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연결과 고독의 시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초연결과 고독의 시대

0 개 1,001 명사칼럼

극도로 내향적인 성격 탓인가요? 저는 어릴 때에는 ‘체육’은 너무 불편했습니다. 급우 모두들이 보는 앞에서 뚱뚱한 몸둥이를 움직이는 것도 고역이었지만, 최악은 탈의실이었습니다. 저는 왠지 남들에게 제 맨살, 벗은 몸 보여주기가 거의 병적으로 싫었습니다. 좀 어렵게 이야기하자면 제가 생각하는 제 ‘사생활’의 선과 사회가 설정한 집단성의 선이 서로 맞지 않아 불협화음을 냈던 것인데, 저는 좀처럼 남자들끼리 서로 벗은 몸을 보여주어도 되는 사회의 ‘상식’에 양보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최종 학위를 받아 군 면제가 되어서 다행이지, 이런 성격으로 병영 생활을 어떻게 했을 것인지 저는 상상 자체가 안갑니다. 


​소비에트 시대의 공중 전화기들은 거의 다 아주 두꺼운 부스 안에 위치하곤 했습니다. 역설이지만, “집단주의”를 내걸었던 사회는 역으로 그 공민들의 통화의 프라이버시를 나름 챙겼다고 봐야 합니다. 저는 1991년에 평생 처음으로 서울에서 부스 없는 공중 전화기를 보게 됐습니다. 적지 않은 문화 충격이었습니다. 내 옆에 있는 사람들이 나의 개인적 통화를 엿듣게 되는 게 내 인권 침해가 아닌가, 라는 생각을 계속 했는데, 제가 체류했던 한 한국 대학의 기숙사에서 그런 생각을 했던 사람은 아마도 저뿐이었을 것입니다. 한데 소련이 망한 뒤에 러시아에서도 점차 ‘비경제적인’ 공중 전화기 부스들이 그 족적을 감추게 됐습니다. 


​처음 14년 전인가 페이스북을 보게 됐을 때의 충격도 엄청났습니다. 저는, 수억 명의 사람들이 그 개인 사생활의 상당 부분을 공개하는 가상 공간을 처음 본 것입니다. 모종의 대사회적 ‘의견 피력’형 포스팅들보다, 집안, 아이, 음식 사진이나 비디오들이 훨씬 많이 눈에 띄곤 했습니다. 처음에 그걸 보고 그냥 어리둥절했습니다. 정식으로 동의를 얻을 수 없는 아이들의 사진이나 비디오를, 초상권 관련의 아무 절차도 없이 페이스북 등에 기재하는 부모들이 아동권 침해를 하는 게 아닌지, 계속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권리’ 차원보다 이 사생활 공개의 ‘의미’가 너무너무 궁금했습니다. 내가 먹은, 아니면 먹으려는 음식을 촬영해 공개하면 나 본인이 좀 부끄러워하거나 수줍워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사실, 식량 섭취 과정은 그 본질상 분비 과정 만큼이나 개인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고, 내가 남에게 내 먹는 소리를 들려주거나 남들의 먹는 소리를 그다지 듣고 싶지도 않는데... 그러나 ‘먹방’이라는 한국어 신조어가 이미 영어나 러어 사전에도 외래어로서 들어간 지금에 와서는, 이런 생각들은 아마도 엄청나게 ‘구시대적’일 겁니다.



​후기 자본주의의 개인은 ‘초연결’의 삶을 살면서 그 사생활 관련 제반 권리들을 스스로 반납하곤 합니다. 사생활 장면 하나하나를 SNS에 올리고 남들이 보고 듣는 데에서 휴대폰으로 들으란 듯이 통화하고 늘 휴대폰으로  연결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입니다. 저는 이동 통신이 혹시나 갑자기 없어지면 그냥 아주 기쁘게 제 젊은 시절의 옛 ‘정상’으로 돌아가겠지만, 제 아이들만 해도 휴대폰과 SNS 없이는 아마도 하루라도 살아가기가 힘들 듯합니다. 그런데 초연결 시대의 인간들의 이 자발적인 ‘사생활 반납’의 저변에는 ‘고독’의 짙은 그림자가 깔려 있습니다. ‘페친’들이 수천 명 되고 인스타에서 수십만 개의 ‘좋아요’를 얻어도, 이 사람들이 그들에게 그들의 이야기를 주의깊이 들어주고 그들을 위해서 뭔가를 내주고 희생할 수 있는 진짜 친구는 한 명도 없다는 걸 너무나 잘 아는 것입니다. 그들이 전세계와 ‘연결’돼 있지만, 누구와도 ‘친밀’하지 못합니다. 물론 특히 성적 의미의 ‘친밀 관계’들이 - 성이 인간에게 1차 욕구인 만큼 - 그들에게 종종 생기지만, 그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파트너싶들은 대개 단명입니다. ‘노동자’에서 ‘소비자’로 그 정체성을 바꾼 후기 자본주의형 인간은, 친밀한 관계도 최신 아이폰처럼 ‘소비’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관계 초기의 단맛을 만끽하고 나서 관계 유지를 위한 비용 (시간과 에너지, 인내심 발휘 등)을 지불하는 대신에 기존의 관계를 해체시키고 새 관계를 맺어 그것도 ‘소비’하는 것입니다. 단기 이익 위주로 돌아가는 신자유주의 시회답게, 인간 관계에서도 장기 투자보다 단기적인 ‘인간에 대한 소비’가 선호되는 것이죠. 


