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5] 제로 톨레랑스(Zero Tolerance) - 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85] 제로 톨레랑스(Zero Tolerance) - Ⅱ

0 개 2,241 KoreaTimes
  어떤 여자가 먹을 것을 훔치다가 걸렸다. 경찰이 여자 차의 트렁크를 열었다. 바나나, 빵, 야채 등이 박스 가득 담겨 있었다. 돈으로 따지면 3, 40불어치나 될까? 콧물이 질질 흐르는 아이를 안고 있는 여자는 삶의 고단함이 잔뜩 묻어 있었다. 좀도둑 때문에 신경이 날카로워진 주인은 여자를 고양이 쥐 잡 듯 했지만 여자는 무덤덤했다.

  슈퍼마켓에서 맥주와 스테이크용 소고기 한 팩을 아무렇지도 않게 들고 나오던 남자는 CCTV로 감시하던 직원에게 포착, 사무실로 끌려갔다. 스테이크를 구워서 술 한잔 하려던 것 뿐인데---?

  휘발유 값이 리터당 2달러를 넘어섰고, 식료품 값이 급등하는 등 불황의 파고가 높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먹거리를 나눠 주던 푸드 뱅크의 식품들도 동이 났다. 이렇게 어려운 시기에 배가 고파 먹을 것을 좀 훔쳤기로서니 그게 뭐 그렇게 큰 죄인가? 훔친자들은 그런 표정이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속담이 있다. 인간은 누구나 불완전하고 나약한 존재이며 실수를 할 수도 있고 죄를 지을 수도 있다고. 때문에 남의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하는 관용(寬容,tolerance)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 백 번 맞는 말이다. 그러나 관용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본인이나 가족이 소중한 물건을 도둑맞고, 흉악하고 끔찍한 범죄의 피해자가 된다면 쉽게 관용을 베풀 수 있을까?은 그릇을 훔친 쟝발잔을 용서해 준 신부님도, 성당에 하루가 멀다 하고 도둑이 들어 물건을 훔쳐내고 사람들을 위협했다면 '하염없이 용서'했을까? 뉴질랜드에서 스몰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지인들은 '도둑 땜에 못해 먹겠다' 하소연한다. 어떤 지인은 순식간에 들고 튀는 도둑들 때문에 아예 상품들을 진열대에 꽁꽁 묶어 놓았다. 온 가족의 생계가 달려 있는 가게에 좀도둑이 들끓는다면 그 가게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 그럴 때의 도둑들은 사소한 잡범이 아니다. 가정을 파괴하는 테러범이다.

  아이들의 성장과정이 담긴 캠코더, 학교 과제물이 담긴 컴퓨터, 중요한 서류, 십시일반으로 모은 성금 등, 돈으로 계산 될 수도 없고 살 수도 없는 것들을 도둑 맞았을 때 피해자의 심정은 정말 암담, 끔찍하다. 오랜 세월, 범죄의 손길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다는 불안감은 영혼을 갉아 먹는다.

  7월 5일 보타니에서 Asian Anti-Crime Group(AAG)의 시위가 있었다.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1만 명 이상이 참가, 불합리한 판결에 대한 항의, 시민들의 안전 보장, 정부와 경찰의 강력한 조치를 요구했다. AAG의 피터 로우 단장은 자체 경비단을 구성하겠다고 발표했는데,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낳을 뿐'이라며 각계의 질타를 받고 있다. 정부 경찰 등 관련 기관은 '강 건너 불구경' 하듯 보고만 있다가 맞불을 놓겠다니까 호들갑 떨며 꺼 버린다. 오죽 답답했으면 시민들이 주먹 쥐고 일어나려 하는가.

  지난 주, 5세 된 중국 여아가 알바니의 집 앞에서 납치되었다. 도둑, 강도, 성폭행, 살인에 이어 '유괴'라는 막장 범죄까지 자행되고 있다. 피해자의 입장에서 '사소한 범죄'란 있을 수 없다! 그런데도 뉴질랜드는 좀도둑들에게 너무 관대해서, 바늘도둑이 소도둑, 강도, 유괴범이 되고 있다. 범죄가 양상되는 또 다른 이유는 '용서와 관용'이 '생색내기 정책'에 이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무슨 슬로건인가? 나라마다 범죄자들의 '인권옹호'를 경쟁하듯 내걸고 있다. 물론 범죄자의 인권은 중요하다. 그런데 피해자들의 인권은 헌신짝처럼 어디로 내버렸는가? 엽기적이고 진절머리 나는 범죄의 피해자들은 위안 받지도 못하고 권리도 없고 금세 잊혀진다. '이보다 더 엽기적일 수 없는' 범죄자는 신의 가호 같은 '관용'과 '인권'의 보호아래 국민의 세금으로 안락하게 생활하고 있다. 좀도둑을 견디다 못한 호주의 가게 주인이 CCTV에 찍힌 도둑들의 얼굴을 상점에 붙이자 사방에서 비난이 쏟아졌다. 심지어 청소년 보호법 위반으로 구속될 수도 있다는 말에 주인은 사진을 떼어야 했다. 뉴질랜드의 어떤 이는 강도가 침입하자, 그 놀랍고 긴박한 순간에 아무 것이나 손에 잡히는 대로 무기 삼아 강도를 물리쳤다가 과잉방어로 구속되었다. 위기일발의 순간에도 과잉 방어인지 아닌지 계산하면서, 칼든 강도에게 신문지나 말아 쥐고 대항하라는 것인가? 무고한 시민들에게 '인권국가'를 표방하는 나라들의 현실은 참혹하다.

