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더 똑똑할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누가 더 똑똑할까?

5 2,363 NZ코리아포스트
내 친구 농장에는 염소가 두 마리 있다. 수놈은 염식이, 암놈은 염순이다.

“염식아, 염순아아---!”

여기저기 둘러봐도 아무것도 보이지 않던 들판. 퍼져나가는 친구의 목소리를 타고 허공을 찬란하게 빛내며 염소들이 나타났다. 녀석들은 초록 위로 하얗게 겅중겅중 뛰어오다가 나를 발견하는 순간, 우뚝 멈췄다. 웃음을 짓고 다정히 불러보아도 여전히 얼음 땡 자세로 쳐다본다. 어룽어룽한 노란 구슬 알에 검은 획이 다만 한 줄 세로로 길게 그어진 한 낮의 염소 눈. 가만 보고 있으려니 염소가 가을 서릿발처럼 단호하게 꾸짖는 듯 하다. 낯설게 해서 미안해, 변명거리라도 늘어놓아야 될 듯싶다.

“얼마나 똑똑한지--- 주인이 주는 거 아니면 절대 안 먹어요.”

염식이와 염순이는 나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삐딱하게 서서 과일 껍질을 오물거렸다.

염소와 양, 누가 더 똑똑할까? 내 친구는 염소가 더 똑똑하단다. 염소는 양이 먹던 풀을 먹지 않는다, 염소가 울타리를 폴짝 뛰어 넘어 자유를 만끽할 때, 양은 그저 prison break에 성공한 염소를 멀건이 보며 풀이나 뜯고 똥이나 싸댄다고.

낚시꾼 P는 피아 해변에서 양을 낚았다. ‘양’이라는 물고기가 있어요? 나는 바보처럼 물었다. 짐작하건 데 무아지경 풀을 뜯다가 절벽 아래로 굴러떨어진 양이 익사한 채 떠다니다가 낚시 바늘에 걸린 것. 풀 먹다가 떨어져서 낚시 바늘에 걸렸다는 슬픈 염소 얘기는 아직 들려오지 않고 있다. 그날, 갈매기들은 양고기 만찬을 즐겼다.

엊그제는 Lonesome J씨가 암탉 꼬꼬를 입양했다. 그의 얼굴에 봄날처럼 환하고 뿌듯한 아지랑이가 마구 피어, 마치 늦둥이를 본 듯 했다.

“우리 꼬꼬가 얼마나 영리한지 아십니까? 꼬꼬는 땅을 헤쳐서 벌레를 잡아먹고 다시 흙으로 덮어 놓는 답니다. 그래야 또 벌레가 숨어들테니까요..”

아, 정말 영리하다. 닭대가리라는 말은 앞으로 머리 좋은 사람에게 쓰는 덕담으로 바뀌어야 할 듯싶다. 당신, 닭대가리네요!

집 뒤 뜰에 고대광실 같은 꼬꼬 집도 만들었다. 달걀은 공짠데, 닭 장을 구경하는 입장료는 5불이라고. 무슨 자금성이라도 되냐고요, 호호호. 기막힌 것은 그 좋은 집에서 꼬꼬 혼자 무정란만 낳으며 독수공방 중. 꼬꼬 신랑감 없나요? 볏이 불처럼 붉고 왕관처럼 늠름한 엄친아로.

우리 동네 정부(政府) 주택 옆에는 맘 좋은 어르신들이 마련해준 오리들의 정부(情婦) 주택이 있다. 해마다 봄이 되면 암수 오리들이 깃털 끄덩이를 뽑는 치정 싸움을 하며 새끼를 친다. 애증의 푸닥거리 끝에 태어난 아기들이지만, 어미 오리의 육아만큼은 맹자 엄마, 심봉사도 울고갈 판이다.

