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9] 한국인 3,40대의 유학 후 이민, 어려워지는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9] 한국인 3,40대의 유학 후 이민, 어려워지는가?

0 개 3,272 KoreaTimes
  <Form time to time의 의미는?>

  2007년 11월 26일부터 발효되는 기술이민을 주로 한 이민법 변경이 발표된 지 2주가 지났는데 직접적 여파를 감당하기에도 아직 바쁜 시기이지만 다시 한 번 변경법을 보면서 앞으로 유학 후 이민 방식이 한국인들에게 어떤 식으로 작용할지 생각해 보았다. 관련업계에 있는 분과의 대화에서도 이 내용이 나왔는데 이번 변경 안 중 한국인 들에게 직격탄에 해당하는 것은 National Certificate Level 4가 아닌 일반 Certificate Level 4과정은 기술이민 신청 시 학력점수 50점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변경 안을 발표하면서 이민부에서는 동시에 학력점수 50점을 인정하지 않는 학력의 리스트는 'form time to time' '삭제' 되거나 '추가' 될 수 있다는 문구를 첨가하였다. Sometimes의 동의적 표현으로 중학교 시절에 배웠음직한 이 표현이 이민법 문구로 첨가되니 새삼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게 되는데 이는 행간의 의미가 무겁다고 생각을 해서인지 모른다. 이번 경우 일반 Certificate Level 4과정을 학력점수 50점 인정 리스트에서 뺐지만 이민부 표현대로 향후 다시 추가할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는 고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측면도 있지만 '추가'라는 단어 앞에 '삭제'라는 문구가 더 크게 다가오면서 섬찟해지게 된다.

  왜냐하면 이민부가 필요하다면 앞으로 National Certificate Level 4도 학력점수 50점에서 뺄 수도 있고 더 나아가 Level 5 (많은 경우 Diploma 과정)도 뺄 수 있다는 상상까지 불러 올 수 있기 때문이다(그런 일이 없기를 바라지만). 관련업계 혹은 현재 학업을 이수하고 있는 분들에게 원성을 자초하고자 하는 소리가 아니라 그만큼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이번 변경 법안에서 느낀다.  

  일반 Certificate Level 4과정이 끝나가는 시점과 맞물려 시행되는 이번 변경법안과 그 문구를 보면서 뉴질랜드 이민부에서 이제 대놓고 기술이민 카테고리에서 유학 후 이민이라는 수도꼭지를 1,2년씩 물 마시려 줄 서있는 사람들 신경 쓰지 않고 마치 '오늘 배급 정량 끝났습니다'라고 간단히 통지하면서 일방적으로 수도꼭지를 잠그고 휙 사라질 가능성이 상존하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유학 후 이민의 불확실성 증가>

  좀더 노골적으로 표현하자면 앞으로 기술이민의 학력 점수 50점을 인정해주는 학력은 이민부가 보기에 이건 아니다 싶은 방향으로 그 코스가 이민을 겨냥하는 유학생 들에게 이용될 경우 '가끔씩'이 아니라 '수시로' 제동을 걸어 학력점수 인정을 거두어 들이겠다는 의미로 파악되어진다. 즉 Loophole이 보일 경우 언제든지 재학생이라든가 예비 학생들 신경 안 쓰고 기동성있게 그 구멍을 메우겠다는 의지 표현이다.

  뉴질랜드 이민부에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나서는 배경을 주변 관련업계 분들의 이야기를 종합해서 생각해 보았을 때 수긍이 가는 측면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1년 Certificate Level 4과정 마치고 2년 차에 잡오퍼를 구해서 기술이민 영주권을 받은 다음 직장 그만두고(솔직히 말해서 직장을 실제 다녔는지도 모르는) 자신이 정작 공부하고 싶은 Bachelor과정을 영주권자의 학비 혜택에 Loan까지 받으면서 공부하는 케이스이다. 뉴질랜드 정부입장에서는 최초 의도하고자 하는 방향과는 전혀 다른 쪽으로 물길이 흘러간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전개인 셈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유학 후 이민의 과정을 통해서 뉴질랜드 영주권 취득을 계획하고 있는 분들에게는 선택의 어려움이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영주권 취득에 유리하다는 판단에 고객에게 어떤 특정 학과를 추천하는 관련 이민/유학 업체 입장에서도 그 고객 학생의 학업 과정이 끝나기도 전에 그 과정에 대한 기술이민 학력점수 50점 인정을 취소하는 이민부 발표가 언제 있을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자신있게 고객을 안내해주기 힘든 입장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좀 더 높은 학력을 위하여?>