  교도소 봉사자 숫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2위인 캐나다를 가볍게 누른 뉴질랜드이다. 총 수감자수는 현재 7천 5백 여명, 봉사자는 3천 여명으로 총 수감자수의 40%가 봉사자다.과연 범죄 피해자와, 범죄에 노출되어 있는 무고한 시민들을 위한 봉사자는 몇 명이나 될까?

  '용서와 관용'은 '진정한 참회'가 우선 되어야 한다. '참회'보다 우선 되어야 할 것은 '범죄 예방'이다. 무엇보다 우위를 점해야 할 것은 '다수의 무고한 시민들의 인권'이다. 그렇지 않으면 제2, 제3의 범죄가 '용서받은 자'들에 의해 자행된다. 급기야 시민들은 주먹 쥔 손을 펴서 총을 잡을지도 모른다.

아이티여, 줄을 서라!

댓글 1 | 조회 3,623 | 2010.01.26
앞으로 2년 후, 지구가 멸망한단다. 과학자들은 고대 마야 문명 때부터의 예언이라고 말한다. 캘리포니아가 사라질 것이라고도 한다. 땅이 쩌-어억 갈라지고 그 구덩… 더보기

Blue Ocean에 뛰어들어라

댓글 1 | 조회 3,616 | 2010.01.12
오클랜드 시내, 골목 모퉁이에 호떡 집이 있다. 그 집에 가면 항상 줄을 서서 호떡이 노릇하게 익어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호떡 집에 불났다’라는 표현이 딱 실감… 더보기

무지개 나라

댓글 1 | 조회 2,773 | 2009.12.22
2010년 월드컵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하 남아공)에서 개최된다. 뉴질랜드는 11월 14일, 바레인과의 예선전에서 1대 0으로 승리하면서 본선 진출이 확정됐다. … 더보기

화양연화 (花樣年華)

댓글 3 | 조회 3,344 | 2009.12.08
나는 내 목적지가 어딘지 모른다. 나는 무시로 떠나고 싶었다. 그런 마음은 수년 전부터 더욱 심해졌다. 세상의 부대낌과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한 일상이 견디기 어… 더보기

Spring In The Box

댓글 1 | 조회 2,675 | 2009.11.24
내가 이사 간다고 하자 친구 S는 대뜸 이렇게 말했다. “치커리는 어떡하구---.” 그녀가 어디선가 얻어다가 내 집에 심어 주었던 치커리는 흔히 구할 수 있는 종… 더보기

Ball Boy

댓글 1 | 조회 2,480 | 2009.11.10
봄인데 전혀 봄날 같지 않은 날씨군요. 식구들이 온돌 매트에 등 바닥을 붙이고 좀처럼 일어나지를 않네요. 따끈한 생강차에 꿀을 한 술씩 타 먹인 후 등 떠밀어서 … 더보기

이방인

댓글 1 | 조회 2,528 | 2009.10.27
카뮈의 '이방인'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주인공 뫼르소는 동료의 싸움에 휘말려 불량배 한 명을 사살하게 된다. 뫼르소는 법정에서 '태양 때문에 사람을 죽였다'… 더보기

Open Home ; 두 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859 | 2009.10.13
수선화에 이어 모란과 벚꽃이 피었다. 붉은 철쭉도 피었다. 뒤란의 수국은 새 잎이 푸른 구름 모양 둥실둥실 돋아났다. 꽃들이 앞다투어 피고 지는 동안 우리도 다퉜… 더보기

Open Home ; 첫 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3,045 | 2009.09.22
9월이 오는 소리,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리기가 무섭게 집을 내놓기로 했다. 한국에 있을 때, 구조가 모두 똑같고 가격대도 고만고만한 아파트만 두 어 번 거래 해 … 더보기

너희가 삼합(三合)을 아느냐

댓글 3 | 조회 3,577 | 2009.09.08
가로등도 가물가물 졸고 비는 부슬부슬 내리는 밤에 나는 가만히 누워 있다가 침을 꼴깍 삼켰다.‘그 녀석이 참 그립군.’어느 환절기의 밤, 마침 딱 맞게 익어 걸러… 더보기

