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TA를 아십니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WETA를 아십니까?

0 개 3,011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만약, 만약에 말이다. 60억이 넘는 지구인이 한 사람도 남지 않고 사라진다고 가정해 보자. 지구가 떠돌이 행성과 박치기를 해 한 순간에 공중분해 되거나, 지진이나 쓰나미, 가뭄, 전염병, 혹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인간들이 야금야금 모두 죽어간다면---. 멸종되는 동안, 인간 종(種)은 얼마나 처참해질까. 살면서 보아왔던 온갖 끔찍한 상황의 열배, 백배? 아니다. 종(種)의 멸망은 상상조차 불허하는 참담함 그 자체다.

왜 시작부터 말도 안 되는 얘기로 분위기를 사뭇 불안하게 몰아가느냐고 질책하는 당신, 나도 그러고 싶지 않았지만 지금 우리는 지구상에 사는 다른 생명들에게 예의를 갖추고 반성해야 할 시점이라는 점을 엄숙히 선언하고 싶었다. 오만한 인간들이 지구의 주인 행세를 하면서 씨를 말린 개체는 이루 헤아릴 수가 없다. 그들은 인간처럼 아우성치지도 못하고 전 세계에 뉴스로 타전되지도 못하고 말없이 죽어갔다. 동물도 모성애, 부성애가 있다. 새끼를 잘 키우고도 싶었고, 새끼는 잘 자라 효도도 하고 또 새끼도 낳고---, 식물은 아름다운 꽃도 피우고 싶었을 것이다.

뉴질랜드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키위새 뿐만 아니라, 섬 나라라는 특수성 때문에 독특한 생물의 전시장이었다. 인간들이 뉴질랜드에 발을 들여놓기 전에 이들 생물들은 생존하기 위해 악착을 떨 필요도 없었고, 다른 생명에게 위협을 가하는 일도 없었다. 생물들의 천국이었던 뉴질랜드를 지옥으로 만든 장본인은 바로 인간들이다. 물개, 바다사자 등을 남획해서 멸종 위기로 몰아갔고, Hector's Dolphin은 그물에 걸려서 익사해서 죽어갔다. 마오리들이 '지혜의 수호신'이라 부르는 작은 공룡 모양의 Tuatara도 인간이나 인간에 빌붙어 사는 쥐라든지 포섬 등이 유입되어 사지(死地)로 내몰렸다.

지난 9월 7일부터 14일은 뉴질랜드의 Conservation Week 였다. 멸종 위기에 놓인 생물들을 보호하고 개체수를 늘리는 일에 대한, 조용하지만 적극적인 캠페인 기간이었다. 나는 자연과 환경 보호에 최고의 가치를 두는 뉴질랜드 정부와 DOC(Department Of Conservation) 등 관계 기관의 적극적 노력에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의 노력으로 멸종 위기의 생물들이 하나, 둘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니 살아 돌아온 지구촌 친구들을 얼싸안고 눈물이라도 흘려야 되지 않겠는가.

WETA! 멸종 위기에서 구해진 곤충이다. 물론 실물은 아직 만나지 못했다. Conservationweek.org.nz 에서 동영상을 보았다. 어린 시절, 친구처럼 놀았던 땅강아지 비슷했다. 혹은 귀뚜라미와도 닮았다. 무서워 하지도 않고 사람 손 위를 살살 기어 다니는 녀석의 친근함이 사랑스럽다. 까만 눈은 쥐눈이콩 같다. WETA는 고대시대의 곤충으로 수백만년 전이나 별로 변한 것이 없다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내친 김에 구글에서 WETA를 더 찾아보았다. Tusked Weta는 코끼리 상아처럼 두 개의 긴 뿔이 아래턱에 솟아나 있다. 뭐 짝짓기 할 때 암놈을 차지하기 위해 휘두를 무기겠지만, 요모조모 살펴볼수록 신비하고 매력적인 모양새다. 왜 키위들이 웨타를 그리 사랑하는지 보면 볼수록 고개가 끄덕여진다. 나니아 연대기, 반지의 제왕, 킹콩 등의 영화에서 특수 효과를 담당한 회사 이름은 '웨타 워크숍'이다. 엡섬 마누카우 로드에 있는 도서관은 지난 8월 개관 90주년 기념으로 큰 웨타 상을 벽면에 장식했다. 원래 이 도서관에는 1998년부터 웨타 상이 전시되어 있었는데, 2007년 1월 웨타를 너무도 사랑한(?) 누군가가 훔쳐 갔다. 새로운 웨타는 1.5미터 길이에 80킬로그램이 넘는 거대한 모습으로 청동으로 만들어졌다고.

