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개 1,734 KoreaTimes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대해서 생각할 줄 모르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들은 남을 의식하지 않고, 자기 밖에 모르며, 버릇없이 제멋대로 행동합니다. 결국 이런 아이는 남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가 없고 또 또래집단이나 친구들로부터도 환영받지 못하고 소외되기 마련입니다. 그것은 부모가 자녀만 아끼고 사랑할 줄 알았지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가르쳐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대책 ※

① 이기적인 아이를 가진 부모는 우선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 태도부터 바꾸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아이의 이기적 태도를 부추기는 흔하지만 잘 드러나지 않는 원인들이 있을 것입니다. 지나친 애정은 아이로 하여금 자기 밖에 모르는 이기 주의자로 자라나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② 자기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 미칠 영향을 생각해 보도록 교육시켜야 합니다.

- 아이의 이기심을 통제하는 첫 단계는 그러한 태도를 보였을 때 참고 지나가지 않는 것입니다. 이제까지 해 왔던 방향과는 달리 아이의 태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단호하고 굽힘이 없음을 행동으로 보여 줘야 합니다. 아이의 이기적인 태도가 계속된다면 그에 따르는 대가가 있음을 확실히 언급하고 실천하도록 합니다. 자기 밖에 모른다는 것은 곧 다른 사람의 입장이나 사정을 생각하는 마음이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 냅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그 행동으로 인하여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지를 보도록 가르쳐야 합니다.

③ 이해심은 기르고 이기심은 줄이도록 합니다.

- 이해심이 많은 아이들은 타인의 감정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그들 행동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해심이 많은 아이들은 다른 사람과 '느낌을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관대하게 타인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④ 자신의 욕구를 적절하게 자제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 아이가 이기적이게 되는 한 가지 이유는 그들이 자신의 방식에 익숙해졌기 때문입니다. 계속 그런 식으로 지내게 내버려 두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어떤 욕구든지 언제나 즉각적으로 충족되는 상황을 마련하기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아이는 자기의 욕구를 적절하게 참고 견디는 법을 배워야 사회생활에 적응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자녀가 원하는 대로 다 들어줄 것이 아니라 선별해서 들어줄 것은 들어주고 들어줄 수 없는 것은 포기하도록 하는 확고한 양육태도를 지녀야 합니다. 또 때로는 들어줄 필요가 있는 것이라 해도 일단 적당한 시간이 지난 다음에 해결해 줌으로써 참고 자제하는 훈련을 시켜야 합니다.

⑤ 이타심을 강화합니다.

- 이기적이지 않고 타인을 배려하는 아이의 부모들은 우연히 그런 자녀를 갖게 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의식적으로 아이들에게 타인의 권리와 기분, 생각을 인식하도록 가르쳐 왔습니다. 이타심을 기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아이 속에 있는 사려 깊고 사심 없는 행동을 발견해서 이야기 해 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네가 동생에게 그 CD를 주다니 참 잘했다. 이제 너에게는 그 CD가 별로 필요치 않고, 동생에게 필요한 것이니 얼마나 잘 된 일이니?”

말대꾸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2,591 | 2009.06.24
아이가 부모의 말에 고박꼬박 대답하는 건 자아의식이 싹트거나 뚜렷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당하게 자기 의견을 제시하고 억울한 느낌을 표현하는 경우입니다. 아이… 더보기

저도 공부 잘하고 싶어요

댓글 0 | 조회 2,165 | 2009.06.10
“어떻게 하면 공부 잘 할 수 있어요?” 일년에도 수없이 듣는 말 중의 하나이다. 누구나 잘하고 싶은 공부가 왜 그리 어렵단 말인가? 무엇 때문에 남들은 잘하는 … 더보기

미래에 촉망받는 인재

댓글 0 | 조회 2,356 | 2009.05.27
‘세계적 미래학자 3인이 말하는 앞으로 5~10년후 쯤 미래에는 어떤 인재가 촉망받을까?미래학자 다니엘 핑크는 ‘하이컨셉트(High-concept)를 중시하고 개… 더보기

우리아이 독서왕으로 만드는 7가지 비결

댓글 0 | 조회 2,149 | 2009.05.14
아이들은 놀이가 삶이다. 놀면서 호기심도 생기고 하고 싶은 것도 생긴다. 그러니 책도 놀면서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으면 된다. 아이들이 책과 친해지려면 책 읽기도… 더보기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946 | 2009.04.28
아이를 양육하는 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는 아마 없을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하는 게 잘 키우는 것일까? '잘 키우는 것'에 대해 만인이 수긍할 만한 정답은 아직 없… 더보기

책벌레가 되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990 | 2009.04.16
미국의 유명한 독서 전문가인 버니스 컬리넌은 “자녀에게 책 읽는 버릇을 길러 주는 일은 놀라운 마법을 물려주는 것과 같다.” 라고 하였습니다. 책을 통해서 얻게 … 더보기

Reading skill

댓글 0 | 조회 2,100 | 2009.03.25
읽기 실력(Reading skill) 개발을 위하여 부모님이 하실 수 있는 8가지 습관들을 관찰하시고 자녀들에게 좋은 읽기 습관을 들이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1… 더보기

올바른 TV시청 습관 만들기

댓글 0 | 조회 1,966 | 2009.03.11
습관이 아닌 선택가장 중요한 것은 TV 시청을 '습관'이 아닌 '선택'으로 만드는 것. 아침에 일어나서 맨처음 TV를 켜고 가족이 밥먹을 때나 얘기를 나눌 때도 … 더보기

계획성 있게 시간을 잘 활용 하려면?

