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람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북한 사람들

0 개 2,736 NZ코리아포스트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아온 북한 사람들은 헐벗고 굶주리면서도 지상낙원에 살고 있다고 말하던 때가 있었다. 라디오 주파수와 TV채널이 내부 소식만 들을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었고 특수 신분의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해외여행도 할 수 없었다.

외부의 정보가 완전히 차단된 상황에서 바깥 세상은 헐벗고 굶주린 지옥이고 북한은 지상낙원이라고 세뇌되어 있어 그런 줄만 알고 있었다. 바깥 세상 사람들이 ‘바깥 세상은 풍요로운 세상이고 당신들은 헐벗고 굶주리는 생지옥에서 살고 있다’고 일러주어도 들으려 하지 않고 믿지도 않았다. 말해 주어도 듣지 않고 거짓말이라 하였다.

꽤 오래 전에 북한 사람들이 남한에 와서 서울 거리의 차들을 보고 보여주려고 전국의 차를 다 모아놓았다고 하고 남한 서민들의 생활상을 보고도 잘사는 집만 골라서 보여주었거나 연출한 것이라고 하였다.

자기들이 그렇게 해 왔기 때문에 남도 그렇다고 생각한 것이다. 라디오나 TV로 남한 소식을 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니까 이번에는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생활상은 모두 조작된 것이라고 선전하고 그렇게 믿었다.

그러다가 몰래 두만강을 건너 중국을 오가는 사람들이 전해주는 바깥 세상 소식을 듣게 되면서부터 자신들이 생지옥에서 살고 있으며 바깥 세상이 풍요롭다는 것을 알게 된다.

탈출 방법을 알려주고 길을 안내해 주는 전문가가 나타났다. 사전에 예행연습도 하고 탈출에 필요한 장비들을 준비한 후 길잡이를 따라 북한을 탈출해서 풍요로운 바깥세상을 눈으로 보고 나서야 그 동안 생지옥에서 살았음을 실감한다. 탈출을 도와준 사람을 평생의 은인이라고 고맙게 생각한다.

다시 과거의 생활로 되돌아가겠느냐고 하면 죽으면 죽었지 다시는 돌아가지 않겠다 한다. 북한에 있을 때는 생지옥임을 몰랐으나 북한을 ‘벗어나니까’ 북한이 생지옥이었음을 안다.

악한이 칼을 들고 죽이려고 쫓아와서 죽을 힘을 다하여 달아나다가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는 순간 목덜미를 칼에 찔렸다.

그 순간 깜짝 놀라 꿈에서 깨고 보니 죽어라 도망친 ‘나’도, 뒤 쫓아오던 ‘악한’도 없다. 쫓고 쫓기다가 돌부리에 걸려 넘어진 적도 없고 칼에 찔린 적도 없다. 꿈 속에 있을 때는 꿈인 줄 몰랐으나 꿈을 깨고 보니 꿈인 줄 안다.

사람은 태어나서 온 세상과 온 삶(사연, 장소, 인연)을 사진 찍어 마음에 담는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온몸의 촉감으로 느낀 것을 경험하는 순간 사진 찍듯 마음에 찍는다.

이것이 인간이 지어놓은 마음세계인 허상세계이다. 인간이 산다고 하는 것은 허상을 담은 허상의 존재가 허상세계에서 사는 것이다. 허상세계 속에 있어 허상의 존재로 허상세계사는 줄 모르지만 마음을 닦아 허상세계를 벗어나보면 그것을 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07] 학생비자 소지자 취업기회 넓어진다

댓글 0 | 조회 1,822 | 2005.09.28
****************** 7월 4일부터 시행 ****************** 이미 예고되었던 학생비자/퍼밋 소지자의 취업기회 확대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 더보기

[306] 2005년 4월 뉴질랜드 이민 주변 상황들

댓글 0 | 조회 2,491 | 2005.09.28
***** 건강진단 관련 규정 요약 ***** 지난 3월 17일 이민부에서는 4월 4일부터 발효되기로 한 새로운 건강진단 관련 기준 및 양식의 시행일자를 올해 하… 더보기

[305] Catch me if you Can!

댓글 0 | 조회 2,144 | 2005.09.28
**************************** 키위들이여 집으로 돌아오라 **************************** 지난 3월 7일자 뉴질랜드 헤럴… 더보기

[304] 잡오퍼(Job Offer)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503 | 2005.09.28
93년에 처음 뉴질랜드에 도착했을 때 키위 아주머니집에서 홈스테이를 몇 달 한 적이 있었다. 서투른 영어로 대화를 하던 중 직업 이야기가 나와서 일을 찾을 계획이… 더보기

[303] 웍퍼밋 연장 및 기술이민학력인정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197 | 2005.09.28
************* 웍퍼밋 연장 ************* 최근의 뉴질랜드 이민카테고리의 전 부분에 걸친 영어시험제도 시행으로 인해 한국으로부터 이민을 희망하… 더보기

[302] 이민컨설턴트 면허제도가 시행된다는데

댓글 0 | 조회 1,792 | 2005.09.28
작년부터 거론되기 시작한 이민 컨설팅업무를 하는 사람들에 대한 면허제도에 대한 법안이 올해 5월 의회에 상정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이민수속대행과 관련하여 발생하… 더보기

[301] 장사비자에서 기업이민 신청시 짚고 넘어갈 것들

댓글 0 | 조회 2,088 | 2005.09.28
2002년 11월 19일 이민정책의 변환(영어시험의 부과 및 엄격한 기준 적용)으로 한국인에게는 거의 장사 비자 폐쇄의 효과를 가져오기 전까지 장사비자를 받 은 … 더보기

[300] 새로운 시민권 신청 법안 시행되나?