3무(無)의 나라

댓글 2 | 조회 2,718 | 2009.08.25
어느 날 거실에 걸려 있는 동그란 벽 시계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초침이 정확히 60번 움직이면 분침이 어김없이 1분을 가 줄까? 사실이었다. 그런데 초침은 약간… 더보기

The Gold Rush

댓글 1 | 조회 2,647 | 2009.08.11
입안에서 딱딱하고 까슬까슬한 것이 씹혔다. 꺼내보니 금붙이였다. 이게 어디서 나왔지? 나는 입을 벌리고 거울을 보았다. 금으로 때웠던 어금니가 뻥 뚫려 있었다.7… 더보기

진정한 리더

댓글 1 | 조회 2,281 | 2009.07.29
2002년 독일 월드컵 때 대한민국은 4강에 진출했었다. 오클랜드의 내 친구들은 한 집에 모두 모였다. 감동의 순간을 동시대인으로서 함께 공유하면서 벅찬 감정의 … 더보기

베짱이에 관한 오해

댓글 1 | 조회 2,496 | 2009.07.15
뉴질랜드 경제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6월 26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올 일분기(3월31까지) 실업률이 5%에 육박했다.국내 총생산(GDP)도 전 분기 대비 … 더보기

무서운 돼지

댓글 0 | 조회 2,943 | 2009.06.23
<TV One 캡쳐 화면>영국의 동화 작가 Roald Dahl의 'The Pig (from Dirty Beast)' 중에 등장하는 돼지는 무지무지 똑똑… 더보기

블라인드 코너(Blind Corner)

댓글 0 | 조회 2,726 | 2009.06.09
우리는 아름다운 이 세상에 소풍을 나온 것일까? 일찍이 천상병 시인은 그의 시 '귀천(歸天)'에서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하늘로)가서, 참으로 아름… 더보기

별 일도 아니네

댓글 1 | 조회 2,646 | 2009.05.26
부부는 전생에 원수였다고 한다. 살다보면 상대방의 터럭 하나, 뒤통수, 그림자 조차 보기 싫을 만큼 오만 정(情)이 다 떨어질 때도 있다.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 더보기

김밥과 Sushi

댓글 7 | 조회 4,544 | 2009.05.12
9년 전, 시내 아파트에 살고 있을 때 다운타운 쇼핑 센터는 나의 산책 코스였다. 쇼핑센터 일층 뒤쪽에는 스시 집이 있었는데, 그 앞을 지날 때면 항상 해물과 생… 더보기

닥터 지바고의 발자국

댓글 1 | 조회 2,877 | 2009.04.28
나이를 먹어 가면서 입꼬리가 축 처져 내리는 것은 피부가 탄력을 잃어서일까, 뉴톤의 중력 법칙이 사뭇 입꼬리에만 작용해서일까? 어린 아이들은 '까꿍' 한 번에도 … 더보기

제로 섬 게임(Zero Sum Game)

댓글 2 | 조회 3,001 | 2009.04.16
예상대로 뉴질랜드 이민 문호가 다시 열릴 것이라고 한다. 별 뾰족한 수가 없지 않은가. 경기침체가 계속되고 실업률은 증가하고, 기댈 곳이라고는 돈 싸 짊어지고 들… 더보기

도대체 누가?

댓글 0 | 조회 2,757 | 2009.03.24
그리스의 조각가 피그말리온은 여자 한 번 만나지 못하고 외롭게 지내던 중, 대리석으로 자신의 여인을 조각한다. 그는 그 조각상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 더보기

시간이 없다!

댓글 0 | 조회 2,428 | 2009.03.10
일본의 거장 구로자와 아키라 감독은 자신이 꾸었던 꿈을 소재로 '꿈(こんな 夢を 見た)'이라는 영화를 만들었다. 8편의 단편 영화로 이루어진 '꿈'은 저마다 인상… 더보기

내 마음 색동옷 입혀 웃고 울고 지내고저

댓글 1 | 조회 2,577 | 2009.02.25
잠이 오지 않아 뒤척이는 밤에 나는 깨닫는다. 나는 참 바보구나, 그리고 참 나쁜 사람이구나!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모르겠으나 나는 많은 사람들 가슴에 … 더보기

Runner's High

댓글 1 | 조회 2,545 | 2009.02.10
상식적으로 생각하자면 겨울날에는 먹을 것이 귀하기 마련이다. 과일도 야채도 해산물도---. 그래서 동물들은 겨울이 오기 전에 잔뜩 먹고 새로운 먹거리가 돋아나는 … 더보기

女幸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2,604 | 2009.01.28
세상 참 많이 좋아졌구나! 한국에 와 있는 두어 달 동안 나는 이런 생각을 자주 했다.편리함, 섬세한, 친절함이 사회 구석구석에 튼실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중이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