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보여주기 (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집 보여주기 (Ⅱ)

0 개 2,448 NZ코리아포스트
지난 호에서는 휴지의 용도와 신발의 정리에 대해 알아 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집안의 냄새와 애완 동물 문제에 대해 알아 보겠다.

집을 팔기위해서도 사기 위해서도 오픈 홈은 필요하다. 어차피 오픈 홈이란 다른 사람에게 내 집을 상품으로 내 놓고 보여 주는 일이므로 사소한 일이라도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그 세심한 주의가 경우에 따라서는 커다란 행운을 부르기도 한다.

3. 냄새 나는 집

집안에서 나는 냄새는 우선 음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지만 음식냄새는 그때그때 환기를 시키면 웬만큼 해결이 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하수구나 변기근처에서 고질적인 악취가 나는 것을 묵인하고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 하수구나 변기 뚜껑은 반드시 덮어두자. 부엌의 싱크대, 목욕탕의 세면대 등의 하수구는 그 파이프가 U자 형태(U trap)로 되어 있어서 그 속의 오염된 물질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집안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게 되어 있지만 이 장치가 완벽하게 나쁜 냄새를 차단하지는 못한다. 특히 부엌 싱크대의 경우에는 음식물 분쇄기(waste disposer)에 음식 찌꺼기가 남아 있을 경우 악취가 심하게 날 수가 있다. 분쇄기 사용 후에는 한동안 물을 흘려 보내 찌꺼기가 완전히 흘러 나가도록 하자. 대개 하수처리 시설에는 그 마개를 닫아 두면 집안에 악취를 막을 수 있다.

가족 모두가 화장실의 변기를 청결하게 사용하고 사용 후 커버를 덮는 것을 생활화하면 좋겠다.

하수구의 마개를 막는 것이나 변기의 커버를 덮어 놓는 것은 풍수상으로도 집안의 좋은 기운이 그 곳을 통해서 빠져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여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이다.

4. 애완 동물

개와 고양이등 집안에서 키우는 동물이 있을 때에는 집이 애완동물로 인하여 지저분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실제로 지저분하게 되는 것 말고도 많은 사람들이 애완 동물 몸 속에 자라는 벼룩 등이 집안에 퍼져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걱정한다. 정기적으로 목욕을 시키고 소독을 하는 것이 집안 청결에 좋겠다. 또한 동물 자체와 배설물로 인하여 생기는 냄새가 기분 좋지 않은 느낌을 줄 수 있다. 환기를 자주하고 가능한 한 많은 햇빛을 집안 내부로 받아들여 냄새를 줄이도록 노력한다. 집 안에서 키우는 동물은 배설 훈련을 정확하게 하여 카펫에 얼룩이 생기지 않게 하여야 한다. 애완 동물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지만 만약 집을 팔기 위해서 오픈 홈을 해야 한다면 위의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가능하면 바이어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외에도 남에게 집을 보여 주려면 신경을 써야 할 일들이 많이 있겠지만 필자의 경험상 아주 간단하면서도 어려운 일들이 위와 같은 일이다. 다른 사람 즉,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의 시각에서 생각하고 약간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준비한다면 오픈 홈의 효과를 최대한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M 리포트 (Ⅱ)

댓글 0 | 조회 2,345 | 2011.11.22
지난 주에 이어서 LIM (Land Information Memorandum) report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다. 지난 주에 알… 더보기

LIM 리포트

댓글 0 | 조회 2,632 | 2011.11.08
거의 모든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필수적으로 붙는 특별조항의 하나가 LIM 조건이다. Land Information Memorandum이라고 불리는 LIM은 간단히… 더보기

빌더스 인스펙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2,528 | 2011.10.26
주택 매매를 할 때에 계약이 체결된 후에 취소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최근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 더보기

전원일기 (Ⅲ)

댓글 0 | 조회 2,380 | 2011.10.12
5. 양의 관리또한 양에 대한 관리도 필수적이다. 가지고 있는 땅의 넓이에 따라 적당한 수의 양을 키우는데 양이 풀을 뜯어 먹어 주기 때문에 전체 땅에 잔디를 깎… 더보기

전원일기 (Ⅱ)

댓글 0 | 조회 2,342 | 2011.09.28
지난 호에 이어서 전원주택 구입시 자세히 확인하여야 할 사항과 전원주택에서 살게 될 때 실제 생활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 가지 일과 주의점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 더보기

전원일기 (Ⅰ)

댓글 0 | 조회 2,440 | 2011.09.14
대부분 고층 아파트가 주를 이루는 도시에서 살아왔던 우리 교민들에게 뉴질랜드의 단독주택은 전원일기를 보면서 느꼈던 전원주택에 대한 동경을 어느 정도 만족시켜 준다… 더보기

돈 되는 집 (Ⅰ)

댓글 0 | 조회 4,560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돈 되는 집 즉 투자가치가 있는 집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특별히 투자용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현재 살고 있는 집 혹은 단순 주거용 주… 더보기

겨울철 부동산 전략 (Ⅱ)

댓글 0 | 조회 2,516 | 2011.08.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서는 집이 팔리는 과정 중의 마지막 단계로 광고나 집의 외관을 통해 관심을 갖게 된 고객이 집안을 살펴 보고자 하는 3차 매도 단계로 … 더보기

집을 팔기 위한 준비 (Ⅰ)

