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계약자 관련법 개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독립계약자 관련법 개정

0 개 1,387 성태용

작년 칼럼에서 독립계약자와 피고용인에 대해서 다루었을 때에는 뉴질랜드 고용법이 피고용인에게는 많은 보호 장치를 마련해 두고 있지만 독립계약자인 노동자에게는 아무런 보호장치도 마련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보호장치는 최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 휴식시간을 가질 권리, 노조를 통해 단체협약을 체결 할 수 있는 권리, 정당한 절차를 거쳐서 정리해고를 당할 권리 등을 말합니다. 이러한 보호장치가 없는데도 사람들이 피고용인이 아닌 독립계약자가 되는 것을 선택하는 이유는 자신의 삶의 방식에 맞춰 일을 유연하게 선택해서 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개의 회사와 함께 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뉴질랜드 고용법은 독립계약자인지의 여부를 Bryson v Three Foot Six Limited  사건에서 확립된 대법원의 원칙에 따라 네가지 요소 즉 

1) 당사자들의 의도, 

2) 고용주가 통제하는 정도, 

3) 회사와 통합된 정도, 

4) 근본적으로 계약자인지의 여부를 고려해서 판단합니다.

 

하지만 독립계약자와 관련된 법을 악용해 우버 운전기사들과 청소부등의 독립계약자를 착취하는 사례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뉴질랜드 정부는 독립계약자 관련법을 개정하는 것을 검토중입니다.

 

독립계약자 관렵법 개정을 통해 정부가 보호하려고 하는 것은 두가지 종류의 취약한 독립계약자 입니다. 첫번째 종류는 피고용자이지만 독립계약자로 잘못 분류된 사람들 그리고 두번째 종류는 독립계약자와 피고용인 사이의 회색지대에 있는 사람들 입니다. 독립계약자인데도 정해진 시간에 출근을 하거나 회사로부터 밀접한 통제를 받는 경우 등이 독립계약자로 잘못 분류된 사람들에 해당하며 자신의 비즈니스를 운영하지만 수입의 대부분을 하나의 회사에만 의존하고 있어 일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는 경우 등이 회색지대에 해당합니다.

 

이런 취약한 독립계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고려하고 있는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근로감독관의 권한을 강화하고 고용주가 피고용인을 거짓으로 독립계약자로 취급했을 경우 처벌 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경우 근로감독관에게 조사 대상이 진짜 독립계약자인지의 여부를 결정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두번째 방법은 고용관계청을 통해 독립계약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비용을 간소화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독립계약자와 일을 하고 있는 회사가 고용관계청에게 진짜 독립계약자라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방향으로 법이 개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번째 방법은 네가지 요소를 고려해서 독립계약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현재의 방식을 바꾸는 것입니다. 이 경우 다섯번째 요소로 취약 독립계약자인지의 여부가 추가될 수 있으며 특정 직원군이 독립계약자가 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독립계약자의 교섭력 그리고 특정 회사에 대한 수입 의존도 등이 고려대상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네번째 방법은 독립계약자에 대한 보호장치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 경우 독립계약자들도 단체협약을 작성 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거나 독립계약자나 피고용인이 아닌 제3의 형태가 만들어 질 수도 있습니다.

 

독립계약자 관련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는 비즈니스고용혁신부는 독립계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상기 네가지 방법들에 대한 개인 또는 단체의 의견을 2020년 2월 14일까지 수렴하고 있으며 의견 제출 방법과 양식은 아래 링크로 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bie.govt.nz/have-your-say/better-protections-for-contractors 

 

※ 이 칼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률적인 자문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현재 독립계약자 관련법 개정

댓글 0 | 조회 1,388 | 2019.12.20
작년 칼럼에서 독립계약자와 피고용인에 대해서 다루었을 때에는 뉴질랜드 고용법이 피고용인에게는 많은 보호 장치를 마련해 두고 있지만 독립계약자인 노동자에게는 아무런… 더보기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2

댓글 0 | 조회 1,354 | 2022.01.26
피고용인의 비자 만류를 사유로 고용관계를 종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고용법을 위반했을 경우 피고용인의 임금손실에 대한 보상을 하거나 정신적인 피해에 대한 피해 보상… 더보기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346 | 2021.04.28
피고용인의 비자 만료가 다가올 경우 고용주는 고용법의 의무와 이민법의 의무를 모두 준수해야 합니다. 하지만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거하여 피고용인을 대해야 한다는 고… 더보기

