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에 한 가지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 번에 한 가지만

0 개 1,247 수선재
무슨 문제가 있으면 24시간 사로잡혀서 무겁게 짓눌려 계십니다. 잘 때도 깊이 잠들지 못하고 편치가 않습니다. 
When a problem occurs, some people get carried away for the whole 24 hours of the day and feel oppressed. Even when they sleep, they can’t sleep deeply and they feel uncomfortable. 
 
뒤통수가 늘 묵직한 분들은 생각을 많이 해서 그렇습니다. 별거 아닌 생각들이 뒤통수에 매달려 있고, 이렇게 할까 저렇게 할까 갈등합니다. 가슴이 늘 답답하고 얹힌 것처럼 묵직한 분들은 감정적인 것이 해소가 안 돼서 그렇고요. 
If you feel heavy in the back of your head, it’s because you think too much. Unimportant thoughts are dangling in the back of your mind and you’re suffering from indecision; This one or that one? If you feel oppressed and heavy in the chest as if something is planted there, it’s usually because you haven’t resolved your emotional problems. 

이곳에 와서 명상하는 한두 시간조차도 내려놓지 못하고 달고 계십니다. 명상하는 동안만이라도 버려보십시오.
Even while meditating, if you refuse to put these emotions down, they will still be dangling at the back of your head. Try to at least put them aside during meditation. 

명상을 하면서 버리는 연습을 하다 보면 점점 평상시에도 버린 상태가 이어집니다. 24시간 내내 생각나다가 점점 생각나는 시간이 짧아지고, 나중에는 누가 물어보면 그때서야 생각나고 평소에는 아무 생각도 안 나게 됩니다. 그렇게 자꾸 버리다 보면 가슴도 후련하고 머리도 시원해집니다. 
Through meditation, if you learn how to let things go, the empty state continues into your everyday life. In the beginning, things bother you for 24 hours, but gradually they recede; at a later time you will have forgotten them and will remember them only when reminded. As you keep giving up things, your heart becomes clear and your head becomes refreshed too. 

‘지금 여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일할 때는 일하는 생각만 해야 되고, 먹을 때는 먹는 생각만 해야 되고, 명상할 때는 명상만 해야 됩니다. 명상하려고 앉아서도 동시다발로 여러 가지 생각이 들어와 복잡한데, 점차 한 가지로만 가야 합니다. 
There is the expression; “Right here, right now.” When you work, think only about working; when you eat, think only about eating; and during meditation, think only about meditation. At first when you meditate, many thoughts come and complicate your mind, but gradually you should be able to do just one thing. 

그걸 ‘무심’이라고 합니다. 명상할 때는 집중해서 명상하고, 밥 먹을 때는 맛있게 열심히 먹습니다. 밥 먹을 때도 이 생각 저 생각 하지 않고 그저 ‘맛있다’ 하면서 먹으면 그게 무심입니다. 일할 때도 아주 열중해서 누가 불러도 잘 모를 정도로 빠져서 하면 무심입니다. 
That’s No Mind. When you meditate, just concentrate on meditating, and when you eat, pay attention to eating and savor your meal. When you eat, don’t think about this and that, just think, “Ah, delicious.” 
Then you are in No Mind. Also, when you are at work, you should become so absorbed in your work that you can’t even recognize when someone calls you. That is the state of  “No Mind.”
 
아무 것도 없는 것이 무심이 아니라 그때 그 한 가지만 하는 게 무심입니다. 다른 생각이 안 나는 것입니다.
No Mind does not mean that nothing is inside; but doing one thing at a time is No Mind. It means to have no other thoughts popping up in your mind. 
 

재외선거 대상 선거

댓글 0 | 조회 772 | 2011.11.10
Q : 재외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선거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요? A : 주민등록이 되어 있거나 국내거소신고를 하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일(2012.4… 더보기

포기하십시오

댓글 0 | 조회 977 | 2013.11.27
몸에 제일 나쁜 것은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 받는 것을 해결하셔야 됩니다. 내버려두면 몸이 견디질 못해서 꼭 감기에 걸리거나 배탈이 납니다. The worst … 더보기

질투에서 시작되는 비극

댓글 0 | 조회 1,176 | 2013.11.13
궁중 사극에 보면 투기하는 여인들이 참 많이 나오죠. 제가 봐도 “저렇게 하면 왕이 싫어하겠구나”하는 게 보입니다. 어떤 이유로 왕의 마음이… 더보기

라이벌

댓글 0 | 조회 1,049 | 2013.10.23
뭐든 잘 하는 사람들은 라이벌이 있습니다. 정치하는 사람들도 의도적으로 라이벌을 키웁니다. 자기가 크려면 상대가 커야 됩니다. 같이 크는 겁니다. 자기만 독주하면… 더보기

한마디 툭

댓글 0 | 조회 991 | 2013.10.09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이 있을 때, 그 사람 생각을 바꿔 보겠다고 장기간 앉아서 설전을 벌일 필요가 없습니다. 누구를 180도 바꿔 놓겠다고 생각하는 것도 욕심입… 더보기

