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 청소년기의 올바른 이성교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3] 청소년기의 올바른 이성교제

0 개 2,425 KoreaTimes
  사춘기는 아이로부터 어른으로 옮기는 과도기로서 청소년들이 이성과 성에 눈뜨는 시기이다. 성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고 시각적, 촉각적으로 직접 그것을 체험하고 싶은 욕망이 강하게 일어나 이성과의 악수, 포옹, 키스 등을 갈망하게 된다. 이 같은 성적욕구 및 성충동이 강하게 발동하는 시기에 이것을 건전하고 보람있는 방향으로 승화시키지 못하면 불량청소 년들과 어울리게 되어 불순한 이성교제를 하게 될 수도 있다.

① 부모들이 이성교제를 나쁜 짓으로 간주해 버리거나, 공개적으로 이성을 만나는 것마저도 위험시하여 무조건 금지 시키게 되면, 오히려 반발심을 불러 일으켜 점점 더 이성교제에 몰입하게 되고 또 어른들을 피하여 남몰래 관계를 계속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② 어려서부터 부모에게서 애정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자란 아이들은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애정욕구를 부모 대신 이성의 사랑에서 구하는 경향이 있다.

③ 성에 관한 선정적인 포르노물이 범람하면서 청소년들이 포르노잡지, 사진 등 음란서적이나 성감을 자극하는 영화, 비디오 등에 손쉽게 접하게 되어 청소 년들이 이에 자극받아 성적 유희 또는 성적 쾌락을 추구하게 됨으로써 불순한 이성교제로 빠져 들게 된다.

  ※대책※

  아이들이 이성교제를 통해서 건강하게 자신을 발전 시키고 상대의 성을 이해하는 좋은 경험을 만들게끔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성 행동을 하지 않으면서 이성 친구를 사귀는 것이 아이들에게는 어울리고 또한 적절한 방식이다.

① 자녀의 이성교제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이해하려는 자세가 되어야 한다. 규제하려는 자세에서 벗어나 건전한 교제가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려는 자세로 변해야 아이들도 부모를 신뢰하고 따르게 된다.

② 이성교제를 조건부로 허락해 주고 건전하게 교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사춘기에 처해 있는 남녀의 교제는 오늘날과 같은 개방사회에서 막을 수 있는 방법도 찾기 어렵고 금지시킬 방법도 없으므로, 차라리 조건부로 허락해 주고 건전하게 교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불순이성교제를 방지하는 길이 된다. 그 조건부란 아이들로부터 학업에 대한 문제와 교제의 한계에 대한 확실한 다짐을 받아 두고 허용 하는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학업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 것과 이성문제는 반드시 부모와 의논할 것이며 공개적으로 교제한다는 약속이다. 부모가 늘 대화를 통해 서로의 관심사를 터놓고 의논할 수 있게 분위기를 조성해 준다면 불순이성교제는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③ 자신이 남자친구를 좋아한다는 우정과 남자친구가 자기를 이성으로 원하고 있다는 사랑의 개념을 먼저 설명해 혼동을 극복할 수 있게 해 준다. 우정은 서로에 대한 신뢰성과 공유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지만 사랑은 서로에 대한 독점성과 책임감을 동반한다는 사실을 대화로써 일깨워 줘야 한다. 때문에 남자친구가 나를 좋 아하는 감정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여 우정을 나누는 친구의 자세와 사랑을 나누는 이성의 자세 중 자녀가 판단하도록 조언을 해주는게 부모가 해야 할 일이다.

④ 남녀가 느끼는 성의식의 차이를 분명하게 구별해 줄 필요가 있다.

- 남자는 시각과 접촉에 의해서 성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여자는 느낌과 분위기로 이해하려고 한다.

- 남자는 성에 대해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경향이 있지만, 여자는 소극적이고 인내하는 경향이 강하다.

- 남자는 이성과 하나가 되기를 좋아하지만, 여자는 같이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을 느낄 수 있다.

