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타 하우스에 대한 잘못된 이해 (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플라스타 하우스에 대한 잘못된 이해 (Ⅰ)

0 개 3,294 NZ코리아포스트
플라스타 홈하면 누수의 위험이 크다거나 주택의 유지, 보수에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어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팔기 어려운 집으로 인식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정적인 견해는 플라스타 홈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서 형성된 것으로 플라스타 산업에 심한 타격을 입힐 정도로 그 여파가 심각하다. 이에 이번 호와 다음 호에 이어서 플라스타 홈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내용을 알아 보겠다.

흔히들 플라스타(Plaster)로 외장이 되어 있는 집은 누수주택(Leaky Home)이라는 등식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는 2000년 초반 플라스타 외장의 주택에서 대량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플라스타라 하는 것은 석고, 모래, 물 그리고 섬유성분을 섞어서 만든 제품으로 주로 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플라스타를 이용하면 다른 외장재로 나타낼 수 없는 다양한 형태의 아름다운 주택의 외장을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름다운 자유자재의 곡선, 각가지 형태의 기둥, 다양한 형태의 장식등 플라스타를 고집할 만한 충분한 특성이 분명히 있다.

겉보기에 플라스타로 마감된 주택들도 그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진다. 블록으로 지어진 집, 경량 콘크리트 판넬로 외장처리 된 집(Hebel), 각종 fibre cement로 외장처리 된 집, 흔히들 스티로폼이라 부르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판으로 외장처리 된 집 등에 마지막 마감을 플라스타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종류에 따라서 건축비의 차이는 천차만별이며 그 강도나 내구성 등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형태는 통상 나무로 뼈대를 짜고 그 위에 fibre cement board(Harditex, etc)를 붙이고 그 위에 플라스타를 바르는 공법이다. 이 공법에 의하면 건물 전체가 시멘트 보드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강하게 지지(bracing)해주는 효과가 있다.

누수주택이 문제화 되기 이전에는 건물의 기본 뼈대와 외장재인 시멘트보드 간에 전혀 공간(Cavity)이 떨어져 있지 않았다. 하지만 누수문제가 전국적으로 이슈가 된 이후로는 건물 뼈대와 외장재(플라스타, 벽돌, 일부 메탈재) 사이에 최소 20mm의 공간을 띄는 것(drained and vented cavity)을 의무화하였다. 외벽에 손상이 생겨서 빗물이 스며 들더라도 그 공간을 통해서 흘러 내려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그 틈을 통해서 공기가 순환됨으로 적당한 실내의 온도조절에도 도움이 되게 한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플라스타 하우스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문제는 플라스타라는 자재에 결함이 있어서가 아니라 얼마나 잘 그 작업이 이루어졌느냐 하는 문제이다. 작업 중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해서 주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집이 완공된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다.

첫째로 플라스타는 일반적으로 3번 정도의 코팅을 하게 되는데 처음 코팅을 한 후에 다음 번 코팅이 들어가기 전에 충분히 말라야 한다. 플라스타는 물을 섞어서 사용하므로 습기가 상당히 많다. 만약 이 습기가 충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코팅이 들어가게 되면 그 습기가 남아있게 되고 수주 혹은 수개월에 걸쳐서 천천히 마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에 칠해져 있던 플라스타가 먼저 마르고 습기가 많이 있는 상태로 남아있던 첫 코팅이 나중에 마르면서 외부에 있는 마른 플라스타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공사 과정 중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플라스타가 칠해진 순서대로 완전히 마른 후 다음 플라스타가 칠해지도록 진행되어야 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섹션 고르기 (Ⅱ)

댓글 0 | 조회 1,876 | 2012.03.27
지난 호에 이어서 섹션 고를 때의 주의 사항을 알아본다. 4. 이웃주민들은 주로 어떤 사람들인지 확인한다. 애완동물들을 많이 키워서 소음이 지장을 주는 경우도 있… 더보기

섹션 고르기 (Ⅰ)

댓글 0 | 조회 2,072 | 2012.03.14
최근 신규 주택의 공급이 모자라는 상황에서 섹션 투자 및 섹션 구입 후 집을 지으려고 하는 사람들의 문의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섹션을 고를 때 주의해야 할… 더보기

Granny Flat

댓글 0 | 조회 2,658 | 2012.02.29
‘Granny Flat’이 단어를 말 그대로 해석하면 할머니가 사는 작은 집이라 할 수 있다. 실제는 주택의 한 켠에 방 한 두 개와 작은 … 더보기

부동산 2012

댓글 0 | 조회 2,322 | 2012.02.14
긴 여름 휴가와 Auckland Anniversary와 Waitangi Day 등의 연휴도 지나갔고 이제는 모든 사람들이 일상으로 돌아온 것 같다. 2012년은 … 더보기

옥션으로 집 구입하기 (Ⅱ)

댓글 0 | 조회 5,988 | 2012.02.01
지난 호에서는 auction에서 집 사기에 관한 tip 중에서 첫째로 구입하고자 하는 주택의 시장 가치를 잘 파악하고 나의 예산이 얼마인지를 정해야만이 안전한 예… 더보기

옥션으로 집 구입하기 (Ⅰ)

댓글 0 | 조회 2,313 | 2012.01.18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 한 해 모든 교민 가정에 만복이 가득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지난 해의 마지막 기사에서 auction으로 집을 파는 방법에 관해서 알아… 더보기

옥션으로 집 팔기 (Ⅱ)

댓글 0 | 조회 2,622 | 2011.12.24
지난 호에서 알아 본 auction은 단순히 경매 현장(under the hammer)에서만 부동산을 매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3단계에 걸쳐… 더보기

GOING, GOING, GONE!

