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 British & Irish Lions 그리고 Barmy Army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13] British & Irish Lions 그리고 Barmy Army

0 개 1,773 코리아타임즈
---------------------
  British & Irish Lions
---------------------
  장장 6주간에 걸친 British & Irish Lions의 뉴질랜드 럭비투어가 종료된지 어느덧 2, 3주가 흘렀다. 럭비라는 스포츠를 필자와 같이 뉴질랜드에 와서나 알게 된 많은 분들에게는 이 British & Irish Lions라는 개념자체가 아예 없을 것 같아 간단히 이에 대해 먼저 소개하고 넘 어가고자 한다.

  British & Irish Lions는 매 4년마다 남반구의 럭비 강국 South Africa, Australia 그리고 New Zealand를 방문하여 그 국가의 지방 럭비팀 및 국가대표팀과 원정 경기를 갖기 위해 영국과 아일랜드 양국에서 최고의 럭비 선수들을 선별한 연합 팀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영국은 England 뿐만 아니라 Wales 그리고 Scotland를 총칭하는 Britain(the United Kingdom)을 말한다.

세계무대에서 정치적으로 영국이라 하면 이 Britain을 한 국가로 인정하지만 축구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다 아시다시피 축구월드컵 예선을 치를 때면 한 국가인 영국에서 England, Scotland와 Wales 세 팀이 마치 별개의 국가대표팀처럼 참가한다. 이는 비록 이 팀들이 정체(政體)로서의 한 국가는 아니지만 축구의 발생국가인 점을 고려하여 특혜를 준 것으로 이해된다. 럭비도 마찬가지기로 럭비 국가대항전에서 이들 세 팀은 마치 각각 다른 국가 대표팀처럼 인정이 된다. 그래서 2003년 호주에서 열린 럭비 월드컵에서도 이들은 각각 참가했었고 이 중 England가 우승을 하기도 했었다.

  그런데 전통적으로 럭비는 뉴질랜드를 위시로 한 남반구 국가의 실력이 북반구 국가 팀들보다 우월하기 때문에 이들 팀들이 개별적으로 남반구 국가에 원정투어를 오게 되면 대부분 신통치 못한 성적을 거두게 마련이다(최근의 England를 제외하고는). 따라서 창안된 것이 이들 세 팀, England, Wales 그리고 Scotland가 Britain이라는 이름으로 연합을 하고 거기에 옆 국가 Ireland까지 포함시켜 소위 대연합 팀을 구성하여 이들 남반구 국가에 원정투어를 하는 British & Irish Lions라는 럭비 연합 원정 팀 개념이다.

  이번 뉴질랜드 투어에서 보여지듯이 이들은 6주 동안 이 곳에서 체류하면서 지방 럭비 팀부터 차례대로 게임을 하기 시작해서 마지막 3주는 뉴질랜드 럭비 국가대표팀 All Blacks와의 3연전을 통해 그 해 원정경기 Series의 승패를 가르는 것이다.

  이 British & Irish Lions는 최초 1888년 결성되어 호주, 뉴질랜드 투어를 시작했다고 하니 그 역사가 벌써 120년 가까이 되는 전통있는 행사임에 틀림없다. 이번 뉴질랜드 투어에서는 제 2의 전성기를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뉴질랜드 All Blacks 팀과의 3차례 Test Match 에서 3:0으로 완패를 했다. 이번 British & Irish Lions의 투어를 통해 뉴질랜드는 단순히 자국 대표팀인 All Blacks가 지난 월드컵의 우승 팀인 England 그리고 북
반구 럭비 국가대표팀 대항전인 Six Nations의 승자인 Wales까지 포함된 이 원정연합 팀을 이겼다는 만족감 외에도 다른 측면에서도 혜택을 누리었다. 그 혜택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Barmy Army이다.