뉴질랜드 자연 보호 정책은 설득력이 있고 과장되지 않고 생활 속에서 즐기도록 마련되어 있어 감동을 자아낸다. 송어가 살고 있는 강에서 가족들은 송어 낚시를 즐긴다. 만약 포퓰리즘 정책에 근거한 자연 보호 정책이라면 잡았다가 분명 다시 놔준다. 뉴질랜드에서는 송어를 잡은 후 손질하여 훈제통에 넣고 구워 먹는 것으로 소개된다. 무조건 방사하고 보호하라는 것은 먹이 사슬의 원리를 혼란시키고 또 다른 재앙을 낳을 터. 맛있게 구워진 송어를 먹으며 아이들은 즐기고 먹기 위한 '권리'에 앞서 잘 보호해야겠다는 '의무'를 느끼고 자원에 대한 중요성과 보호의 필요성을 피부로 체득한다.

오클랜드 동물원에 있는 NZCCM(NZ Centre for Conservation Medicine)의 시니어 수의사 Richard Jakob Hoff는 개구리 한 마리를 놓고 이보다 더 진지할 수 없다.

"보호종이 아니라도 우리는 긴장을 늦출 수 없다. 세심하게 다뤄야 한다."

이민자들은 자신들은 어차피 '외래종'이라고 뉴질랜드 '토종'에 대해 무관심하고 생소하게 느껴야만 할까? 나는 언젠가는 내 텃밭이나 정원에서 '웨타'를 발견하기를 떨리는 가슴으로 기대한다. 나는 예의 바르고 점잖게 웨타에게 목례를 하고 악수를 청할 것이다.

"처음 뵙겠습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티여, 줄을 서라!

댓글 1 | 조회 3,623 | 2010.01.26
앞으로 2년 후, 지구가 멸망한단다. 과학자들은 고대 마야 문명 때부터의 예언이라고 말한다. 캘리포니아가 사라질 것이라고도 한다. 땅이 쩌-어억 갈라지고 그 구덩… 더보기

Blue Ocean에 뛰어들어라

댓글 1 | 조회 3,616 | 2010.01.12
오클랜드 시내, 골목 모퉁이에 호떡 집이 있다. 그 집에 가면 항상 줄을 서서 호떡이 노릇하게 익어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호떡 집에 불났다’라는 표현이 딱 실감… 더보기

무지개 나라

댓글 1 | 조회 2,773 | 2009.12.22
2010년 월드컵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하 남아공)에서 개최된다. 뉴질랜드는 11월 14일, 바레인과의 예선전에서 1대 0으로 승리하면서 본선 진출이 확정됐다. … 더보기

화양연화 (花樣年華)

댓글 3 | 조회 3,344 | 2009.12.08
나는 내 목적지가 어딘지 모른다. 나는 무시로 떠나고 싶었다. 그런 마음은 수년 전부터 더욱 심해졌다. 세상의 부대낌과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한 일상이 견디기 어… 더보기

Spring In The Box

댓글 1 | 조회 2,675 | 2009.11.24
내가 이사 간다고 하자 친구 S는 대뜸 이렇게 말했다. “치커리는 어떡하구---.” 그녀가 어디선가 얻어다가 내 집에 심어 주었던 치커리는 흔히 구할 수 있는 종… 더보기

Ball Boy

댓글 1 | 조회 2,480 | 2009.11.10
봄인데 전혀 봄날 같지 않은 날씨군요. 식구들이 온돌 매트에 등 바닥을 붙이고 좀처럼 일어나지를 않네요. 따끈한 생강차에 꿀을 한 술씩 타 먹인 후 등 떠밀어서 … 더보기

이방인

댓글 1 | 조회 2,528 | 2009.10.27
카뮈의 '이방인'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주인공 뫼르소는 동료의 싸움에 휘말려 불량배 한 명을 사살하게 된다. 뫼르소는 법정에서 '태양 때문에 사람을 죽였다'… 더보기

Open Home ; 두 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859 | 2009.10.13
수선화에 이어 모란과 벚꽃이 피었다. 붉은 철쭉도 피었다. 뒤란의 수국은 새 잎이 푸른 구름 모양 둥실둥실 돋아났다. 꽃들이 앞다투어 피고 지는 동안 우리도 다퉜… 더보기

Open Home ; 첫 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3,045 | 2009.09.22
9월이 오는 소리,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리기가 무섭게 집을 내놓기로 했다. 한국에 있을 때, 구조가 모두 똑같고 가격대도 고만고만한 아파트만 두 어 번 거래 해 … 더보기

너희가 삼합(三合)을 아느냐

댓글 3 | 조회 3,577 | 2009.09.08
가로등도 가물가물 졸고 비는 부슬부슬 내리는 밤에 나는 가만히 누워 있다가 침을 꼴깍 삼켰다.‘그 녀석이 참 그립군.’어느 환절기의 밤, 마침 딱 맞게 익어 걸러… 더보기

