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주는 대화요령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주는 대화요령

0 개 1,471 jj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중요성은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는 바입니다. 대화의 수준이나 질은 부모-자녀 관계의 수준이나 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첫째 대화법의 요령은 자녀의 이야기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합니다. 부모의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자녀의 마음을 이해하고자 하는 관심입니다. 부모들은 자녀가 어떤 어려움이나 고민을 이야기하면 당장 해결해 주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질수 있으나 자녀의 대부분의 고민이나 어려움은 해결을 원하는 것보다 곁에서 관심을 갖는 누군가가 있다는 확인만으로도 사라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자녀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들이 자녀의 이야기를 듣지만 최종 목적은 자녀의 의견을 이해하기 위해서 듣기보다는 자녀의 생각을 올바르게 고쳐주기 위해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자녀들은 생각의 잘잘못을 이미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부모가 보기에 잘못된 생각을 자녀가 굳이 고집하는 것은 자기 생각을 주장하기 위해서라기보다 독립적인 자기를 표현하고자함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부모에게 필요한 대화의 자세는 자녀도 부모와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는 독립적인 한 주체라는 것을 인정해 줄 수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독립적인 한 주체라는 것이 부모에 의해 인정이 되면 자녀는 자신의 생각에 대한 고집을 스스로 철회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세 번째로 자녀의 감정에 귀기울이는 것입니다. 대화는 의사표현의 수단이기도 하지만 정서교류의 수단이기도 합니다. 대화를 통해 긍정적이든 부정이든 서로의 감정을 표현하게 됩니다. 그런데 감정표현은 직접적으로 표현되기보다 간접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아주 세심한 관심을 갖고 듣지 않으면 잘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감정의 자각과 표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눌리면 건강을 잃게 되고 대인관계의 장애를 가져 오기도 합니다. 자녀가 부모에게 감정표현을 하면 부모는 무례하다고 느껴 자녀를 억압하게 되고, 이 오랫동안 눌려온 감정이 갑자기 표출되면서 더 무례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것을 무조건 책망하기 보다 그 마음을 우선 이해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녀의 마음이 다 받아들여지고 나서 그 무례한 감정표현 방식에 대해 가르쳐야 합니다. 
 
많은 부모들이 자녀가 도대체 자기 속마음을 열지 않는다고 답답해하고 서운해합니다. 이런 경우 대체로 부모도 자녀에게 자신의 삶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부분의 부모-자녀간의 대화는 자녀가 뭘 잘 못했을 때나 아니면 잘 못되어 가는 징조가 있을 때 자녀의 행동을 문제삼아 타이르거나 야단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녀가 대화를 기피하고 부모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서로 관계가 서먹서먹하면 자녀에 대한 이야기를 초점에서 제쳐 두고 자녀와 관련 없는 이야기로 대화를 트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 인간으로서 솔직하고 자연스런 마음을 꺼내서 보여주는 것이 자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길입니다.

부모-자녀 대화의 장애는 부모의 감정이 고조되고 스트레스가 높을 때 자녀의 어떤 행동을 빌미로 자녀에게 쏟아 붓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그리고 명목상으로는 자녀의 잘못 때문에 부모가 화가 나고 속상하다고 덮어씌웁니다. 그렇게 되면 부모의 감정을 뻔히 알고 있는 자녀는 그것을 수긍하지 못합니다. 속으로는 반발하고 싶지만 참거나 겉으로 듣는 척하고 귀를 막고 있습니다.  

대화는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조종하기 위한 수단이 아닙니다. 대화는 서로 긴밀한 사람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피어나는 꽃입니다. 서로의 관계를 돈독하게 유지하기 위해 대화에 힘쓸 때 자녀는 그 관계 속에서 영양분을 섭취하여 자기 삶을 건강하게 가꾸어 나갑니다.
 

내 청춘을 돌려다오

댓글 0 | 조회 2,563 | 2011.12.23
20대 적 소시적에 그래도나 먹어줬네미모몸매 중간은가 대한민국 표준이라 따라다닌 남자들이 많잖아도 적진않네 때됐구나 신랑만나 인연인가 결혼하고 꿀맛같은 신혼시절 … 더보기

엄마라는 이름으로 에너지 업!

댓글 0 | 조회 2,055 | 2011.12.14
좋은 재료만 골라 정성껏 만든 밥을 삼시 세끼 대령하고, 매일 같이 재미난 곳에 가서 신나게 놀아주니 신선 놀음이 따로 없을 것 같은데 왜 짜증이 나는 건지 참 … 더보기

아들아 너는 자랑스런 한국인이다

댓글 0 | 조회 2,159 | 2011.11.23
동글동글 큰 눈에 갸름한 얼굴. 뽀얀 피부에 우월한 기럭지. 월령에 비해 말도 잘하는데다 개월 수도 비슷한 여자 아이를 만났다. 카시트에 나란히 앉혀 놓으니 우리… 더보기

누구를 위해 개인기를 가르치나

댓글 0 | 조회 1,862 | 2011.11.09
‘자, 사진 찍자~ 아들, 브이~’ 헉. 우리 아들보다 생일이 3주 늦은 친구인데 사진기를 들이대고 브이~ 하라니까 손바닥을 예쁘게 펴서 얼… 더보기

쿨하게~ 쿨하게~

댓글 0 | 조회 1,996 | 2011.11.09
“아~ 맛있는 밥이당. 냠냠 맛있게 먹자아~” 즐겁고 의욕 충만하게 시작되는 식사 시간이다. “야아~ 왜에~ 좀 먹어보자아~ 엄마… 더보기

