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 학생비자 소지자 취업기회 넓어진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07] 학생비자 소지자 취업기회 넓어진다

0 개 1,825 코리아타임즈
******************
  7월 4일부터 시행
******************

이미 예고되었던 학생비자/퍼밋 소지자의 취업기회 확대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발표가 4월19일 있었다. 구체적인 시행안은 추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며 금번 발표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 기술인력이민(Skilled Migrant Category) 영주권 카테고리에서 학력점수 50점 이상을 취득할 수 있는 코스를 졸업한 유학생의 경우 졸업 후 6개월짜리 open work permit을 취득할 수 있다.
- 파트타임으로 일할 수 있는 대상이 일정 조건이 충족될 경우 Form 6, 7 고등학생 및 영어학원 학생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 조건이 충족되는 학생의 경우 주당 취업가능 시간이 15시간에서 20시간까지로 확대 될 것이다.
- 1년 이상의 코스를 이수할 학생의 경우 여름방학기간에 풀타임으로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절대인력부족 직종에 속하는 코스와 대학원 과정(postgraduate)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의 배우자는 배우자의 학생퍼밋과 동일한 기간에 상응하는 open work permit을 신청할 수 있을 것이다.

**********************
  일단 환영할만한 조치
**********************
  
갈수록 매력(환율 및 영주권 취득기회 등)을 잃어가고 있는 뉴질랜드 유학 산업을 회생시켜야 하는 부담 및 인력부족으로 인해 경제의 역동성을 점차 상실하고 있는 현실이 그 배경이 되어 이번 조치가 나온 것으로 보여진다. 과연 약효가 나타날지 어떨지는 일정시간을 두고 지켜보면 되겠지만 없는 것보다는 낫다는 식으로 교민 유학산업에 일정부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느껴진다.
  
특히 첫 번째, 졸업 후 오픈 웍퍼밋을 신청할 수 있는 점은 나름대로 의미있게 다가올 수 있다고 본다. 대학을 졸업하는 순간 학생비자의 종료와 더불어 영주권 신청은 커녕 당장 체류를 위한 퍼밋의 확보가 급선무로 다가서는 현실을 비추어 볼 때 짧은 6개월이지만 이들 졸업생에게 마음 편히 취업 및 영주권 신청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시간을 준 점은 뉴질랜드 정부와 유학생 모두에게 win- win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신문 지상 등에서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이민자들이 구직시 여지 없다시피 부딪히는 문제인 뉴질랜드에서의 work experience도 이 오픈 웍퍼밋 제도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기를 바란다. 사실 그간 뉴질랜드에서 대학을 졸업했어도 이 뉴질랜드에서의 work experience가 없다고 문전 박대하는 뉴질랜드 고용현실에 대해 대 다수 이민자 및 이민 희망자들은 언제 취업기회를 주었어야지 근무경험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불만을 계속 토로해 왔지만 아직도 계란 먼저 닭 먼저 식의 신경전이 계속 이어져 오고 있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 제도가 잘 활용이 된다면 뉴질랜드 고용주도 이 뉴질랜드 work experience가 없는 아시안 유학생에게 별도의 웍퍼밋을 위한 잡오퍼 서류를 만들어 주는 번거로움이 없이 또 특정 고용계약을 맺어야 하는 리스크 없이 캐쥬얼하게 고용기회를 제공한 후 3, 4개월 동안 근무태도 및 업무능력을 지켜본 후 정식 고용제의 여부를 결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쪼록 이번 조치가 유학산업을 겨냥한 응급처치가 아닌 qualification-to-residence의 큰 흐름을 겨냥한 것이기를 바라며 이런 흐름은 또한 단순히 정책의 변화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국민들의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까지 수반되어야 함을 정부는 인지하여 이력서의 성만을 보고 취업을 위한 인터뷰 기회조차 주지 않는 현재의 뉴질랜드 고용현실의 개선을 기대해본다.

[334] ‘Love in Asia’ 그리고 월드컵 축구!