⑤ 부모의 애정과 신뢰 그리고 따뜻한 손길이 필요 하다. 자녀가 병적이라 할 만큼 이성교제에 집착하게 되었다면 그것은 어려서 부모로부터 인정, 관심, 애정을 충분히 받지 못했기 때문에 부모대신 이성에서 애정을 찾으려 하는 것이다. 충분한 부모의 애정 속에서 자란 아이에게는 비행 행동이 불가능한 것이 된다.

아이의 휴대폰 사용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댓글 0 | 조회 1,987 | 2008.12.24
요즘 청소년들 대부분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한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의 90%는 온종일 휴대폰을 손에서 내려놓지 않는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수업시간에… 더보기

아이가 부쩍 거짓말이 늘었습니다

댓글 0 | 조회 1,799 | 2008.12.10
청소년들이 거짓말 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자신의 행동을 사실대로 이야기 하면 부모님께 혼이 나거나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가 … 더보기

육아에서 성공하는 여성들의 3가지 리더쉽 원칙

댓글 0 | 조회 1,922 | 2008.11.26
첫 번째 원칙. 아이에게 신뢰감을 심어주어라.=> 아이를 지배하려 하지 말고 내버려두라. 그러나 진짜 중요한 문제는 타협하지 말고 원칙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 더보기

맞벌이 엄마가 알아두어야 할 교육 원칙 3가지

댓글 0 | 조회 1,877 | 2008.11.10
아이에게 엄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온종일 아이 곁에 붙어 있으면서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어떤 훌륭한… 더보기

뭐든 쉽게 포기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2,117 | 2008.10.30
끈기가 없고, 조금만 어렵다 싶으면 쉽게 포기하고 쉬운 길만 찾으려하며, 공부뿐만 아니고 전반적인 생활에서 책임감이라곤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는 아이, 자기 일을… 더보기

화를 잠재우는 생활수칙

댓글 0 | 조회 2,387 | 2008.10.15
아이에게 화를 내고 난 다음, 많은 부모들은 후회한다. 아이가 입었을 ‘마음의 상처’와 깊어진 ‘감정의 골’을 걱정하고, 화내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지 … 더보기

10대를 최고로 사랑하는 5가지 방법

댓글 0 | 조회 2,048 | 2008.09.24
1. 자신의 십대 시절을 떠올려 보라중학교와 고등학교 시절을 기억하는가? 그때 무엇을 생각하고 느꼈는가? 중요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어떤 점이 달랐더라면 좋았을 … 더보기

늑장부리는 버릇을 고치려면?

댓글 0 | 조회 1,893 | 2008.08.27
아침이면 늑장 부리는 아이가 걱정스럽기도 하고 때로 그런 모습에 답답해지기도 하시고 아침부터 이것저것 챙기고 신경 써야 하니까 매일 아침이 전쟁터 일 것 같습니다… 더보기

자녀들에게 “본데”를 보여줍시다

댓글 0 | 조회 1,932 | 2008.08.14
자녀들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싶으십니까 ? 그러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여러분들 스스로가 행복하게 살아가시는 것입니다. 부모가 어떠한 상황에도… 더보기

갑자기 바뀐 아이, 사춘기 인가요?

댓글 0 | 조회 1,703 | 2008.08.01
사춘기는 자녀의 일생에 있어서 큰 변화의 시기입니다. 신체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태도와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변화, 부적절감, 자기중심적 태도 그리고 가… 더보기

[384] 통제할 것인가? 허용할 것인가?