--------------
  Barmy Army
--------------
  Barmy Army는 이 British & Irish Lions의 해외 원정투어를 응원하기 위해 영국에서부터 결성되어 따라온 응원조직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이 British & Irish Lions 팀 자체 못지 않게 주목 받은 것은 이들의 규모와 체류기간 그리고 이들이 6주 동안 뉴질랜드에 체류하면서 뿌리고 가는 돈의 규모 때문이다(물론 이중 상당비중이 맥주 값이지만).
  마지막 원정 경기인 All Blacks와의 오클랜드 경기에서 약 2만 여명의 Barmy Army가 Eden Park 경기장 스탠드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직접 스탠드를 찾은 인원 외에 뉴질랜드를 방문한 Barmy Army 이외의 영국인들까지 고려하면 그 숫자는 4년 전 호주의 원정경 기에 따라온 숫자 3만 여명에 버금갈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최초 경기인 Bay of Plenty와의 로토루아 경기에서부터 시작해서 이 원정 팀의 행로를 따라 인버카길, 더 니든, 크라이스트처치, 웰링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클랜 드에 이르기까지 뉴질랜드 전역을 순회하면서 경기관람은 물론 경기가 없는 날은 자체적으로 투어를 즐기기 때문에 이들이 체류하는 지역의 관광 관련 산업은 단기간이 지만 초호황(특히 Pub)을 누리었다.

  이 Barmy Army 구성원들은 이 뉴질랜드 투어를 위해 지난 몇 년간 저축하면서 일생일대의 꿈의 여행으로 순꼽아 기다렸다고 하니 이들이 잘 준비된 관광객임은 틀림이 없을 것이다.

-----------------------
  Barmy Army를 잡아라
-----------------------
  훌리건의 대명사로 자리잡은 영국 스포츠 팬들이 All Blacks와의 경기에서 패한 뒤 술 취해서 거리에서 난동을 부릴 때 뉴질랜드 경찰로부터 나온 말이 아니다. 바로 뉴질랜드 이민 부에서 나온 말이다.

  이번 Barmy Army는 하루가 멀다 하고 신문지상에서 얘기하듯 이쁜 짓만 골라 하는 아주 모범적인 신사, 숙녀 처럼 지내다 돌아갔다. 기억하기로는 이들이 뉴질랜드에 체류하면서 일으킨 사고는 북섬에서 일어나 자동차 사고 한 건으로 알고 있다. 경기 끝난 후 술 취해서 경찰에 연 행된 사람들은 젊은 키위들이지 이들이 아닌 것이다. 이들의 뉴질랜드 체류 본거지로 삼은 오클랜드 America cup village 근처의 주민들도 처음에는 이들이 훌리건일 것 같아 반대를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우에 지나지 않음을 알자 더 이상 불평을 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다 보니 뉴질랜드 정부 입장에서는 이들이 더 이상 좋을 수 없는 해외 관광객이자 잠재 이민자로서 각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뉴질랜드 문화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선조 영국 및 아일랜드 후손들이 6주 동안 체류하면서 이구동성으로 뉴질랜드 아름답고 사람들 친절해서 꼭 다시 오고 싶다고 하니 필요 인력이 부족한 뉴질랜드로서는 어떻게든지 이들을 다시 뉴질랜드로 오게 만들고 싶은 생각이 굴뚝 같을 것이다.

  실제로 이들을 상대로 뉴질랜드 취업을 알선해주는 업체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하니 이들의 실제회귀율이 얼마가 될지 모르나 현행 뉴질랜드 이민의 백색화 (Whitening) 현상에 더욱 일조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아시안 이민 개방의 가능성은 어디에
-----------------------------------
  이러다 보니 평소 국익과 무관하게 이민을 반대하는 정서를 가진 뉴질랜드 국민들조차 지난 6주 동안 Barmy Army가 보여준 행동을 보면서 이들이라면 이민을 받아 들여도 좋다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듯하며 정부 역시 이런 정서를 배경으로 이민의 백색화(Whitening)에 탄력을 얻을 것처럼 느껴진다.

  이런 상황에서 선거를 불과 한, 두 달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노동당을 찍자니 그간 보여준 이민 정책이 괘씸해서 싫고 국민당을 찍자니 자체 과반수가 안되어 천상 Winston Peters의 NZ First당과의 연정이 불가피해 보이니(당수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부인하지만) 이도 저도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2005년 겨울 총선을 맞는 쓸쓸한 뉴질랜드 아시안 커뮤니티가 아닌가 싶다.

