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힌마음, 열린마음(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닫힌마음, 열린마음(Ⅰ)

0 개 1,723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오감(五感)으로 인지(認知)한 것, 인식(認識)한 것(외부세계, 지식과 정보)을 하나도 빠짐없이 마음에 담아 놓고 있습니다.

눈으로 본 것, 귀로 들은 것, 코로 냄새 맡은 것, 혀로 맛 보고 입으로 말한 것, 온 몸의 피부로 접촉하여 느낀 것 일체를 마음에 담습니다. 온 세상 – 우주, 별 - 을 담아 놓고 내가 살아온 온 삶 - 사연, 인연, 살아온 삶의 배경(장소), 추구해온 명예, 부(富), 장래계획 - 을 모두 담아 놓고 현재도 계속 담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눈을 감고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사연, 장소, 인연들을 생각해 보세요). 사람의 몸은 영상과 소리, 맛과 냄새, 촉감, 그리고 느낌과 감정까지 찍어서 담는 고성능 카메라이며 '나'는 전문 사진기사입니다.

이와 같이 외부세계를 경험하는 순간 사진 찍듯이 찍어서 마음에 담는 것은 인간으로서 피할 수가 없습니다. 이렇게 찍어서 마음에 담아 놓고는 그것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그것에 매이고 갇혀서 살고 있습니다. 또 담아 놓은 것만 알지 담아 놓지 않은 것은 모릅니다. 그러니 자기 속에 담아 놓은 것이 옳다 하고 남의 말을 잘 듣지 않습니다. 자기 나름의 기준과 잣대를 가지고 옳다 그르다 이래야 된다 저래야 된다 시비분별하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예외 없이 모두가 자기중심적입니다. 그래서 마음이 근원적으로 닫혀 있습니다. 한편 실물을 찍어서 앨범에 담아 놓은 사진이 가짜이듯 마음에 담아 놓은 것은 모두 허상(가짜)입니다. 사람은 허상을 담고 허상 속에서 허상의 존재로 살고 있습니다.

인간은 나약한 존재입니다. 뼈를 바수고 심줄을 끊는 날카로운 이빨도, 배를 할퀴어 가르고 내장을 찢어 발기는 날카로운 발톱도 없습니다. 추위를 막아 내고 가시나무로부터 살갗을 보호해 주는 털도 없고 날개도, 비늘도 없습니다. 적보다 더 빨리 내달아 도망갈 수도 없고 하늘로 날아오르고 물 속으로 뛰어들어 적을 피할 수도 없습니다. 변화무쌍하여 예측할 수가 없는 대자연 앞에서 인간은 항상 불안하고 무력합니다. 언제 화산이 불을 뿜고 땅이 갈라져 삶을 송두리째 엎어 버릴지 알 수가 없고 느닷없이 삶을 휩쓸어 가는 폭풍과 홍수, 눈사태가 올까 보아 두려움에 떨고 있어야 했습니다.

호시탐탐 목숨을 노리는 굶주린 호랑이가 언제 달려 들지 모르고 독사가 언제 소리 없이 다가와 발가락을 물어뜯을지 불안 속에서 경계하여야 했습니다. 또 부족한 먹거리를 누가 빼앗지나 않을까 내 가족을 헤치지 않을까 서로를 의심하고 경계하며 살아왔습니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남보다 '더 빨리, 더 많이, 더 좋게, 더 잘'하지 않으면 안되었습니다. 남을 누르고 이겨야 했습니다. 그러지 않으면 도태된다는 강박관념 속에서 삽니다. 갈수록 서로 경계하고 의심하고 나보다 나은 남을 의식하며 살게 되었습니다. 속내를 내보이면 나의 것이 모두 남에게 드러나 보이는 것 같아 속내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겉 다르고 속 다르게 삽니다. 이중(二重) 마음 가지고 삽니다. 사회가 복잡다기화 되면서 누구에게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날 지 알 수가 없습니다. 사람 좋다고 믿었다가 낭패 보는 일이 갈수록 많아졌습니다. 마음을 꼭꼭 닫아걸고 의심하고 삽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닐 암스트롱

댓글 0 | 조회 2,651 | 2009.11.24
최초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긴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은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우주 공간에서 보니 지구는 푸른 색을 띤 아름다운 별이었… 더보기

장님 코끼리 만지기

댓글 0 | 조회 4,654 | 2009.11.11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 몸의 한 부분만을 만져 보고는 자기가 만진 부분이 코끼리라고 우기는 이야기가 있다. 꼬리를 만져 본 장님은 코끼리가 '밧줄과 같다'고 하고… 더보기

하늘 뜻, 제 뜻

댓글 0 | 조회 2,684 | 2009.10.27
하늘이 만물만상을 내었다(창조하였다). 만상만물은 하늘 뜻(섭리, 순리)으로 나고 하늘 뜻으로 존재하고 하늘 뜻으로 소멸한다. 일체가 하늘의 뜻이다. 우주에 무수… 더보기

성현들이 출현한 우주의 한 때

댓글 0 | 조회 2,158 | 2009.10.13
우주에는 때가 있다. 물질이 창조된 때가 있었고, 인간이 출현하여 미신과 신화를 만들어 신을 받들던 때가 있었고, 성현이 출현하여 세상과 인간이 완성되는 때를 예… 더보기

성현(聖賢)들이 보여 준 삶

댓글 0 | 조회 2,046 | 2009.09.23
예수님은 가족들이 있는 안락한 집을 떠나 황량하고 메마르며 찌는 듯이 무더운 사막에서 굶주림과 목마름을 견디며 49일간 단식 기도를 하였다. 석가모니도 온갖 부귀… 더보기