며칠 전엔 우리 집에, 속도위반한 어미 오리가 새끼 여섯 마리를 몰고 쳐들어왔다. 꽃샘 추위가 가시기도 전에 새끼를 까서 먹을 것이 없는지, 콩알 같은 눈을 부라리며 각설이 타령을 했다. 얼씨구씨구 꽥 절씨구씨구 꽥 들어간다 꽥꽥! 나는 각설이 오리들의 닦달에 허겁지겁 식빵을 상납했다. 식빵 한 조각이 떨어질 때마다 일곱 개의 오리 주둥이가 득달같이 달려들었다. 그 와중에 엄마 부리 옆에 삐져나온 식빵 조각을 냉큼 떼어먹는 눈치 빠른 녀석이 있었다. 와우! 고놈 참 약았네.

각설이 짓으로 새끼들의 배를 불린 어미 오리는 도랑에서 수영 강습을 한다. 이 순간 각설이 타령을 하던 어미 오리의 부리는 따끔한 매질의 도구, 교편이 된다.

“꽤애엑- 꿱 꿱-- (엄마는 네가 박태환이나 펠프스처럼 되는 게 꿈이다. 너 뭐가 될라고 그래! 수영 하라니까, 왜 잔디밭으로 기어올라가!)”

어미 오리가 아기 오리들과 전쟁을 하면서 도랑물을 쭉 끌며 헤엄쳐가도록 아빠 오리는 아무런 참견도 하지 않는다. 고개를 쭉 빼고 보초만 서는 권위 있는 아빠다. 지아비, 지어미 역할이 이상적인 오리 가족이라고 감탄한다.

세상의 모든 것들은 모두 다르다. 다르기 때문에 멋있고 신기하고 감탄스럽다. 누가 똑똑한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다만, 애정 어린 눈길, 배려 깊은 손길로 곁을 내어주면 멘사 회원 저리갈 만큼 똑똑한 녀석들이 왈칵 몰려든다. 그럴 때 나는 온몸에 소름이 돋는 깨달음을 얻게 되면서 세상에서 내가 제일 바보 같다는 생각을 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왕하지
그집 꼬꼬는 참 키특하군요. ㅎㅎ,

우리 집 닭들은 땅을 다 파헤쳐서 홍수나게 생겼어요.

언제 그 집으로 견학을 좀 시켜야 할나나요,

동물들도 사람이 대해주기 나름인 것 같아요.

나는 두들겨 패기만 하니...
김 영나
하지님도 참---

할머님이랑 하지님, 가족들 모두 꼬꼬들 너무 사랑하잖아요.

아기 키울 때 엄마들이  하루에도 열 두번 거짓말 한다잖아요. Lonesome J 씨도 그런 거 아닐까요?

남들에게는 믿기지 않고 거짓말처럼 느끼는 일들이 사랑하는 사람 눈에는 보이는 거죠.
쌔엠
속도위반에 대한 애들의 저항 인가요?

한 놈 빼곤 모두 지 엄말 쳐다도 않보네요.ㅎㅠ

그래서 일단은 자식을 많이 나아야 하네요.

하나라도 건질라면..^^
왕하지
김선생님, 오리사진이 너무 예쁩니다.

형체가 뚜렸하고 깃털모양이 선명하고,

날개 속털도 보이고 그림 한번 그려야 되겠군요. ㅎㅎ
김영나
쌔엠님 말씀이 맞아요.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겠지만---, 바람 부는 게 곧 재미고 행복이죠 뭐.

그중에 잘 되는 자식이 나오면 다행이지만, 건강하고 본인이 행복한 일 하면서 지내는 게 최고죠 뭐.



하지님 그림 모델이 된다니 오리들이 영광스럽게 생각하겠네요.

자연스럽게 찍고 싶었는데, 오리들이 카메라를 보자 벽쪽으로 도망가서 저리 얼음 땡 자세로---

정말 부자연스러운 건 보기 싫어요. 전 저 사진 별로예요.