  마치 언제 닥칠지 모르는 쯔나미 대비하듯이 Level 4가 이미 침수했으니까 좀 더 높은 Level 5 고지대로, 이것도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더 높은 Level 7 Bachelor 고지로 올라가야겠지만 현실적으로 학교 졸업 후 영어를 멀리한 채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3,40대의 경우 거기에 부양가족까지 딸린 가장입장이라면 애초부터 공부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유학생활을 시작하지 않고 이민이라는 궁극적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 과정적 측면으로 생각한 최소 3년이 소요되는 이 학업과정을 과연 수행할 의지와 능력이 준비된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하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렇다면 이민부의 유학 후 이민 과정에 대한 입장이 이렇게 언제든지 가변적이라는 것이 공표된 이 마당에 자녀들의 교육을 고려해서 유학 후 이민을 선택하려는 한국 3,40대 가장들에게는 상당히 위축되는 뉴질랜드 유학 후 이민 시장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뉴질랜드에서 새로운 학력과 경력으로 무장해서 영주권을 취득하려는 분들은 유학 후 이민을 단순히 어느 코스가 영주권 받는데 더 빠르냐는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잔 파도와 같은 이민법의 변경이 있어도 큰 틀이 흔들리지 않는 코스를 제대로 공략하겠다는 마음 가짐이 어느 때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360] Pumpkin Time

댓글 1 | 조회 1,980 | 2007.07.09
내집 게라지에는 가을에 사놓은 호박이 여러 덩이 있다. 생쥐 일가족은 호박을 갉작갉작 파먹으면서 행복하게 지낸다. 집 주변에서는 고양이들이 짝을 찾느라 앙칼진 소… 더보기

[359] 언 발에 오줌 누기

댓글 1 | 조회 2,520 | 2007.06.25
중국에서 온 이웃집 새댁이 햇살이 내리 쬐는 벽에 몸을 기대고 하염없이 서 있었다. 나와 눈이 마주치자 그녀는 웃으며 햇살이 따뜻하다고 말했다. 사연인즉 전기요금… 더보기

[358] 키위새의 운명(運命)

댓글 1 | 조회 3,019 | 2007.06.12
키위새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이 제1회 You Tube Video Awards 에서 ‘가장 귀여운 영상’으로 뽑혔다. 키위새 한 마리가 날기 위해 천신만… 더보기

[357] 모든 이별의 법칙

댓글 1 | 조회 2,141 | 2007.05.23
Y가 그 녀석을 처음 만난 것은 7년 전이었다. 녀석을 처음 봤을 때 Y는 마음이 여간 설레지 않았다. 순백의 윤기 자르르 흐르는 피부하며 아담한 몸집이 너무 맘… 더보기

[356] 뜨겁게 포옹하라!

댓글 1 | 조회 2,271 | 2007.05.08
뉴질랜드에서 나의 행복은 두 단어로 시작되었다. "Hello!”혹은 “Hi!” 을씨년스러운 겨울날, 몸을 잔뜩 웅크리고 식빵을 사기 위해 총총 걸어가고 있을 때,… 더보기

[355] 해는 지고,해는 뜨고

댓글 1 | 조회 2,236 | 2007.04.24
〈DIASPORA를 위하여〉 가끔은 우리가 땅 위를 걷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물 위를 떠돌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어서 빨리 오라고 누가 부르지도 않았는데 급히 서… 더보기

[354] 나무 감옥에 갇히다

댓글 1 | 조회 2,219 | 2007.04.11
내가 사는 동네는 사람보다 나무가 더 많다. 아름들이 나무들이 동네 입구부터 즐비하고, 집집마다 형형색색의 나무들이 문패처럼 세워져 있다. 한 걸음 더 들어가면 … 더보기

[353] 낭만벼룩

댓글 1 | 조회 2,265 | 2007.03.27
스무살 때, 나는 영문학도를 소개받은 적이 있었다. 그가 첫 대면한 자리에서 불쑥 때밀이(일명 이태리)타올을 내밀었다. “영국 시인 존던의 시 중에 ‘벼룩’이라는… 더보기

[352] 달(月)에 부치는 노래

댓글 1 | 조회 2,296 | 2007.03.12
바닷가에서 음력 대보름을 맞았다. 3월 첫째 주말 밤이었다. 남편은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고 나는 제일 높은 바위 꼭대기에 앉아 달 구경을 하였다. 휘영청 큰 달이… 더보기

[351] 너나 잡수세요!

댓글 1 | 조회 2,587 | 2007.02.26
돼지 리오와 소 무피우스가 주연으로 나오는 만화 영화를 보았다. 영화 매트릭스(MATRIX)를 패러디한 미트릭스(MEATRIX)가 바로 그것. 무피우스는 리오에게… 더보기

[350] 내 친구들은 어디에?