세상에 모든 김여사님들을 존경합니다

댓글 0 | 조회 1,830 | 2011.11.09
‘헬로우~’ 왠 키위가 전화와서는 내 이름을 확인하더니 다짜고짜 지금 지갑에 신용카드가 있냐고 묻는다. ‘어.. 음.. 글쎄&he… 더보기

정말 다 듣고 있었던거니

댓글 0 | 조회 1,883 | 2011.11.09
아… 며칠째 잠 못 이루고 뒤척거리는 밤이 이어지고 있다. 밤중 수유를 끊어야지 라고 결심한 뒤부터 이런 저런 걱정에 잠까지 설칠 지경이라니&hell… 더보기

못난 초보 엄마는 오늘도 운다

댓글 0 | 조회 2,145 | 2011.11.09
“우엉.. 엄마도 죽겠다고… 너만 힘든거 아니라고… 나도 힘들어 죽을거 가터.. 엉엉…” 짜증에 겨워서… 더보기

자존감이 낮은 아이(Ⅰ)

댓글 0 | 조회 1,607 | 2013.11.26
자존감이 낮은 아이의 특성 아이들 중에는 흔히 “난 아무 것도 할 수 없어요”, “사람들이 날 좋아하지 않아요”, &l… 더보기

완벽주의적인 아동

댓글 0 | 조회 1,673 | 2013.11.12
자기가 해야 할 일을 잘 하고 있는데도 만족하지 못해서 우울해하거나, 실패할까봐 아예 시도하지 않으려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많은 경쟁 속에서 이기고 다… 더보기

사이버 중독(Ⅱ)

댓글 0 | 조회 992 | 2013.10.22
인터넷 중독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 아이 자신이 인터넷에 중독되었다는 것을 알기는 어렵기 때문에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건전하게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 더보기

사이버 중독(Ⅰ)

댓글 0 | 조회 1,009 | 2013.10.08
중독이라는 것은 특정 행위나 대상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그 행동을 지속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갖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중독은 내성 때문에 점차 더 강한 자극을 … 더보기

우울한 아동(Ⅱ)

댓글 0 | 조회 988 | 2013.09.25
아동기 우울증 관찰 및 우울증의 원인 아동이나 청소년의 우울증상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일회적인 것인지 계속 재발될 것인지 구분하기는 상당히 어렵고… 더보기

우울한 아동(Ⅰ)

댓글 0 | 조회 1,062 | 2013.09.10
요즘 남녀노소 구분 없이 성인들의 우울증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우울증은 슬픔, 죄책감, 무기력, 무감각, 수면 및 섭식장애, 자기비난과 낮은 활동성,… 더보기

학교 공포증

댓글 0 | 조회 1,560 | 2013.08.27
평소에 학교에 가기 싫다고 말하는 아이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아이들은 학교에 가기 싫어서 머리나, 배가 아프다고 하는 등 꾀병을 부리기도 합니다. 아이… 더보기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우기!

댓글 0 | 조회 1,278 | 2013.08.13
요즘은 자기만 아는 이기적인 아이들이 많습니다. 자녀를 단촐하게 낳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양보심과 협동심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자란 아이들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더보기

좋은 공부습관을 들여주기

댓글 0 | 조회 1,332 | 2013.07.23
요즘 엄마들은 스스로 자녀의 ‘매니저’라 부릅니다. 시험제도를 꿰뚫고 발빠르게 학원 정보 등을 수집해 자녀에게 최상의 학습 환경을 만들어 준… 더보기

현재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주는 대화요령

댓글 0 | 조회 1,472 | 2013.07.09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중요성은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는 바입니다. 대화의 수준이나 질은 부모-자녀 관계의 수준이나 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첫째… 더보기

머리는 좋은데 공부 잘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172 | 2013.06.25
“우리 아이는 머리는 좋은데 공부를 잘 못하는 것 같아요”, “우리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것을 보면 학습장애 인가봐요”… 더보기

산만한 아이를 키우는 부모가 지켜야 할 10가지 원칙

댓글 0 | 조회 1,368 | 2013.06.11
1. 아이의 행동에 될 수 있는 한 빨리 반응해 주세요. 상을 주거나 가벼운 벌을 줄 때는 즉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잘 하고 있으면, 즉각 칭찬과 인정해… 더보기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아이로 키우세요

댓글 0 | 조회 1,048 | 2013.05.28
존중(Respect)은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현대에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또 “나와 상대방을 공손하고 소중하게 대함으로 그 가치를 인… 더보기

정직한 아이로 키우세요

댓글 0 | 조회 1,070 | 2013.05.14
“정직(Honesty)이란 어떠한 상황에서도 생각, 말, 행동을 거짓없이 바르게 표현하여 신뢰를 얻는 것입니다.” 정직의 위력으로, &ldq… 더보기

운 좋은 아이로 키우는 비결

댓글 0 | 조회 1,322 | 2013.04.23
1. 너그럽고 따뜻하게 포용하라 아이에겐 어른들이 상상할수 없을만큼 무한한 잠재력이 숨어 있습니다. 실수를 하더라도 너그러운 마음으로 용서하고 따뜻한 말로 감싸주… 더보기

꼭 알아야 할 영어교육법

댓글 0 | 조회 1,052 | 2013.04.10
세계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영어의 파워는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서, 전 세계가 영어교육 열풍에 휩싸여 있으며 특히 자신들의 모국어가 영어와 다른 언어&m… 더보기

‘카더라’식 교육법, 아이두뇌 망칠수도...

댓글 0 | 조회 1,417 | 2013.03.26
우리나라 부모 자녀 교육열은 단연 세계 최고입니다. 하지만 우리 교육현장만큼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 판을 치는 곳도 없을 것입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