오리들 뒤뚱거리면서도 정말 빨라요. 아기 오리들은 굴러가는 거 같아요. 그래서 좋은 사진 찍기 힘들었어요.  지(죄) 송---

[조석증 경제칼럼] 키위달러 상승행진, 이제 끝나나? (07년2월28일)

댓글 0 | 조회 924 | 2007.03.1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석증 경제칼럼) 키위달러 상승행진, 이제… 더보기

NZ 경제요약- (07년 2월28일)

댓글 0 | 조회 1,165 | 2007.03.01
NZ 경제요약- 주학성(07년 2월28일) 1. 국내 경제 2. 금리, 환율 동향 3. 경제 토픽 4. 부동산 시장 5. 주식 시장 [국내경제] ■ 임금, 알게 … 더보기

NZ 경제요약- (07년 2월2일)

댓글 0 | 조회 853 | 2007.02.28
1. 국내 경제 2. 금리, 환율 동향 3. 경제 토픽 4. 부동산 시장 5. 특집 분석: 주택가격, 어디로 가나? 6. 주식 시장 [뉴질랜드 경제동향] [국내 … 더보기

나의 지음(知音)은 어디에?

댓글 2 | 조회 2,946 | 2012.10.24
내가 좋아하는 친구들은 가만히 있어도 서로의 마음을 읽어내는 재주들이 있다. 몇 마디 나누지 않아도, 표정만 봐도 이심전심이 가능하다. 눈빛만 봐도 알 수 있는 … 더보기

침묵의 봄

댓글 0 | 조회 1,932 | 2012.10.09
봄날 밤, 벚꽃놀이를 했었다. 동행자는 기억나지 않지만, 눈웃음치며 내게 왈칵 달려들던 정숙한 듯 요부 같던 벚꽃의 뜨거운 기운은 아직도 새록새록하다. 바람이라도… 더보기

좋은 일, 나쁜 일, 이상한 일

댓글 0 | 조회 2,353 | 2012.09.25
수십 년 영화를 만들었고, 거장이라 불렸지만 영화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고백했던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김기덕 감독도 ‘아리랑’에서 &lsq… 더보기

강북스타일

댓글 3 | 조회 3,168 | 2012.09.11
이민 생활의 방향, 성패는 뉴질랜드에 도착해 누구를 만났는지, 최초 며칠에 따라 결정된다는 속설이 있다. 제법 신빙성이 크다. 내가 하버브리지 남쪽에서 13년째 … 더보기

죽기(훨씬) 전에 꼭 해야 할 일

댓글 2 | 조회 3,980 | 2012.08.29
옛날에는 사형수가 교수형을 당할 때 물통, 그러니까 bucket 위에 올라서면 목에 오랏줄을 걸었다고 합니다. 물통을 발로 차기만 하면 사형이 집행되는 것이지요.… 더보기

세상은 넓고 음식은 많다

댓글 5 | 조회 4,687 | 2012.08.14
지난 일요일, 3백여 개의 식탁이 차려진 곳에 초대받았습니다. 오클랜드 Food Show가 열리는 Greenlane ASB Showgrounds였지요. Food … 더보기

눈물 많은 남자

댓글 4 | 조회 2,258 | 2012.07.24
동시대에, 지구에 함께 살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가슴 뿌듯한 이가 있다. 2년 전 퇴임한 브라질의 전 대통령‘룰라 다 실바’다. 그는 너무 … 더보기

화살보다는 손수건을---

댓글 5 | 조회 2,263 | 2012.07.11
모름지기 좋은 정치란 국민들이 ‘정치에 대해 모르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노자(老子)가 요(堯) 임금의 ‘무위(無爲)의 다스림&… 더보기

그 저녁이 참 그리웠다

댓글 5 | 조회 3,743 | 2012.06.26
겨울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요즘, 뒤통수부터 등 허리까지 으스스하다. 이런 날은 순두부나 된장찌개 보글보글 끓여 먹는 게 최곤데---. 만약 신김치가 있다면 기름을… 더보기

당신을 희망의 메신저로 임명합니다

댓글 3 | 조회 2,405 | 2012.06.12
---- 코리아 포스트 창간 20주년에 부쳐 지구 밖 6천Km 상공에서 찍은 우주 사진을 본 적이 있습니다. 지구는 진애(塵埃)에 불과했지요. 마치 햇살 좋은 날… 더보기

항아리 속 女子

댓글 4 | 조회 3,058 | 2012.05.22
#1. 한국의 전통 장(醬)들은 오래 묵으면 약이 된다. 위장병엔 묵은 간장이, 외상이나 화상에는 된장이, 감기나 어혈 푸는 데는 고추장이 특효라고 한다. 어느 … 더보기

지지고 볶고 끓여주세요!