댓글 0 | 조회 1,942 | 2011.12.13
부동산 매매에서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마케팅 방법으로 auction에 의한 매매 방법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채권 회수를 위한 방법으로 법원이 채… 더보기

LIM 리포트 (Ⅱ)

댓글 0 | 조회 2,337 | 2011.11.22
지난 주에 이어서 LIM (Land Information Memorandum) report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다. 지난 주에 알… 더보기

LIM 리포트

댓글 0 | 조회 2,618 | 2011.11.08
거의 모든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필수적으로 붙는 특별조항의 하나가 LIM 조건이다. Land Information Memorandum이라고 불리는 LIM은 간단히… 더보기

빌더스 인스펙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2,520 | 2011.10.26
주택 매매를 할 때에 계약이 체결된 후에 취소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최근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 더보기

전원일기 (Ⅲ)

댓글 0 | 조회 2,370 | 2011.10.12
5. 양의 관리또한 양에 대한 관리도 필수적이다. 가지고 있는 땅의 넓이에 따라 적당한 수의 양을 키우는데 양이 풀을 뜯어 먹어 주기 때문에 전체 땅에 잔디를 깎… 더보기

전원일기 (Ⅱ)

댓글 0 | 조회 2,330 | 2011.09.28
지난 호에 이어서 전원주택 구입시 자세히 확인하여야 할 사항과 전원주택에서 살게 될 때 실제 생활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 가지 일과 주의점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 더보기

전원일기 (Ⅰ)

댓글 0 | 조회 2,432 | 2011.09.14
대부분 고층 아파트가 주를 이루는 도시에서 살아왔던 우리 교민들에게 뉴질랜드의 단독주택은 전원일기를 보면서 느꼈던 전원주택에 대한 동경을 어느 정도 만족시켜 준다… 더보기

돈 되는 집 (Ⅰ)

댓글 0 | 조회 4,555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돈 되는 집 즉 투자가치가 있는 집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특별히 투자용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현재 살고 있는 집 혹은 단순 주거용 주… 더보기

겨울철 부동산 전략 (Ⅱ)

댓글 0 | 조회 2,507 | 2011.08.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서는 집이 팔리는 과정 중의 마지막 단계로 광고나 집의 외관을 통해 관심을 갖게 된 고객이 집안을 살펴 보고자 하는 3차 매도 단계로 … 더보기

집을 팔기 위한 준비 (Ⅰ)

댓글 0 | 조회 2,495 | 2011.07.26
매년 이맘때쯤 되면 춥고 비가 많이 온다. 이러한 계절적 요인 때문에 겨울철에는 경기까지 위축이 되어 전통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한파가 분다. 그러나 그렇다고 집을… 더보기

Under the floor (Ⅱ)

댓글 0 | 조회 2,068 | 2011.07.13
지난 호에 이어서 마루 바닥의 공간을 관리하는 요령을 알아 보겠다.2. 단열재 집의 바닥에는 보통 perforated aluminium foil 로 단열공사가 되… 더보기

Under the floor (Ⅰ)

댓글 0 | 조회 2,318 | 2011.06.29
대부분 방갈로나 빌라 스타일의 집과 그리고 스타일은 다르나 지어진 지가 오래된 집들 중에는 집의 기초가 콘크리트로 되어 있지 않고 집을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 더보기

현재 플라스타 하우스에 대한 잘못된 이해 (Ⅰ)

댓글 0 | 조회 3,295 | 2011.06.14
플라스타 홈하면 누수의 위험이 크다거나 주택의 유지, 보수에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어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팔기 어려운 집으로 인식되… 더보기

Renovation Boom

댓글 0 | 조회 2,132 | 2011.05.26
주택시장이 그다지 좋지 않았던 지난 2-3 년 동안 주택의 신축이 뜸해져 주택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점점 누적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택 가격… 더보기

건설업계의 인력난

댓글 0 | 조회 2,582 | 2011.05.11
2007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부동산 경기가 활발하지 못하다. 이로 인해 많은 건축과 건설, 부동산 관련 직업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다른 직종으로 바꾸거나 호주 등… 더보기

자연재해와 국내 외 정세 변화 그리고 부동상 동향(Ⅱ)

댓글 0 | 조회 2,786 | 2011.04.27
지난 호에 이어 계속되는 자연재해와 국내외의 정세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3. 각종 비용의 증가4월 1일부터 최저 임금이 인상되었다.… 더보기

자연재해와 국내 외 정세 변화 그리고 부동상 동향(Ⅰ)

댓글 0 | 조회 2,855 | 2011.04.12
하루 밤을 지나고 나기가 무섭게 지구촌 곳곳에서 연일 자연재해가 일어나고 있는 요즈음이다. 크라이스트처치의 충격이 계속되고 있는 즈음 다시 일본 발 지진과 쓰나미… 더보기

지붕 관리 요령(Ⅰ)

댓글 0 | 조회 2,597 | 2011.03.22
금새 여름인가 하더니 아침 저녁으로 제법 찬바람이 불어 오고 있다. 여름이 가고 다시 가을로, 겨울로 계절이 바뀌고 있다. 매년 우기로 접어 들면 가장 흔히 일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