​초연결 사회, 사생활 공유의 ‘쿨함’은 단기성 위주 삶 속에서의 고독을 잠시나마 잊기 위해서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매분 매초에 SNS을 확인해도 고독을 잊기란 궁극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결국, 원자화의 정도가 높은 노르웨이 같은 사회만 해도, 아마도 20-30년이 지나면 공장 노동자보다 내면이 병든 동료 시민들을 치료해야 할 심리학자와 상담사, 정신 질환 전문가, 그리고 인생코치 등의 수는 훨씬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봐야 이런 사회는 과연 행복해질 수 있겠어요?


■ 박 노자


07fe08c652f10c3fa71565e424f8b69c_1660094348_5577.png
 

오슬로대학교수, 한국학자, 칼럼니스트

소련의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데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호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레닌그라드 대학 극동사학과에서 조선사를 전공했고, 모스크바 대학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 으로 주목받았으며,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당신을 위한 국가는 없다』 『전환의 시대』 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러시아 혁명사 강의』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심포삼초는 가장 중요한 장부

댓글 0 | 조회 1,070 | 2022.09.14
심포삼초(心包三焦)는 면역력, 생명력, 저항력, 힘을 담당하는 장부입니다. 그런데 심포삼초는 눈에 보이는 장부가 아닙니다. 의사들이 우리 몸 어딘가에 있다고 추정… 더보기

노년을 외롭지 않게 준비해요

댓글 0 | 조회 2,178 | 2022.09.13
노스쇼어 병원에 입원을 하면 아시안 헬스서비스에서 사회복지사분들이 방문하여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부분들이 있는 지 살펴보러 옵니다. 몇 해전 어머니께서 입원하셨을… 더보기

뒤땅 치는 샷의 방지 요령

댓글 0 | 조회 1,097 | 2022.09.13
치핑에서의 실수그라운드 상황이 좋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심적 부담이 큰 경우 뒤땅성의 실수가 많아진다. 자신 있게 스윙이 이루어 지지 않을 때와 특히 임팩트 … 더보기

추석이 지나는 밤

댓글 0 | 조회 655 | 2022.09.13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콩이 들은 송편을눈썰미로 제치고기대감으로 한 입 깨물면입안에는 인생 최대의 좌절이 번지고깨가 들은 송편은 누이들에게 들려 있었다소나무 잎을 … 더보기

바다 물속을 맨발로 걸었더니…… (1)

댓글 0 | 조회 1,074 | 2022.09.13
세상살이를 하다보면 본의 아니게 손해를 보거나 불편을 겪는 일이 어쩔 수 없이 생기게 마련이다. 2020년 초부터 우리의 생존을 위험 속에 몰아넣고 생활환경을 바… 더보기

감정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의 중요성과 개발하기 위…

댓글 0 | 조회 714 | 2022.09.13
이번 호에서는 지능(IQ)과 더불어 그 주요성이 강조되는 감정지능에 대하여 그것의 중요성과 개발하기 위한 주요한 팁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감정지능은 자신이나… 더보기

개니프?

댓글 0 | 조회 696 | 2022.09.13
직장의 일로 강원도 태백시에 3일을 있었다. 태백산으로 익숙한 이름, 태백시는 아담하다. 높은 곳인지 한 여름에도 벌레가 없어서 의아스러웠다. 빛을 보고 몰려드는… 더보기

[포토 스케치] Journey of Camino

댓글 0 | 조회 739 | 2022.09.12
Journey of Camino

유방암(乳房癌) 그리고 척추암(脊椎癌)

댓글 0 | 조회 1,233 | 2022.09.09
CNN Breaking News: Singer and Actress Olivia Newton-John dead at age 73. CNN 방송은 뉴스 속보로 가수… 더보기

따뜻한 정(情)이 오가는 한가위 보내시기 바랍니다.

댓글 0 | 조회 834 | 2022.09.09
존경하는 뉴질랜드 교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국회의원 멜리사 리입니다.추석 명절을 맞아 인사드립니다. 고향을 떠나 타국에서 맞이하는 명절은 교민 여러분께 더욱 애… 더보기

도박중독으로부터 벗어나는 길

댓글 0 | 조회 1,746 | 2022.08.30
남편은 밥을 먹을 때에도 항상 휴대폰을 하고 있으면서 아이들이나 나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예전에는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특히 아이들에게 더… 더보기

뉴질랜드 여행자 입국시 보안 검색 및 필수 문서는?