댓글 1 | 조회 2,267 | 2007.02.13
바지를 걷어올리고 강물을 따라 걸어간 적이 있다. 강 바닥의 까칠한 모래가발바닥을 할퀴고,모난 돌은 송곳처럼 뒤꿈치를 쪼아댔다. 가끔은 깨진 유리 조각이 피부를 … 더보기

[349] 향기(香氣)를 찾아서 - 기억(Ⅱ)

댓글 1 | 조회 2,333 | 2007.01.30
"내가 수면제를 먹고, 땅 속에 들어가 누우면 그 위에 흙을 덮어 주시겠소?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이란)의 ‘체리 향기'(1997년 칸느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는… 더보기

[348] 향기(香氣)를 찾아서 - 기억(Ⅰ)

댓글 1 | 조회 2,372 | 2007.01.15
향기는 언제나 내 주변에 가득하다. 바람 따라 허공의 이곳 저곳을 떠돌기도 하고 가라앉아 있기도 하다가 소용돌이 치다가 내 코 속으로 기어드는 것이다. 우연히, … 더보기

[347] 나는 바다로 갔다

댓글 1 | 조회 2,160 | 2006.12.22
낯선 풍경들이다. 비릿한 내음도, 짭쪼름한 바람도 풍겨 오질 않는다. 파라솔을 펴 놓고 멍게나 해삼, 소라 등을 파는 아주머니도 없다. ‘어쩌란 말이냐, 어쩌란 … 더보기

[346] 천국을 한 병씩 나눠 드립니다

댓글 1 | 조회 2,520 | 2006.12.11
시인 바이런이 말했던가. ‘와인과 모짜르트와 책이 있는 곳이 천국이다’ 그의 말대로라면 세계적 와인 수출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곳 뉴질랜드가 천국임에 틀림없다.우… 더보기

[345] 황혼이 아름다운 이유(Ⅱ

댓글 1 | 조회 2,087 | 2006.11.27
내 나이 네 살 때였어. 할머니가 머리카락을 잘라서 파셨어. 아마 검은 머리가 값이 더 나갔었나봐. 비녀 속에 숨어 있는 검은 머리를 찾아내서 무쇠 가위로 싹둑 … 더보기

[344] 황혼이 아름다운 이유(1)

댓글 1 | 조회 2,105 | 2006.11.13
“그게 어디 있더라?” 남편이 마치 현 진건의 ‘빈처’처럼 중얼거린다. 나는 갑자기 등골이 오싹해져 온다. 또 시작되었구나. “분명히 여기 둔 것 같은데---.”… 더보기

[343] 식물의 사생활(2)---넌 어느 별에서 왔니?

댓글 1 | 조회 2,459 | 2006.10.24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ET를 떠올려본다. 눈이 얼굴의 전체를 차지할 만큼 크고 주름투성이인 ET가 긴 손가락을 내밀어 인간의 손가락과 조우하는 순간, 지구인들은… 더보기

[342] 식물의 사생활(1)---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댓글 1 | 조회 3,113 | 2006.10.09
텃밭이 있는 집으로 이사하고 나는 한동안 들떠 있었다. 상추, 깻잎, 고추는 기본이고 호박, 오이, 가지, 토마토, 완두콩에 배추, 무까지 다 키워보리라. 겨우내… 더보기

[341] 거기에, 김치는 없었네

댓글 1 | 조회 2,305 | 2006.09.25
미국 월간잡지 ‘헬스(health)’에서는 세계 5대 건강식품 중 하나로 김치를 꼽았다. 김치는 스페인의 올리브유,인도의 렌틸(콩의 일종),그리스의 요거트, 일본… 더보기

[340] MASSAGE에 관한 진실 혹은 거짓

댓글 1 | 조회 2,908 | 2006.09.11
동서남북도 제대로 분간 못하던 이민 초자 시절에 내 눈에 제일 많이 들어왔던 건 ‘massage’라는 간판이었다. `massage’라면 목욕탕에서 때미는 아줌마가… 더보기

[339] 하늘에서 남자들이 비처럼 쏟아져

댓글 1 | 조회 3,539 | 2006.08.22
효도 중 으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내 어머니는 나의 사춘기 시절부터 “제때제때 연애해서 결혼해 주는 것이 가장 큰 효도”라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말씀하셨다.… 더보기

[338] 밤 나들이

댓글 1 | 조회 2,033 | 2006.08.22
<필자 김영나씨는 성균관 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잡지사 기자와 방송작가 생활을 했다. 뉴질랜드 이민 7년차이며, 아이를 키우는 주부로 한국어를 가르… 더보기

[373] 신청자도 이민절차에 대한 이해를 가지자

댓글 0 | 조회 6,249 | 2008.01.30
이민신청은 일생에 있어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일임과 동시에 인생의 향방을 좌우할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가능한 완벽한 일 처리를 요한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접 하… 더보기

[372] 2008년 뉴질랜드 이민을 준비하는 분들께

댓글 0 | 조회 3,323 | 2008.01.15
<영어의 준비> 모든 이민 카테고리에 있어 영어 요구조항이 있는 현 뉴질랜드 이민법이므로 이민 희망자 분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소프트 랜딩을 위해서 한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