댓글 0 | 조회 1,666 | 2008.07.08
“아이가 매일 게임을 하게 해달라고 조르는데 하도록 해야 하나요? 못하게 해야 하나요?” “애가 다른 애들이랑 어울리는 걸 싫어하고 혼자 그림만 그리려고 해요. … 더보기

[383] 어른에게 버릇없이 구는 아이

댓글 0 | 조회 1,899 | 2008.06.25
예절은 지식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며 어릴 때부터 몸에 배여 있어야 어른이 되어서도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부모는 자녀에게 사람으로서 당연히 … 더보기

[382] 게임에 빠져있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83 | 2008.06.10
요즘 애들이 다 그러니까 하고 넘어가기에는 정도가 너무 지나칠 정도로 계임에만 빠져있고, 휴일이나 방학 때면 집에 있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인지, 잔소리를 하지 … 더보기

[381] 공부할려고 해도 다른 것만 생각이 난다

댓글 0 | 조회 1,647 | 2008.05.28
*원인 공부가 안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로 몸이 안 좋거나 피곤하면 공부에 집중이 안되고 공부가 안될 수 있다. 둘째, 특별히 신경 쓰이는… 더보기

[380] 아이의 자존감 어떻게 하면 키워지나요?

댓글 0 | 조회 1,782 | 2008.05.13
아이들은 성숙해가면서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고 자존감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자기 자신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타인으로부터 전해지는 피드백들을 고려하기 시작한다… 더보기

[379] 칭찬 없이 아이는 자랄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754 | 2008.04.23
칭찬은 정보다. 어린 아이가 자신이 한 행동이 적절한지에 대한 판단을 하는 데 다른 사람의 반응이 필요하다. 어릴 때는 부모가 주로 아이행동에 대해 반응을 하게 … 더보기

[378] 반항이 심해진 아이

댓글 0 | 조회 1,950 | 2008.04.08
그동안 부모의 말을 잘 들었던 것 같은 아이라고 해도 사실 속으로는 자신의 마음을 잘 헤아려 주지 않고 자신의 겉모습만 보고 "안돼"만을 외치는 부모에게 꽤 오랜… 더보기

[377] 수줍어서 친구를 피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62 | 2008.03.26
아이들 중에는 간혹 친구들과 잘못 어울리는 아이들이 있다. 요새 아이들은 친구들과 어울려 지낸 경험이 부족한데 갑자기 많은 또래들을 만나 어찌할 바를 모르고 수줍… 더보기

[376] 형제간의 우애를 키우려면?

댓글 0 | 조회 2,008 | 2008.03.11
형제자매가 둘 이상인 가정에는 아이들의 다툼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형제자매 수가 적을수록 싸움의 정도는 더 심하다. 형제간의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지 못하고 그냥… 더보기

[375] 성격에 따른 자녀학습 지도방식

댓글 0 | 조회 1,679 | 2008.02.26
성격이란, 타고난 것도 있고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기도 하며 또한 본인이 잘 알고 있는 것도 있고 전혀 알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 이렇게 복잡하고 미묘한 성격… 더보기

[374] 계획성 있게 시간을 잘 활용 하려면?

댓글 0 | 조회 1,576 | 2008.02.12
여행을 위해서 가방을 쌀 경우 짐들을 그냥 쑤셔 넣을 때 보다는 차곡차곡 정리해서 넣었을 때 짐이 더 많이 들어갔던 경험을 누구나 해 봤을 것이다. 삶도 마찬가지… 더보기

현재 [373] 청소년기의 올바른 이성교제

댓글 0 | 조회 2,426 | 2008.01.31
사춘기는 아이로부터 어른으로 옮기는 과도기로서 청소년들이 이성과 성에 눈뜨는 시기이다. 성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고 시각적, 촉각적으로 직접 그것을 체험하고 싶은 … 더보기

[372] 꿈은 있으나 노력하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528 | 2008.01.15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비슷한 이유로 성공한다. 반대로, 실패하는 사람들 역시 비슷한 이유로 실패하게 된다. 각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살펴보면 공통점이 있다. … 더보기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730 | 2007.12.20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대해서 생각할 줄 모르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들은 남을 의식하지 않고, 자기 밖에 모르며, 버릇없이 제멋… 더보기

[370] 아이에게 알맞은 적성 찾아 주기

댓글 0 | 조회 1,727 | 2007.12.11
※원인※ 부모들은 모두 자녀의 행복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사실 자녀교육의 중심에는 진로 대신 오직 진학에 대한 관심만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형편이다. 오직 성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