[331] 뉴질랜드에 이민 오지 말아야 할 사람들

댓글 0 | 조회 3,179 | 2006.04.24
***** 나와 다른 아이들 ***** 애들과 함께 햄버거 체인점에 갔다. 작은 애가 Combo를 시키는데 주문사항 3, 4가지가 추가된다. Drink는 Rasp… 더보기

[330] ‘(충격)뉴질랜드..현대판 이산가족 이야기..’를 읽고

댓글 0 | 조회 2,304 | 2006.04.10
***** 글쓰기에 앞서 ***** 위 제목은 한국의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실려 이틀 만에 18만 건에 육박하는 조회를 기록한 게시 글의 제목이다. ‘두리아빠'라는… 더보기

[329] 통계로 본 뉴질랜드 한국이민 현황(2006년 3월3일 현재)

댓글 0 | 조회 2,542 | 2006.03.27
2006년 3월 6일자로 작성된 이민부 통계에서 우리 한국 교민들과 관련된 부분들 중 흥미를 가질만한 대목을 소개코자 한다. 이민 통계는 항상 신청건(Applic… 더보기

[328] 뉴질랜드 단기체류(방문, 학생, 취업)퍼밋 연장 혹은 전환시 유의사항들

댓글 0 | 조회 2,423 | 2006.03.14
***** 단기체류(Temporary Entry) ***** 통상적으로 단기체류 비자/퍼밋은 영주권(Residence Permit)과 장기사업비자(Long Ter… 더보기

[327] 뉴질랜드 이민 정책, 그 칼과 국화의 양면성

댓글 0 | 조회 2,352 | 2006.02.27
‘시대의 전환기에 살게 된 사람에게도 선택의 자유가 있습니다. '흐름을 탈 것이냐' '흐름을 거스를 것이냐' '흐름에서 발을 뺄 것이냐’ ----- 시오노 나나미… 더보기

[326] 기업이민 신법 까다롭게 적용된다(Ⅲ)

댓글 0 | 조회 1,762 | 2006.02.15
***** 구법과의 형평성 ***** 지난 호에서 언급했듯이 어떤 경로를 통했든지 기업이민신법을 통해 영주권 신청 심사를 받는 분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불만은 … 더보기

[325] 기업이민 신법 까다롭게 적용된다(Ⅱ)

댓글 0 | 조회 1,772 | 2006.02.01
***** 우리 모두의 문제 ***** 지난 호에 글이 나간 후에 여러 분들이 전화 및 메일을 주시었다. 다들 기업이민 신법에 해당하는 분들로서 개중에는 기업이민… 더보기

[324] 기업이민 신법 까다롭게 적용된다

댓글 0 | 조회 2,111 | 2006.01.16
***** 기업이민 신청자의 2006년 ***** 2005년 하반기가 시작되면서 장기사업비자 소지자의 기업이민 신청 심사인력을 대폭 다른 카테고리로 전환 배치시키… 더보기

[323]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댓글 0 | 조회 2,837 | 2005.12.22
*****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 얼마전 회사를 찾아온 고객이 있었다. 올해 신법하에서 장기사업비자를 받고 최초 주어진 9개월 동안 해야 할 … 더보기

[322] 황우석, 조지 베스트 그리고 한국 네티즌

댓글 0 | 조회 1,531 | 2005.12.12
***** 뉴질랜드 헤럴드의 두 한국인 ***** 최근 뉴질랜드 헤럴드에 기사화된 두 한국인이 있었다. 삼성 이건희 회장의 딸 고 이윤형씨와 서울대 교수 황우석씨… 더보기

[321] 유학과 이민이 만났을 때

댓글 0 | 조회 2,162 | 2005.11.21
***** 유학과 이민이 만났을 때 ***** 영어시험이 취업비자를 제외하고는 전 카테고리에 걸쳐있는 현 뉴질랜드 이민상황에서 신청자가 중. 장기적으로 이 곳 학… 더보기

[320] 뉴질랜드 이민, 유형별 사례

댓글 0 | 조회 2,138 | 2005.11.11
***** BMB 뉴스레터: 11월 3일자 ***** BMB(비즈니스이민사무소)의 최근 뉴스레터 중에 현재 기업이민을 통해 영주권을 신청한 분들에게 해당되는 소식… 더보기