댓글 0 | 조회 2,192 | 2006.06.13
*****Love in Asia***** 집에서 유료 위성방송을 시청하는 까닭에 한국의 KBS 위성 방송을 같이 볼 수 있다. 집의 어른들을 위한 오락과 아이들의… 더보기

[333] 한국인 기술이민 신청, 기각율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3,013 | 2006.05.22
<기술이민 의향서 접수 현황, 5월 10일> 의향서 신청건수국내해외 합계 140점 이상 30969 378 잡오퍼 있는 경우 30849 357 잡오퍼 없… 더보기

[332] 2006년 5월, 한국인이 뉴질랜드에 이민오려면

댓글 0 | 조회 2,799 | 2006.05.08
*****암중모색(暗中摸索)의 형국***** 2002년 11월 이후 2006년 5월 현재까지 한국에서 뉴질랜드로 이민오려는 희망자들의 영주권 해법 찾기가 4년째 … 더보기

[331] 뉴질랜드에 이민 오지 말아야 할 사람들

댓글 0 | 조회 3,186 | 2006.04.24
***** 나와 다른 아이들 ***** 애들과 함께 햄버거 체인점에 갔다. 작은 애가 Combo를 시키는데 주문사항 3, 4가지가 추가된다. Drink는 Rasp… 더보기

[330] ‘(충격)뉴질랜드..현대판 이산가족 이야기..’를 읽고

댓글 0 | 조회 2,308 | 2006.04.10
***** 글쓰기에 앞서 ***** 위 제목은 한국의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실려 이틀 만에 18만 건에 육박하는 조회를 기록한 게시 글의 제목이다. ‘두리아빠'라는… 더보기

[329] 통계로 본 뉴질랜드 한국이민 현황(2006년 3월3일 현재)

댓글 0 | 조회 2,548 | 2006.03.27
2006년 3월 6일자로 작성된 이민부 통계에서 우리 한국 교민들과 관련된 부분들 중 흥미를 가질만한 대목을 소개코자 한다. 이민 통계는 항상 신청건(Applic… 더보기

[328] 뉴질랜드 단기체류(방문, 학생, 취업)퍼밋 연장 혹은 전환시 유의사항들

댓글 0 | 조회 2,431 | 2006.03.14
***** 단기체류(Temporary Entry) ***** 통상적으로 단기체류 비자/퍼밋은 영주권(Residence Permit)과 장기사업비자(Long Ter… 더보기

[327] 뉴질랜드 이민 정책, 그 칼과 국화의 양면성

댓글 0 | 조회 2,360 | 2006.02.27
‘시대의 전환기에 살게 된 사람에게도 선택의 자유가 있습니다. '흐름을 탈 것이냐' '흐름을 거스를 것이냐' '흐름에서 발을 뺄 것이냐’ ----- 시오노 나나미… 더보기

[326] 기업이민 신법 까다롭게 적용된다(Ⅲ)

댓글 0 | 조회 1,775 | 2006.02.15
***** 구법과의 형평성 ***** 지난 호에서 언급했듯이 어떤 경로를 통했든지 기업이민신법을 통해 영주권 신청 심사를 받는 분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불만은 … 더보기

[325] 기업이민 신법 까다롭게 적용된다(Ⅱ)

댓글 0 | 조회 1,775 | 2006.02.01
***** 우리 모두의 문제 ***** 지난 호에 글이 나간 후에 여러 분들이 전화 및 메일을 주시었다. 다들 기업이민 신법에 해당하는 분들로서 개중에는 기업이민… 더보기

[324] 기업이민 신법 까다롭게 적용된다

댓글 0 | 조회 2,115 | 2006.01.16
***** 기업이민 신청자의 2006년 ***** 2005년 하반기가 시작되면서 장기사업비자 소지자의 기업이민 신청 심사인력을 대폭 다른 카테고리로 전환 배치시키… 더보기

[323]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댓글 0 | 조회 2,846 | 2005.12.22
*****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 얼마전 회사를 찾아온 고객이 있었다. 올해 신법하에서 장기사업비자를 받고 최초 주어진 9개월 동안 해야 할 … 더보기