자존심 건드리기

댓글 0 | 조회 1,139 | 2013.09.25
사람들 사이에 마찰이 빚어지는 이유는 사소한 것들입니다. 대개 감정을 건드려서 그렇습니다. 사람들이 남의 약점이나 자존심을 건드려야 직성이 풀립니다. 그것이 사실… 더보기

소리 내면서 일하는 스타일

댓글 0 | 조회 1,146 | 2013.09.11
능력도 있고 대인관계도 무난하되 그 일하는 스타일이 소리 내면서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내가 여기 있다, 내가 이런 일을 했다” 하면서 자… 더보기

유능한 사람 - Able Person

댓글 0 | 조회 892 | 2013.08.28
사회에서 원하는 사람은 대개 세 가지로 볼 수가 있습니다. 능력과 노력, 그리고 대인관계입니다. We can see three kinds of people who… 더보기

멤버십과 리더십

댓글 0 | 조회 1,084 | 2013.08.13
마음에 안 드는 일이 있으면 반대세력을 형성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지 마십시오. 보이지 않게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하면 됩니다. 그러면 … 더보기

먼저 손을 내밀어야

댓글 0 | 조회 1,001 | 2013.07.23
일이 꼬여 있고 어렵겠다고 생각되더라도 본인의 마음가짐에 따라 풀립니다. 인간관계를 풀면서 가야 됩니다. 수동적으로 하지 마시고 먼저 악수를 청하고 푸십시오. E… 더보기

우주 - The Universe

댓글 0 | 조회 879 | 2013.07.10
한국사회에서는 일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인간관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서로 마음이 안 맞으면 상대를 안 하면 되지만, 그러다 보면 무대가 좁아집니다. 만만한 사람들… 더보기

내가 먼저 꿰어 드리죠

댓글 0 | 조회 922 | 2013.06.25
옛날 직장에서 상관이 어느 날 그러더군요. 여성 개발원이 누구 코를 꿰면 잘 돌아갈지 생각해 봤더니 제 코를 꿰면 돌아가겠더랍니다. 그런데 꿰기가 좀 어렵겠다는 … 더보기

남의 일에 상관 말기

댓글 0 | 조회 1,220 | 2013.06.12
혼자 있을 때는 편안해하고 일 처리도 잘 하는데 남과 함께 일할 때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혼자 할 수 있는 일을 주로 하는 것이 좋… 더보기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023 | 2013.05.29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주장이 정말 옳지 않다고 여기기 때문에 반대하는 경우가 있고, 또 하나는 상대방… 더보기

나의 기준이 옳은가

댓글 0 | 조회 1,336 | 2013.05.14
중용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남의 일에 함부로 참견할 수가 없습니다. “자기의 생각이 옳으냐?”가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동성연애자에 대해서… 더보기

성격은 운명

댓글 0 | 조회 975 | 2013.04.24
대인관계를 잘 안하고 자기 안으로 파고드는 사람들은 늘 만나는 사람들이나 만나니까 부딪칠 일이 없습니다. 반면 외부 지향적이고 적극적인 사람들은 밖으로 경험을 많… 더보기

중용이란 - The middle way

댓글 0 | 조회 1,272 | 2013.04.09
동물은 한 가지의 특성만 가지고 있습니다. 여우는 여우의 특성만을, 뱀은 뱀의 특성만을 가집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두 가지 마음이 공존합니다. 선한 마음과 악한… 더보기

나는 소인이로소이다

댓글 0 | 조회 859 | 2013.03.27
사람을 대인, 중인, 소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소인은 내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보면서 ‘저 사람 생각이 틀… 더보기

감동을 주어야

댓글 0 | 조회 805 | 2013.03.13
자기 자신을 돌아보셔서 뭐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고 누가 뭐라고 해도 거리낌이 없다면 “아, 나는 그래도 괜찮은 사람이구나” 하셔도 됩니다.… 더보기

바닷물에 잉크 한 방울

댓글 0 | 조회 889 | 2013.02.27
덕이 많다는 것 또한 마음이 열렸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말입니다. 나와 다른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입니다. 나와 다르다고 해서 수용하지 못하면 덕이 없는 상… 더보기

착한 마음

댓글 0 | 조회 957 | 2013.02.13
‘법 없어도 산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죄 짓는 사람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것도 너무 편협한 겁니다. 이쪽 저쪽을 다 … 더보기

우주의 심정

댓글 0 | 조회 1,067 | 2013.01.29
거기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궁극적으로 가고자 하는 상태는 타인의 입장, 내 입장 이렇게 상반된 입장이 아니라 하늘에서 바라보는 입장입니다. 우주의 심정이 되면 &… 더보기

다른 세계가 있다.

댓글 0 | 조회 990 | 2013.01.16
마음을 어떻게 여는가? 생활 속에서 실천 가능한 방법을 말씀 드립니다. How can we open our mind? I’ll tell you a me… 더보기

마음이 열리면

댓글 0 | 조회 870 | 2012.12.24
마음이 열린다는 건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입니다. 우주의 입장이 되어 걸림이 없이 다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생각이 없어서가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기… 더보기

세상에 바라는 바 없으니

댓글 0 | 조회 964 | 2012.12.12
갈등의 요인은 문제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는 데 있습니다. 내가 강하게 서있으면 주변의 모든 것들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렇지 않으면 산들바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