 일곱 개의 검은색 확성기가 하늘 아래 햇살을 반사시키며 나란히 설치되어 있었다… 더보기

江(Ⅰ)

댓글 0 | 조회 1,603 | 2015.01.29
등산이 인생이다, 라는 말을 이해하지 못했었다. 때때로 나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혐오하는 습성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등산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산을 못 … 더보기

오늘

댓글 0 | 조회 1,591 | 2014.06.11
뜻하지 않은 일로 계획이 틀어져버렸다. 뭐랄까, 먹는 것보다 싸는 게 더 힘든 느낌이 든다. 오늘. 예정대로라면, 나는 발매계약을 했어야 했지만, 뮤직비디오 편집… 더보기

풋내기의 솔직한 노래

댓글 0 | 조회 1,577 | 2013.07.09
예전부터 “왜 그렇게 사람이 빡빡해요?”라는 말을 종종 들어왔다. 팍팍하다는 말은 다양한 의미의 관용구로 해석될 수 있으나, 나의 경우에는 … 더보기

자기소개서

댓글 0 | 조회 1,572 | 2013.06.11
본의 아니게 대학원에 입학하려는 사람의 자기소개서를 도와주게 되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대학원이 뭐하는 곳이었는지 헷갈릴 정도로 충격적인 초고를 이메일로 … 더보기

복종과 공격

댓글 0 | 조회 1,530 | 2012.12.24
1998년 6월,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은 빌 클린턴 앞에서 진정한 하의실종을 보여줬다. 당시 르윈스키와의 스캔들을 노골적으로 풍자했었던, 이 가학적이면서도 키치… 더보기

배탈

댓글 0 | 조회 1,524 | 2013.02.13
몇 년만에 아픈 건지 모르겠다. 이렇게 심하게 아픈 것은 군대 이후로 처음인 것 같은데, 지금이 조금 더 심한 것 같다. 3일 째 아무 것도 먹지 못하고 계속해서… 더보기

어디에나 있는, 어디에도 없는

댓글 0 | 조회 1,517 | 2013.01.31
1.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찍은 단편영화: 늦어도 2월까지는 편집 완료! 2. 랭귀지 스쿨에서 한국말 가르치기: 교재 제작! 3. 정착: 워크비자 준비할 것! 4. … 더보기

현재 질의응답의 시간

댓글 0 | 조회 1,493 | 2012.10.24
CV만 40장째였다. 차가운 웰링턴의 바람만큼이나 핸드폰 수화부에도 스산한 침묵이 스며들고 있었다. 그리고 그 침묵이 내 머릿속을 파고들어 포화상태를 이룰 때쯤,… 더보기

지느러미

댓글 0 | 조회 1,473 | 2013.10.22
1. 나는 몇몇 여자들에게 미안함을 안고 살아가야한다. 허세, 조작, 이기가 엉켜서 나 스스로도 통제 못하던 때가 있었다. 나를 연출하는 것은 나의 처세가 되었었… 더보기

음악시간

댓글 0 | 조회 1,470 | 2013.04.24
다음 주까지 각자 음악적인 재주 하나를 가져오면 되는거야. 중학교 시절, 미치광이로 유명했던 음악 선생이 말했다. 교복을 입은 아이들이 어렵다며 불평불만, 투덜투… 더보기

종교

댓글 0 | 조회 1,470 | 2014.07.22
내가 기억하는 한으로, 처음 내가 접했던 종교는 불교였다. 10살 무렵 부모님의 손을 잡고 갔었던 산 속의 어느 조그만 절. 그 절은 정말 깊은 산 구석에 있었는… 더보기

소리

댓글 0 | 조회 1,466 | 2013.03.26
바람결에 흔들리는 투우사의 망토와도 같은, 서걱거리는 심장이 있었다. 영혼의 텍스트들이 두터운 긴장감으로 다다다다닥 머릿속을 훑어내고, 가느다란 담배연기가 시간 … 더보기

江(Ⅲ)

댓글 0 | 조회 1,456 | 2015.02.25
노로 어떻게든 뭍을 박차고 배의 방향을 겨우겨우 돌려, 우리는 다리를 저는 아저씨와 아일랜드 커플에게로 돌아갔다. 그들은 정말 걱정되는 표정으로 우리를 바라보았고… 더보기

생산자와 소비자의 시의성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442 | 2013.05.28
기차에서 피가 났다, 레일에서 피가 굉음을 내며 흐른다. 줄줄줄줄줄줄줄줄 흐른다 Medina의 You and I를 듣는다. I feel like. I’… 더보기

허세

댓글 0 | 조회 1,426 | 2013.05.14
내가 다녔던 대학교에는 커다란 잔디밭이 있었다. 오월의 광장이라고 불리는 곳이었는데, 광장이 가져다주는 어떤 암울한 느낌을 5월이라는 봄 냄새 가득한 단어로서 상… 더보기

Boy A

댓글 0 | 조회 1,422 | 2013.08.28
초록빛 눈이 오는 날이다. 회개하기 위하여 떠나기가 쉽지가 않아 흔들흔들거린다. 너를 떠날 수 있는 날, 그리하여 다시 너를 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소년은 늘 … 더보기

작업기(Ⅳ) 기다림의 결과

댓글 0 | 조회 1,422 | 2015.03.25
기다린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특히 과정을 모르고 기다리는 기다림이 그러하다. 마치 누군가가 미래의 로또번호를 가르쳐주긴 했는데 몇 회 차인지 가르쳐주지 않…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기행 메모

댓글 0 | 조회 1,413 | 2013.01.15
1. 백패커. 나는 1층에 있었고 호주에서 왔다는 한국인은 2층에 있었다. 그는 침대 위에서 무언가를 먹고 있었고, 머리 위에 있는 할로겐 조명을 켠 채 노트북으… 더보기

얼굴

댓글 0 | 조회 1,381 | 2013.04.10
영화 <접속>, <공감>, <8월의 크리스마스> 등등. 수많은 애틋한 만남들과 우연을 가장한 필연과 미필적 대본 속 우연들이 교집… 더보기

한뼘

댓글 0 | 조회 1,377 | 2014.12.24
카페에 도착했다. 도착한 시각 오후 6시. 조금씩 지면을 향해 낙하하는 노을들이 수면 위의 카페를 빛내고 있었다. 폐선을 개조해서 만든 건지. 디자인 컨셉을 그렇…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