댓글 0 | 조회 1,781 | 2009.02.25
여행을 위해서 가방을 쌀 경우 짐들을 그냥 쑤셔 넣을 때 보다는 차곡차곡 정리해서 넣었을 때 짐이 더 많이 들어갔던 경험을 누구나 해 봤을 것이다. 삶도 마찬가지… 더보기

독해력 증진방법

댓글 0 | 조회 2,164 | 2009.02.11
● 직독직해는 독해의 생명영어의 우리말화(化)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모두의 적(敵)초보자들은 영어, 특히 긴 문장을 읽으며 중간 중간 의미 단락별로 끊어… 더보기

책 읽었는데 기억이 안 난다?

댓글 0 | 조회 2,043 | 2009.01.29
원인첫째, 목표가 없는 '맹목적인 독서', 즉 책을 읽을 때 마구잡이로 읽으면 머리에 남는 게 없다. 전체적으로 급하게 읽어 내려가는 것에만 치중해 자신이 어떤 … 더보기

아이를 변화시키고 싶다면 부모부터 달라지자

댓글 0 | 조회 1,839 | 2009.01.14
기회비용을 잘 따져서 부모가 선택하라. 우리나라 부모들을 보면 자녀 교육에 열성이다. 당장 아이를 학원을 보내야 하나 말아야 하나의 선택에서부터, 어떤 마인드로 … 더보기

아이의 휴대폰 사용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댓글 0 | 조회 1,997 | 2008.12.24
요즘 청소년들 대부분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한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의 90%는 온종일 휴대폰을 손에서 내려놓지 않는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수업시간에… 더보기

아이가 부쩍 거짓말이 늘었습니다

댓글 0 | 조회 1,806 | 2008.12.10
청소년들이 거짓말 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자신의 행동을 사실대로 이야기 하면 부모님께 혼이 나거나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가 … 더보기

육아에서 성공하는 여성들의 3가지 리더쉽 원칙

댓글 0 | 조회 1,926 | 2008.11.26
첫 번째 원칙. 아이에게 신뢰감을 심어주어라.=> 아이를 지배하려 하지 말고 내버려두라. 그러나 진짜 중요한 문제는 타협하지 말고 원칙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 더보기

맞벌이 엄마가 알아두어야 할 교육 원칙 3가지

댓글 0 | 조회 1,880 | 2008.11.10
아이에게 엄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온종일 아이 곁에 붙어 있으면서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어떤 훌륭한… 더보기

뭐든 쉽게 포기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2,122 | 2008.10.30
끈기가 없고, 조금만 어렵다 싶으면 쉽게 포기하고 쉬운 길만 찾으려하며, 공부뿐만 아니고 전반적인 생활에서 책임감이라곤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는 아이, 자기 일을… 더보기

화를 잠재우는 생활수칙

댓글 0 | 조회 2,389 | 2008.10.15
아이에게 화를 내고 난 다음, 많은 부모들은 후회한다. 아이가 입었을 ‘마음의 상처’와 깊어진 ‘감정의 골’을 걱정하고, 화내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지 … 더보기

10대를 최고로 사랑하는 5가지 방법

댓글 0 | 조회 2,053 | 2008.09.24
1. 자신의 십대 시절을 떠올려 보라중학교와 고등학교 시절을 기억하는가? 그때 무엇을 생각하고 느꼈는가? 중요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어떤 점이 달랐더라면 좋았을 … 더보기

늑장부리는 버릇을 고치려면?

댓글 0 | 조회 1,899 | 2008.08.27
아침이면 늑장 부리는 아이가 걱정스럽기도 하고 때로 그런 모습에 답답해지기도 하시고 아침부터 이것저것 챙기고 신경 써야 하니까 매일 아침이 전쟁터 일 것 같습니다… 더보기

자녀들에게 “본데”를 보여줍시다

댓글 0 | 조회 1,936 | 2008.08.14
자녀들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싶으십니까 ? 그러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여러분들 스스로가 행복하게 살아가시는 것입니다. 부모가 어떠한 상황에도… 더보기

갑자기 바뀐 아이, 사춘기 인가요?

댓글 0 | 조회 1,707 | 2008.08.01
사춘기는 자녀의 일생에 있어서 큰 변화의 시기입니다. 신체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태도와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변화, 부적절감, 자기중심적 태도 그리고 가… 더보기

[384] 통제할 것인가? 허용할 것인가?

댓글 0 | 조회 1,669 | 2008.07.08
“아이가 매일 게임을 하게 해달라고 조르는데 하도록 해야 하나요? 못하게 해야 하나요?” “애가 다른 애들이랑 어울리는 걸 싫어하고 혼자 그림만 그리려고 해요. … 더보기

[383] 어른에게 버릇없이 구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05 | 2008.06.25
예절은 지식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며 어릴 때부터 몸에 배여 있어야 어른이 되어서도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부모는 자녀에게 사람으로서 당연히 … 더보기

[382] 게임에 빠져있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87 | 2008.06.10
요즘 애들이 다 그러니까 하고 넘어가기에는 정도가 너무 지나칠 정도로 계임에만 빠져있고, 휴일이나 방학 때면 집에 있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인지, 잔소리를 하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