[319] 비자(Visa)와 퍼밋(Permit)을 구분하자

댓글 0 | 조회 1,701 | 2005.11.11
***** 외무장관 윈스톤 피터스(Winston Peters) ***** 신문을 보니 윈스톤 피터스 뉴질랜드 제일당 당수가 이번 노동당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연정에… 더보기

[318] 가족 초청이민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513 | 2005.10.11
**** 새로운 이민부 장관 **** 53살의 현 이민부 장관 Paul Swain이 28살의 두 번 째 아내와의 사이에 낳은 10개월 된 딸과 보다 많은 시간을 … 더보기

[317] 2005년 9월 뉴질랜드 이민동향

댓글 0 | 조회 1,922 | 2005.09.28
***** 당분간 변함없을 뉴질랜드 이민정책 ***** 9.17 총선이 끝났지만 부재자 투표의 개표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과 더불어 과반수 정당 득표를 한 정당이 … 더보기

[316] 총선, 이민 그리고 조지 부시

댓글 0 | 조회 1,691 | 2005.09.28
--------------------------------------- 안개 속, 먼 발치에 있는 각 당 이민정책 --------------------------… 더보기

[315] 삼순이가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려면

댓글 0 | 조회 1,925 | 2005.09.28
------ 삼순이 ------ 가장 큰 걸림돌이 아무래도 영어일 듯싶다. 헨리와의 대화에서 보여지는 삼순이의 영어실력은 IELTS 4.0을 받기도 힘들 것으로 … 더보기

[314] 탈렌트 비자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4,453 | 2005.09.28
***** 탤런트 비자, 과연 마이다스의 손인가? ***** 뉴질랜드 이민에 관심은 많으나 영어장벽으로 인해 또는 적정한 자격(학력)이나 경력의 미비로 인해 고민… 더보기

현재 [313] British & Irish Lions 그리고 Barmy Army

댓글 0 | 조회 1,774 | 2005.09.28
--------------------- British & Irish Lions --------------------- 장장 6주간에 걸친 British & Iri… 더보기

[312] 기업이민심사 느려진다

댓글 0 | 조회 1,924 | 2005.09.28
지난 상반기에 속도를 내는 듯했던 장사비자 소지자의 기업이민을 통한 영주권 신청이 올 하반기 부터 다시 느려질 것으로 보인다. 웰링톤에 위치한 비즈니스이민사무소(… 더보기

[311] 어려운 뉴질랜드 이민, 준비하는 자세로

댓글 0 | 조회 2,406 | 2005.09.28
***** 무관심해져 가는 뉴질랜드 이민정책 ***** 지난 주 6월 17일에 발표된 투자이민 개정안은 몇글자 읽어 가던 중에 흥미를 읽어 버려 마저 읽기를 포기… 더보기

[310] 방문비자에서 웍비자 전환시 유의사항

댓글 0 | 조회 2,094 | 2005.09.28
***** 물 건너간 연내 이민법 개정? ***** 총선을 얼마 앞두지 않은 상황에서 연속되는 악재 속에 최근 National Business Review의 여론… 더보기

[309] 장사비자 연장 신청자의 기업이민 신청

댓글 0 | 조회 2,223 | 2005.09.28
***** 장비연장 신청자의 기업이민 신청 ***** 지난 5월 18일자 비즈니스 이민사무소(BMB)에서 각 에이젼트에게 이메일로 보낸 뉴스레터 형식의 통지문중에… 더보기

[308] 총선에 즈음한 단상

댓글 0 | 조회 1,792 | 2005.09.28
***** 4월 20일 이전 영주권 신청자 구법 적용 ***** 지난 4월 21일 발표된 새로운 시민권 및 여권법이 이미 교민지를 통해 소개되었으나 다소 미흡한 … 더보기

[307] 학생비자 소지자 취업기회 넓어진다

댓글 0 | 조회 1,821 | 2005.09.28
****************** 7월 4일부터 시행 ****************** 이미 예고되었던 학생비자/퍼밋 소지자의 취업기회 확대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