댓글 1 | 조회 2,616 | 2012.05.09
그보다 더 시끄러울 수는 없었다. 한국에 머무는 두어 달 동안 나는 왁자지껄한 소음의 소용돌이 속에 내던져졌다. 3월, 핵안보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열렸다. 몇날 … 더보기

Angry Birds

댓글 4 | 조회 2,544 | 2012.04.24
시인 타고르는 한국을 ‘동방의 조용한 아침의 나라’라고 칭송하였다. 한국이 정적으로 묘사돼 못마땅해 하는 이도 있지만, 떠오르는 해처럼 동방… 더보기

존 키의 선물

댓글 1 | 조회 2,623 | 2012.04.11
거대한 버섯 모양의 구름을 형성하며 폭발하는 핵폭탄의 위용은 실로 상상을 넘어선다. 사방 수십 킬로 면적이 수십 년에서 수만 년 죽음의 땅으로 변하는 것은 물론,… 더보기

살얼음판 위의 여자들

댓글 3 | 조회 2,767 | 2012.03.27
인간의 삶과 기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래서일까? 빙하가 녹아내리고 북극곰들은 익사하고, 우리네 삶도 살얼음판을 걷는 듯 아슬아슬하다. 얼… 더보기

세종대왕과 사무라이

댓글 3 | 조회 4,689 | 2012.03.13
2년 전쯤 한국에 갔을 때, 가수 ‘비’ 주연의 ‘닌자 어쌔신’이라는 영화를 보았다. 닌자는 원래 암살이나 독살을 담당… 더보기

아파트

댓글 5 | 조회 2,928 | 2012.02.29
뉴질랜드는 서민들을 위한 주택이 부족하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할 뿐 아니라 주거 환경이 열악하고, 렌트비는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집… 더보기

채식주의자는 행복해!

댓글 3 | 조회 2,876 | 2012.02.15
내 아들이 채식주의자가 된 것은 5년 전 일이다. 완전 채식은 아니고 치즈와 달걀은 섭취하는 Lacto-ovo-vegetarian인데 그나마 치즈와 달걀도 줄여가… 더보기

Summer time

댓글 4 | 조회 3,157 | 2012.01.31
엊그제, 안개 비가 보슬보슬 내리던 날, 공원에서 누가 부르는 듯 했다. 손을 허공에 내밀어보았다. 내리는 둥 마는 둥 간질간질하다. 나는 목에 스카프를 둘렀다.… 더보기

댁의 마음은 어디 계십니까?

댓글 2 | 조회 2,899 | 2012.01.17
내 영역은, 다람쥐 쳇바퀴 돌 듯 한정되어 있어요. 동네 슈퍼마켓에서 먹거리를 사고, 집 앞 공원을 산책하고, 가끔 산을 찾고, 한글을 가르치러 이웃 동네로 넘어… 더보기

화다닥씨의 편지-맛있게 잡수세요!

댓글 6 | 조회 3,728 | 2011.12.23
세월이여, 나는 당신을 ‘화다닥 씨’라고 부르겠어요. 화다닥화다닥 뛰어다니면서 홍안에는 구불구불한 고랑을, 칠흑 같은 머리에는 하얀 서리를,… 더보기

12월엔 퀸 스트리트에 가야 한다

댓글 5 | 조회 5,604 | 2011.12.13
산타와의 슬픈 추억 한 토막을 얘기하겠다. 해마다 12월이면 퀸 스트리트 W 건물 벽에 산타가 나타났다. 산타는 윙크도 하고 손가락도 까딱거리면서, 오가는 사람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