임금 인상은 권리인가

댓글 0 | 조회 1,317 | 2021.05.25
최근 뉴질랜드 정부가 추가로 향후 3년간 6만불 이상의 연봉을 받는 공무원들의 연봉을 동결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자 많은 반발이 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더보기

임시 복직명령 (interim reinstatement)

댓글 0 | 조회 1,306 | 2023.05.23
2023년 말부터 경기가 안좋아질것으로 전망되면서 구조조정을 고려하는 회사들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고용법상 고용주가 합법적으로 구조조정을 하기 위… 더보기

피고용인의 정신건강 보호

댓글 0 | 조회 1,306 | 2019.02.26
고용주의 의무는 단순히 안전한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최근 고용관계청이 판결한 교정청과 교정청 직원 간의 JCE v The Chief execu… 더보기

직원성과관리와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환경 제공 의무

댓글 0 | 조회 1,305 | 2018.12.24
사업장의 보건 및 안전법은 합리적으로 실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고용주들이 사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보건과 안정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비슷하… 더보기

국민당 정부 고용법 개정

댓글 0 | 조회 1,297 | 2023.12.23
지난 칼럼에서는 국민당이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큰 고용법 개정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국민당 주도 정부가 출범하면서 많은 변화… 더보기

동종업계 이직제한

댓글 0 | 조회 1,256 | 2024.04.23
고용재판의 절대 다수는 피고용인이 고용주를 고소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가끔씩 고용주가 피고용인을 고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종업계의 이직을 제한하는 동종업계 이… 더보기

사업주의 합리적으로 실현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안전 보장 의무

댓글 0 | 조회 1,251 | 2018.09.26
2015년 제정되어 2016년 발효된 사업장의 보건 및 안전법 2015 제36조는 합리적으로 실현 가능한 범위내에서 사업주들이 사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보…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3)

댓글 0 | 조회 1,250 | 2023.07.26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버(Uber) 그룹의 우버 드라이버들을 독립계약자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피고용인으로 봐야 하는지의 여부가 전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인… 더보기

통과된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078 | 2023.08.22
작년 칼럼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뉴질랜드 정부가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착취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고용법과 이민법 위반에 대한 고용주의 … 더보기

직원이 허리 통증을 호소한다면?

댓글 0 | 조회 1,076 | 2023.01.31
하루 종일 모니터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 21세기 직장인들은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용주는 합리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피고용인들에게 안전한… 더보기

학생의 육아출산 수당 수급

댓글 0 | 조회 1,056 | 2024.01.30
뉴질랜드에서 육아출산 수당 수급 자격은 출산휴가및고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출산휴가및고용법은 피고용인 또는 자영업자가 출산일 전 52주 중 어느 26주 동안 최소… 더보기

고용법 개정 동향

댓글 0 | 조회 1,014 | 2023.03.27
2018년 고용관계법이 크게 개정된 이후 뉴질랜드 정부는 지난 몇 년간 고용 관련 법률을 점진적으로 개정해 왔습니다. 5일에서 10일로 늘어난 병가, 가정폭력의 … 더보기

고용계약서 서명 전 고용주가 해야 하는 4가지

댓글 0 | 조회 991 | 2023.10.25
드물지 않게 고용주가 까다로운 면접을 통해 지원자를 뽑은 뒤의 채용 절차를 소홀히 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용관계법은 지원자를 뽑은 뒤 고용계약서에… 더보기

직원의 번아웃

댓글 0 | 조회 891 | 2024.03.26
번아웃이란 과도한 업무량, 충분하지 않은 보상, 붕괴된 일과 사생활의 균형, 스트레스 등으로 발생하는 육체와 정신의 붕괴 현상을 말합니다. 피고용인이 번아웃에 빠… 더보기

대규모 단체협약

댓글 0 | 조회 806 | 2022.11.22
공정임금계약법 (Fair Pay Agreements Act 2022)올해 3월 발의된 공정임금계약법이 의회를 통과하여 2022년 12월 1일 시행될 예정입니다. …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22 | 4일전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임시직 피고용인으로 고용관계법에 정의되어 있는 개념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에게 보장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