사람이 무지(無知)하고 무지(無智)한 이유

댓글 0 | 조회 1,961 | 2009.09.09
사람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자기가 해외 여행하여 가본 미국은 알지만 가보지 못한 아프리카 우간다는 모른다. 영어는 학교에서 배워서…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Ⅱ)

댓글 0 | 조회 1,905 | 2009.08.25
사람이 완전하다면 부족함이 없이 충만해 있을 터인데 사람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부족함 속에 있고 만족을 모른다. 항상 허기(虛氣)져 있다. 그래서 사람은 끊임…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Ⅰ)

댓글 0 | 조회 1,860 | 2009.08.12
사람은 마음과 몸으로 되어 있다. 마음을 일으키면 그것을 몸이 실행한다. 물을 마시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면 손(몸)으로 컵을 찾아 쥐고 물을 따라 마신다. 물을 … 더보기

경전(經典)이 어려운 이유

댓글 0 | 조회 1,816 | 2009.07.28
사람이 보기에 경전은 어렵다. 왜 어려울까?경전에서 말하는 것은 진리이다. 그런데 사람 마음에는 진리가 없다. 진리가 없으니 진리를 보고 들을 수가 없다. 내 마… 더보기

성현(聖賢)들의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383 | 2009.07.15
사람은 태어나서 살면서 경험한 것, 인지한 것 일체를 사진 찍어 마음에 담고 산다. 고향도, 초. 중. 고. 대학 시절, 군대시절, 직장에서의 사연과 배경(장소)… 더보기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것들

댓글 0 | 조회 2,203 | 2009.06.24
옳다고 믿는 것들 – 지식, 정보, 신념. 천동설(天動說)을 받아들이고 있으면 천동설에 매여서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지동설(地動說)이 옳다고 과… 더보기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2,054 | 2009.06.09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 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를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2,325 | 2009.05.27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

불나방

댓글 0 | 조회 2,286 | 2009.05.13
불나방 마을에서 마을 지도자를 뽑기로 하였는데 세 명의 불나방이 후보로 나섰다. 첫 번째 후보는 주택정책을 들고 나왔다. '우리 불나방은 약하기 때문에 다른 곤충… 더보기

유혹(誘惑)

댓글 0 | 조회 2,090 | 2009.04.28
꿀단지가 넘어져 꿀물이 쏟아졌습니다. 꿀 냄새를 맡은 파리가 날아와서 엎질러진 꿀물 위에 앉아 정신 없이 꿀을 핥아 먹기 시작했습니다. 배가 터지게 꿀물을 먹은 … 더보기

산 속의 토끼처럼

댓글 0 | 조회 1,849 | 2009.04.15
토끼가 달려가다가 바위를 만나면 그냥 바위를 피하여 가고자 하는 곳으로 달려간다. '바위가 왜 저기 있을까, 저 바위는 크기가 얼마나 될까, 현무암일까 화강암일까…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Ⅱ)

댓글 0 | 조회 2,101 | 2009.03.25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 구름이 되었다가 빗방울이 되어 땅에 떨어진다. 땅에 떨어진 빗방울이 모여 개울이 되고 개울이 큰 강물 되어 바다를 이룬다. 대지(…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Ⅰ)

댓글 0 | 조회 2,172 | 2009.03.11
세상은 창조주에 의하여 창조된 창조주의 세상이다. 따라서 우주에 존재하는 만상만물 일체는 창조주에 의하여 나누어 졌으며 창조주의 뜻에 의하여(뜻에 맞게) 있고, … 더보기

고양이는 '야옹야옹' 생쥐는 '찍찍'

댓글 0 | 조회 1,998 | 2009.02.24
아름다운 숲 속에 고양이와 생쥐가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어느 화창한 봄날 꾀꼬리가 날아와 우는 것을 보고 고양이와 생쥐는 호랑이 임금님한테 달려갔다. “임금님,… 더보기

알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100 | 2009.02.10
일상 생활에서 용변(用便)을 본 경우는 특별히 기억에 남지 않는다. 그러나 회사에서 일이 끝난 후 집에 돌아오다가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이웃집 담에 실례를 한 경… 더보기

아는 것과 되는 것

댓글 0 | 조회 1,710 | 2009.01.28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쇠약하여 하루하루 생활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느끼게 되자 건강을 위해 무언가 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한 사람은 건강해지기 위해서… 더보기

바람처럼 물처럼

댓글 0 | 조회 1,849 | 2009.01.14
공기도 물도 넘치는 곳에서 모자라는 곳으로 흐른다. 공기가 많은 곳은 기압이 높고(高氣壓) 공기가 모자라는 곳은 기압이 낮다(低氣壓). 공기는 고기압에서 저기압으… 더보기

새해에 크게 복된 삶 사십시오

댓글 0 | 조회 1,731 | 2008.12.23
복은 누가 주는 것도 아니고 누구로부터 받는 것도 아닙니다. 복은 내가 짓는 것입니다. 복은 복을 담을 그릇의 크기만큼 담을 수 있습니다. 작은 그릇은 작은 복 … 더보기

마음과 건강(Ⅳ)

댓글 0 | 조회 1,653 | 2008.12.09
동네 골목길에서 산책을 하다가 목줄이 풀려 갑자기 뛰쳐나온 사나운 개에게 물렸을 때 개한테 물린 상처를 치료하고 광견병 예방처치를 받으면 치료가 끝나지만 그 후에… 더보기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811 | 2008.11.26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몸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다. 삶과 마음은 세포 하나하나에 100% 저장된다. 동물의 체세포 하나만 있으면 똑 같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