3무(無)의 나라

댓글 2 | 조회 2,718 | 2009.08.25
어느 날 거실에 걸려 있는 동그란 벽 시계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초침이 정확히 60번 움직이면 분침이 어김없이 1분을 가 줄까? 사실이었다. 그런데 초침은 약간… 더보기

The Gold Rush

댓글 1 | 조회 2,647 | 2009.08.11
입안에서 딱딱하고 까슬까슬한 것이 씹혔다. 꺼내보니 금붙이였다. 이게 어디서 나왔지? 나는 입을 벌리고 거울을 보았다. 금으로 때웠던 어금니가 뻥 뚫려 있었다.7… 더보기

진정한 리더

댓글 1 | 조회 2,281 | 2009.07.29
2002년 독일 월드컵 때 대한민국은 4강에 진출했었다. 오클랜드의 내 친구들은 한 집에 모두 모였다. 감동의 순간을 동시대인으로서 함께 공유하면서 벅찬 감정의 … 더보기

베짱이에 관한 오해

댓글 1 | 조회 2,496 | 2009.07.15
뉴질랜드 경제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6월 26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올 일분기(3월31까지) 실업률이 5%에 육박했다.국내 총생산(GDP)도 전 분기 대비 … 더보기

무서운 돼지

댓글 0 | 조회 2,943 | 2009.06.23
<TV One 캡쳐 화면>영국의 동화 작가 Roald Dahl의 'The Pig (from Dirty Beast)' 중에 등장하는 돼지는 무지무지 똑똑… 더보기

블라인드 코너(Blind Corner)

댓글 0 | 조회 2,726 | 2009.06.09
우리는 아름다운 이 세상에 소풍을 나온 것일까? 일찍이 천상병 시인은 그의 시 '귀천(歸天)'에서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하늘로)가서, 참으로 아름… 더보기

별 일도 아니네

댓글 1 | 조회 2,646 | 2009.05.26
부부는 전생에 원수였다고 한다. 살다보면 상대방의 터럭 하나, 뒤통수, 그림자 조차 보기 싫을 만큼 오만 정(情)이 다 떨어질 때도 있다.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 더보기

김밥과 Sushi

댓글 7 | 조회 4,544 | 2009.05.12
9년 전, 시내 아파트에 살고 있을 때 다운타운 쇼핑 센터는 나의 산책 코스였다. 쇼핑센터 일층 뒤쪽에는 스시 집이 있었는데, 그 앞을 지날 때면 항상 해물과 생… 더보기

닥터 지바고의 발자국

댓글 1 | 조회 2,877 | 2009.04.28
나이를 먹어 가면서 입꼬리가 축 처져 내리는 것은 피부가 탄력을 잃어서일까, 뉴톤의 중력 법칙이 사뭇 입꼬리에만 작용해서일까? 어린 아이들은 '까꿍' 한 번에도 … 더보기

제로 섬 게임(Zero Sum Game)

댓글 2 | 조회 3,001 | 2009.04.16
예상대로 뉴질랜드 이민 문호가 다시 열릴 것이라고 한다. 별 뾰족한 수가 없지 않은가. 경기침체가 계속되고 실업률은 증가하고, 기댈 곳이라고는 돈 싸 짊어지고 들… 더보기

도대체 누가?

댓글 0 | 조회 2,757 | 2009.03.24
그리스의 조각가 피그말리온은 여자 한 번 만나지 못하고 외롭게 지내던 중, 대리석으로 자신의 여인을 조각한다. 그는 그 조각상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 더보기

시간이 없다!

댓글 0 | 조회 2,428 | 2009.03.10
일본의 거장 구로자와 아키라 감독은 자신이 꾸었던 꿈을 소재로 '꿈(こんな 夢を 見た)'이라는 영화를 만들었다. 8편의 단편 영화로 이루어진 '꿈'은 저마다 인상… 더보기

내 마음 색동옷 입혀 웃고 울고 지내고저

댓글 1 | 조회 2,577 | 2009.02.25
잠이 오지 않아 뒤척이는 밤에 나는 깨닫는다. 나는 참 바보구나, 그리고 참 나쁜 사람이구나!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모르겠으나 나는 많은 사람들 가슴에 … 더보기

Runner's High

댓글 1 | 조회 2,545 | 2009.02.10
상식적으로 생각하자면 겨울날에는 먹을 것이 귀하기 마련이다. 과일도 야채도 해산물도---. 그래서 동물들은 겨울이 오기 전에 잔뜩 먹고 새로운 먹거리가 돋아나는 … 더보기

女幸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2,604 | 2009.01.28
세상 참 많이 좋아졌구나! 한국에 와 있는 두어 달 동안 나는 이런 생각을 자주 했다.편리함, 섬세한, 친절함이 사회 구석구석에 튼실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중이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