[322] 황우석, 조지 베스트 그리고 한국 네티즌

댓글 0 | 조회 1,537 | 2005.12.12
***** 뉴질랜드 헤럴드의 두 한국인 ***** 최근 뉴질랜드 헤럴드에 기사화된 두 한국인이 있었다. 삼성 이건희 회장의 딸 고 이윤형씨와 서울대 교수 황우석씨… 더보기

[321] 유학과 이민이 만났을 때

댓글 0 | 조회 2,169 | 2005.11.21
***** 유학과 이민이 만났을 때 ***** 영어시험이 취업비자를 제외하고는 전 카테고리에 걸쳐있는 현 뉴질랜드 이민상황에서 신청자가 중. 장기적으로 이 곳 학… 더보기

[320] 뉴질랜드 이민, 유형별 사례

댓글 0 | 조회 2,143 | 2005.11.11
***** BMB 뉴스레터: 11월 3일자 ***** BMB(비즈니스이민사무소)의 최근 뉴스레터 중에 현재 기업이민을 통해 영주권을 신청한 분들에게 해당되는 소식… 더보기

[319] 비자(Visa)와 퍼밋(Permit)을 구분하자

댓글 0 | 조회 1,709 | 2005.11.11
***** 외무장관 윈스톤 피터스(Winston Peters) ***** 신문을 보니 윈스톤 피터스 뉴질랜드 제일당 당수가 이번 노동당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연정에… 더보기

[318] 가족 초청이민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521 | 2005.10.11
**** 새로운 이민부 장관 **** 53살의 현 이민부 장관 Paul Swain이 28살의 두 번 째 아내와의 사이에 낳은 10개월 된 딸과 보다 많은 시간을 … 더보기

[317] 2005년 9월 뉴질랜드 이민동향

댓글 0 | 조회 1,927 | 2005.09.28
***** 당분간 변함없을 뉴질랜드 이민정책 ***** 9.17 총선이 끝났지만 부재자 투표의 개표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과 더불어 과반수 정당 득표를 한 정당이 … 더보기

[316] 총선, 이민 그리고 조지 부시

댓글 0 | 조회 1,696 | 2005.09.28
--------------------------------------- 안개 속, 먼 발치에 있는 각 당 이민정책 --------------------------… 더보기

[315] 삼순이가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려면

댓글 0 | 조회 1,934 | 2005.09.28
------ 삼순이 ------ 가장 큰 걸림돌이 아무래도 영어일 듯싶다. 헨리와의 대화에서 보여지는 삼순이의 영어실력은 IELTS 4.0을 받기도 힘들 것으로 … 더보기

[314] 탈렌트 비자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4,461 | 2005.09.28
***** 탤런트 비자, 과연 마이다스의 손인가? ***** 뉴질랜드 이민에 관심은 많으나 영어장벽으로 인해 또는 적정한 자격(학력)이나 경력의 미비로 인해 고민… 더보기

[313] British & Irish Lions 그리고 Barmy Army

댓글 0 | 조회 1,780 | 2005.09.28
--------------------- British & Irish Lions --------------------- 장장 6주간에 걸친 British & Iri… 더보기

[312] 기업이민심사 느려진다

댓글 0 | 조회 1,929 | 2005.09.28
지난 상반기에 속도를 내는 듯했던 장사비자 소지자의 기업이민을 통한 영주권 신청이 올 하반기 부터 다시 느려질 것으로 보인다. 웰링톤에 위치한 비즈니스이민사무소(… 더보기

[311] 어려운 뉴질랜드 이민, 준비하는 자세로

댓글 0 | 조회 2,414 | 2005.09.28
***** 무관심해져 가는 뉴질랜드 이민정책 ***** 지난 주 6월 17일에 발표된 투자이민 개정안은 몇글자 읽어 가던 중에 흥미를 읽어 버려 마저 읽기를 포기… 더보기

[310] 방문비자에서 웍비자 전환시 유의사항

댓글 0 | 조회 2,099 | 2005.09.28
***** 물 건너간 연내 이민법 개정? ***** 총선을 얼마 앞두지 않은 상황에서 연속되는 악재 속에 최근 National Business Review의 여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