댓글 0 | 조회 2,502 | 2011.07.26
매년 이맘때쯤 되면 춥고 비가 많이 온다. 이러한 계절적 요인 때문에 겨울철에는 경기까지 위축이 되어 전통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한파가 분다. 그러나 그렇다고 집을… 더보기

Under the floor (Ⅱ)

댓글 0 | 조회 2,077 | 2011.07.13
지난 호에 이어서 마루 바닥의 공간을 관리하는 요령을 알아 보겠다.2. 단열재 집의 바닥에는 보통 perforated aluminium foil 로 단열공사가 되… 더보기

Under the floor (Ⅰ)

댓글 0 | 조회 2,328 | 2011.06.29
대부분 방갈로나 빌라 스타일의 집과 그리고 스타일은 다르나 지어진 지가 오래된 집들 중에는 집의 기초가 콘크리트로 되어 있지 않고 집을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 더보기

플라스타 하우스에 대한 잘못된 이해 (Ⅰ)

댓글 0 | 조회 3,302 | 2011.06.14
플라스타 홈하면 누수의 위험이 크다거나 주택의 유지, 보수에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어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팔기 어려운 집으로 인식되… 더보기

Renovation Boom

댓글 0 | 조회 2,140 | 2011.05.26
주택시장이 그다지 좋지 않았던 지난 2-3 년 동안 주택의 신축이 뜸해져 주택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점점 누적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택 가격… 더보기

건설업계의 인력난

댓글 0 | 조회 2,594 | 2011.05.11
2007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부동산 경기가 활발하지 못하다. 이로 인해 많은 건축과 건설, 부동산 관련 직업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다른 직종으로 바꾸거나 호주 등… 더보기

자연재해와 국내 외 정세 변화 그리고 부동상 동향(Ⅱ)

댓글 0 | 조회 2,796 | 2011.04.27
지난 호에 이어 계속되는 자연재해와 국내외의 정세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3. 각종 비용의 증가4월 1일부터 최저 임금이 인상되었다.… 더보기

자연재해와 국내 외 정세 변화 그리고 부동상 동향(Ⅰ)

댓글 0 | 조회 2,863 | 2011.04.12
하루 밤을 지나고 나기가 무섭게 지구촌 곳곳에서 연일 자연재해가 일어나고 있는 요즈음이다. 크라이스트처치의 충격이 계속되고 있는 즈음 다시 일본 발 지진과 쓰나미… 더보기

지붕 관리 요령(Ⅰ)

댓글 0 | 조회 2,609 | 2011.03.22
금새 여름인가 하더니 아침 저녁으로 제법 찬바람이 불어 오고 있다. 여름이 가고 다시 가을로, 겨울로 계절이 바뀌고 있다. 매년 우기로 접어 들면 가장 흔히 일어… 더보기

지붕에서 물이 새는 가장 흔한 경우들(Ⅱ)

댓글 0 | 조회 9,801 | 2011.03.08
지난 호에 이어서 지붕에서 물이 새는 여러 경우들을 살펴 보겠다.6. 지붕의 구조적 문제점지붕은 크게 평지붕(flat roof)와 경사가 있는 보통의 지붕(pit… 더보기

지붕에서 물이 새는 가장 흔한 경우들(Ⅰ)

댓글 0 | 조회 3,904 | 2011.02.22
며칠 전 강한 바람을 동반한 비가 내리면서 지난 약 10년간 아무 이상이 없던 집들에서 물이 새는 일들이 발생한 경우가 많이 있었다. 해마다 이런 경우가 발생이 … 더보기

렌트 집이 모자란다

댓글 0 | 조회 2,883 | 2011.02.09
연말, 연시에 렌트 집을 구해서 새로 이사해 본 사람들은 최근 렌트 집 구하기가 얼마나 힘들고 까다로운지 경험했을 것이다. 집을 팔 때에 주로 하는 오픈 홈을 하… 더보기

긴 터널의 끝은 어디인가?

댓글 0 | 조회 2,292 | 2011.01.25
지난 2007년 말 미국의 Sub-prime mortgage 사태 이후로 전세계에 불어 닥친 불경기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건축과 부동산… 더보기

One for all and all for one

댓글 0 | 조회 2,076 | 2011.01.14
지난 해 11월1일 One city one council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가지고 역사적인 거대 오클랜드 카운실이 출범하였다. 이제 막 한 달이 지나고 있는데 … 더보기

2011년 컬러 트렌드(Ⅱ)

댓글 0 | 조회 2,895 | 2010.12.22
지난 호에 이어서 건축 혹은 인테리어와 관련하여 내년에 유행할 컬러의 트렌트를 계속해서 알아 보겠다.자연을 강조하는 색.시골 풍의 느낌과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 대… 더보기

2011년 컬러 트렌드(Ⅰ)

댓글 0 | 조회 2,633 | 2010.12.07
집을 짓거나 고칠 경우에 가장 힘든 일 중 하나가 집 내, 외부의 색을 고르는 것이다. 새집인 경우에는 쉽게 페인트 칠하는 분들께 조언을 구하는 경우도 있고 각자… 더보기

Home Energy Rating Scheme

댓글 0 | 조회 2,155 | 2010.11.24
이번 호에서는 최근 정부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 Home Energy Rating Scheme 즉 주택의 열 효율 프로그램에 대하여 알아 보겠다. 매년 겨울철의 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