댓글 0 | 조회 4,560 | 2022.08.25
최근 국경이 다시 열리면서 해외 여행이 자유로워졌다. 어제(24일) 오클랜드 경찰서에서는 뉴질랜드 입국시 주의해야 할 부분을 뉴질랜드 관세청(Ministry fo… 더보기

왜 세컨 샷에 우드를 잡나요?

댓글 0 | 조회 1,481 | 2022.08.24
평생 90대에 머무른다면. 골프 얼마나 생각하고 치십니까.최근에 여성용 장비들이 많이 나가면서 대화 할일이 좀 많았습니다. 여성골퍼들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하는데… 더보기

다리살 쏙 빠지는 다이어트 스트레칭 3탄

댓글 0 | 조회 1,008 | 2022.08.24
최근 제 유튜브영상으로 홈트하시는 구독자분들과 줌수업 수강중인 회원들로부터 하체라인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어요. 강도있는 근력운동과 … 더보기

Statutory demand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1,991 | 2022.08.24
Statutory demand는 채권자가 회사의 빚에 대하여 청구하는 법정 요구를 뜻합니다.Statutory demand는 받아야 할 금액에 대한 분쟁의 여지가 … 더보기

최초의 전문박물관에 모셔진 최고의 보물들 - 통도사 성보박물관

댓글 0 | 조회 934 | 2022.08.24
통도사가 문을 연 목적 중에는 자장 율사께서 당나라에서 친히 모셔온 석가모니 부처님의 사리와 직접 입으셨던 가사(袈裟)를 모시기 위함도 있었다. 그때 모셔온 진신… 더보기

풍요로워지는 수레바퀴

댓글 0 | 조회 819 | 2022.08.24
봄이 생각보다 빨리 성큼 다가온 느낌이다. 정원에 소담하게 올라온 머위들이 살며시 손을 흔들고 있었다. 진정 봄이 온 것일까? 파미에서 20여년을 봄을 맞이했었지… 더보기

홍대병을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1,307 | 2022.08.24
고등학교 2학년인 A는 이번 주말에도 여느때와 같이 홍대로 놀러 나갑니다.친구들을 만날때도 무조건 홍대앞을 고집하고 혼자서 분위기를 잡고 싶을때에도 A는 여지없이… 더보기

빨간 우체통

댓글 0 | 조회 714 | 2022.08.2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이국 땅인 데도길가 빨간 우체통에편지를 넣고 싶다싸웠던 친구에게아직도 내가 미우냐고촌놈에게 고왔던 여자 선생님에게는지금 다시 선생님 앞에 서… 더보기

노욕(老慾)

댓글 0 | 조회 910 | 2022.08.23
어느 날 부터인지 가슴이 뻐근하게 통증이 느껴졌다. 괜찮은가 싶다가도 생각이 나면 어김없이 또 아팠다. 어느 날은 조금, 어느 때는 좀더 강도가 심했다. 웬만큼 … 더보기

골프의 에티켓(Ettiqutte)

댓글 0 | 조회 1,001 | 2022.08.23
첫 원고를 쓰면서 가장 중요 하지만 가장 소홀하게 생각할 수 있는 골프 경기에서의 에티켓에 관한 글을 써 보려고 한다.훌륭한 골퍼가 되기 위해서는 자질과 능력보다… 더보기

오장육부를 보살피는 법

댓글 0 | 조회 851 | 2022.08.23
땀 흘린 후 찬바람을 쐬면 비장이 상합니다. 넘어지는 것도 후유증이 있어서 비장을 상하게 합니다. 술 취한 가운데 방사를 많이 하는 것, 생각을 많이 하는 것도 … 더보기

특별법 영주권, 파고 들어가 보기

댓글 0 | 조회 2,073 | 2022.08.23
지난 2021년 12월에 시작된 “2021 특별법 영주권(이하, 특영)” 접수가 마침내 지난 7월말을 기하여 마무리되었습니다. 몇 가지 자격요건 중 하나라도 만족… 더보기

Cockney English - 사투리 영어

댓글 0 | 조회 983 | 2022.08.23
우리가 한국에서 배운 학교 영어는 주로 미국식의 영어이다. 업무관련해 만난 영국 거래처 손님들은 우리가 배우고 말하는 영어는“미국식”이라고 지적을 한 적이 있었다… 더보기

결혼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036 | 2022.08.23
시인 정 호승만남에 대하여 진정으로 기도해온사람과 결혼하라봄날 들녘에 나가 쑥과 냉이를 캐어본추억이 있는 사람과 결혼하라된장국을 풀어 쑥국을 끓이고 스스로기뻐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