댓글 0 | 조회 2,279 | 2005.09.28
******************************** 시민권 신청 규정 새해부터 바뀌나? ******************************** 지난 해… 더보기

[299] 이민, 2004년을 돌아본다

댓글 0 | 조회 2,195 | 2005.09.28
***************** 호주로 가는 교민 ***************** 뉴질랜드 이민 10년차 되는 한 교민이 다음주 호주로 이민을 간다고해서 송별모임… 더보기

[298] 뉴질랜드 이민관련 건강진단 기준 바뀐다

댓글 0 | 조회 1,872 | 2005.09.28
++++++++++++++++++++++++++++++++++++++++++++++++++++++++++++++++++++++++++++++++++++++++++… 더보기

[297] 웍비자 고용주 사전승인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526 | 2005.09.28
---------------- 봄은 오는가 ---------------- 최근 들어 부쩍 뉴질랜드 이민 정책 완화에 대해 여러 얘기들이 오고 간다. 개중에는 개인… 더보기

[296] 기술인력이민 보완, 변경된다

댓글 0 | 조회 2,236 | 2005.09.28
******************************* 기술인력이민 보완조치 시행된다 ******************************* 지난 10월 29… 더보기

[295] 웍비자(Work Visa)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709 | 2005.09.28
======================= 웍비자 관련 개념 구분 ======================= 흔히들 말하는 웍비자(Work Visa)는 취업비자라… 더보기

[294] 재입국(Returning Resident's Visa)비자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718 | 2005.09.28
============================== 간단한 그러나 무척 중요한 비자 ============================== 뉴질랜드에 존재하는… 더보기

[293] 이민동향 (2004년 9월 현재)

댓글 0 | 조회 2,314 | 2005.09.28
■ 기술인력이민 : Skilled Migrant Category <커트라인 100점의 의미> 의향서(EOI : Expression Of Interest… 더보기

[292] Do we need more immigrants?(Ⅲ)

댓글 0 | 조회 2,047 | 2005.09.28
비즈니스 카테고리를 열라 2000년 이후 남발한다 싶어 2002년 11월 황급히 폐 쇄한 구 장사비자의 경우도 그렇게 수도꼭지 잠그듯이 닫을 일이 절대 아니라고 … 더보기

[291] Do we need more immigrants?(Ⅱ)

댓글 0 | 조회 2,181 | 2005.09.28
영어시험 너무 높다? 지난 7월 헬렌클락 총리 초청간담회 이후 몇 지인들 과 함께 그 날 모임에 대해 얘기할 기회를 가졌다. 그 날 참석하지 못한 필자로서는 참석… 더보기

[290] Do we need more immigrants?

댓글 0 | 조회 1,976 | 2005.09.28
몇 주 전에 TV 1에서 이민을 주제로 여러 패널들과 함께 ‘Do we need more immigrant s?’라는 제목으로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였고 동 시간대… 더보기

두 성현(聖賢) 이야기 - Ⅰ

댓글 0 | 조회 2,645 | 2011.03.23
지금으로부터 이천 오백여 년을 전후하여 동양과 서양에 성현이 나타났다. 동양에는 석가모니, 서양에는 예수가 바로 그 성현들이다. 두 성현이 오백여 년의 시차를 두…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480 | 2011.03.09
성현들이 보여준 삶은 무소유의 삶이다. 예수님도 석가모니도 가족과 집을 다 떠났다. 걸친 옷과 신고 있는 신발, 고달픈 여행길에 지친 몸을 지탱해 줄 지팡이가 전…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Ⅰ

댓글 0 | 조회 2,424 | 2011.02.23
사람은 물질인 몸과 정신작용을 하는 마음으로 되어있다. 우리 언어습관에도 ‘요즘 몸은 편한데 마음이 고달프다’라는 말이나 ‘일이 많아서 몸은 고달파도 마음은 편해… 더보기

소유(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600 | 2011.02.08
과거지사 사연과 인연도 마찬가지다. 찢어지게 가난한 사람이 오로지 가난을 벗어나겠다는 일념으로 필사적으로 온갖 노력을 하면서 살았다. 세월이 흘러 가난으로부터는 … 더보기

소유(所有) - I

댓글 0 | 조회 2,671 | 2011.01.25
소유하느냐 소유하지 않느냐의 기준은 마음이다. 실제로 가지지 않았지만 가지고자 하는 마음이 있어 가지고자 하는 것에 마음이 머물고 있으면 소유하는 것이다. 그러나… 더보기

여백(餘白) - II

댓글 0 | 조회 2,387 | 2011.01.14
해는 저물어 가는데 천길 만길 낭떠러지가 가로놓여 있어서 건너편에 펼쳐진 선경(仙境)을 눈앞에 두고도 가지 못하는 안타까운 마음에 망연자실(茫然自失)하여 그 자리…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Ⅲ)

댓글 0 | 조회 2,716 | 2010.12.22
가지미와 바라미의 어머니는 행여나 가지미와 바라미가 동네 사람들로부터 ‘그러면 그렇지, 역시 아비 없는 자식이라 별수없구먼’ 하는 말을 듣지 않도록 아이들을 반듯…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