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인한 달 4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잔인한 달 4월

0 개 1,279 크리스티나 리
한 유명한 시인의 시 속에 등장한 싯구로 인해 오래 전부터 자연스럽게 4월은 가장 잔인한 달로 불려졌다.  그 이유에서일까, 최근 한국에 사는 언니가 보내준 사진 속에는 개나리가 만발해 있었지만 언니의 옷차림은 꼭 살을 파고 드는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듯 화려하고 가뿐한 봄옷이 아닌 여전히 두껍고 무겁게 느껴지는 겨울 복장이었다.  이렇듯 혹독한 꽃샘 추위를 견디고 나면 세상이 어찌 저렇게 아름다울 수 있을까 하는 봄이 온다.  어쩜 이래서 4월이 잔인한 달인지도 모르겠지만 정말 힘겨울 정도로 많은 미팅과 교육으로 정신없는 시간을 보낸 것 같다.
  
참석한 여러 모임 중에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것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온 캘리포니아 대학 Stanton Glantz 교수의 세미나였다.

너무나도 잘 알고 있듯이 정부는 2025년에 세계 최초로 금연 국가를 이룬다는 희망찬 꿈과 비젼을 안고 흡연률 5% 이하를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고 있다.

이런 정부의 달음박질 속에 Glantz 교수는 하나의 의문점을 제기했다.

“뉴질랜드의 현재 흡연률은 17%로 왜 샌프란시스코의12%보다 높을까?”

물론 뉴질랜드의 흡연률은 25%였던 1997년에 비하면 많이 줄어든 상황이지만 2025년의 비젼을 향해 뭔가 다른 것을 생각해야한다는 것이다.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양을 분석해보면 일반적으로 하루에 20개비 이상 담배를 피우는 경우는 전체 흡연자의 9% 정도가 되고 놀랍게도 5개비 이하로 피우는 경우는 28%나 된다는 것이다.

이것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상담을 하다보면 “하루에 담배를 몇 개비 안피워요”, “담배를 안피우는 날도 있고 담배를 피우는 양도 그리 많지 않으니 흡연자라고 할 수 없지요”, “담배를 하루에 5개비 이하로만 피울 수 있다면 담배를 안끊고 계속 피울텐데” 등등 담배를 조금 피운다는 것을 강조하며 말하는 경우를 심심치않게 접한다. 

잘못하면 쉽게 “난 금연안해도 돼”, “내가 무슨 흡연자야” 하며 금연의 필연성을 모르는 ‘light smoker’ 혹은 ‘social smoker’라고 불려지는 흡연자들을 우선 순위에서 빠뜨릴 수 있으나 이들에게 강한 동기 부여를 제공해 금연의 길로 이끄는 것도 2025년을 향한 행진 속에 빠져서는 안될 부분임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2025년의 비젼 속에는 십대 아이들이 첫 담배를 피우는 경험을 줄이고 더 나아가서는 아이들이 아예 담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까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ASH(Action on Smoking and Health)에서 행해진 설문 조사에 의하면 10학년(주로 14세 혹은 15세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흡연률은 2012년이나 2011년이나 4%로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Glantz 교수는 전체 흡연률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최근 2년간 변동없이 유지되고 있는 특정 연령에 해당하는 십대들의 흡연률을 강조하며 지금의 정부 정책 위에 좀 더 강하고 실제적인 행동 변화를 생각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Glantz교수는 “진실” 캠페인이란 주제하에 미국에서 제작된 하나의 금연 광고를 예로 들었다.

담배와 담배회사를 풍자적으로 잘 표현한 Shards o’Glass ice-block이라 불리는 광고는 제법 참신하면서도 흥미로왔다.  아래 사이트를 방문하면 광고 동영상을 볼 수 있다.

http://tvnz.co.nz/breakfast-news/need-more-aggressive-anti-smoking-ads-video-5402049

아이들이 즐겨먹는 아이스블럭의 재료를 각종 유리 조각으로 바꾸어 아이스블럭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좀 더 자극적이며 강한 금연 메세지를 전하고 있다.

이렇게 “진실” 캠페인을 시행한 미국은 3년간 청소년 흡연률이 5분의 1이나 줄었다는 것을 주시해 정부는 Grantz교수의 조언처럼 지금까지 해온 금연 정책 위에 좀 더 강하고 효과적인 금연 광고를 제작하는 등 보다 다양하면서 영향력있는 금연 정책을 펼쳐야할 것이다.

잔인한 달 4월이 무르익어가고 있다.  고국에는 꽃들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금연을 자신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면 4월이 다 가기 전에 잔인함을 온 몸으로 느끼며 아름다운 꽃에서 나는 향기보다 더 신선하고 좋은 자신만의 최고의 향기를 자아내보는 것은 어떠할까……………

한번 적어본 하나의 습관 일지

댓글 0 | 조회 1,272 | 2016.12.21
이제 며칠 후면 2016년의 마지막 근무를 하게 된다. “아니 벌써” 라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리며 여러 감정들이 교차하는 것 같다. 그렇게 교차되는 감정 속에 이… 더보기

정말 배려이고 이해일까?

댓글 0 | 조회 1,280 | 2017.12.05
2017년이 시작되었나 했는데 벌써 마지막 달인 12월이 시작되었다. 고국과는 다른 상황이라 지난 날 줄줄 이어졌던 망년회는 이곳에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더보기

현재 잔인한 달 4월

댓글 0 | 조회 1,280 | 2013.04.23
한 유명한 시인의 시 속에 등장한 싯구로 인해 오래 전부터 자연스럽게 4월은 가장 잔인한 달로 불려졌다. 그 이유에서일까, 최근 한국에 사는 언니가 보내준 사진 … 더보기

자신이 없어

댓글 0 | 조회 1,282 | 2018.10.10
살면서“자신이 있어”라는 말과 “자신이 없어”라는 말 중 어떤 말을 더 많이 사용할까?상황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보편적으로 “자신이 없어”라는 말을 사람들이 더… 더보기

내가 아닌 또다른 나

댓글 0 | 조회 1,288 | 2017.08.09
이곳에 와 산 지도 20년이 넘었는데 왜 이리 이번 겨울은 추운지 모르겠다. 옷을 몇 겹으로 챙겨 입어도, 목도리와 장갑을 끼어도, 두꺼운 양말을 신어도, 춥게만… 더보기

그게 문제야....

댓글 0 | 조회 1,295 | 2018.02.01
수없이 반복하며 무심코 내뱉는 말들이 의외로 참 많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그런 말들을 쓰고 있는지조차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한 것 같다.한번 생각해보자. “문제는”… 더보기

실패가 아니라 실수

댓글 0 | 조회 1,299 | 2013.07.24
최근 대학생들과 사례 발표를 할 기회가 주어져서 2006년부터 지금까지 금연 상담을 받은 젊은이들의 기록을 살펴보았다. 젊은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상담자의 … 더보기

피할 수도 있는 고통

댓글 0 | 조회 1,300 | 2013.04.09
긴 주말 연휴가 시작되기 바로 전 날인 지난 주 목요일에 오래 전부터 관심이 있었던 Palliative Care에 관한 교육을 하루 종일 받았다. Palliati… 더보기

시간의 노예

댓글 0 | 조회 1,302 | 2013.08.27
‘무슨 시간이 이렇게 빨리 지나가’라는 말이 많은 사람들의 입에서 나온다. 꼭 시간의 노예가 되서 살아가는 느낌이 들 정도로 정신없는 삶을 … 더보기

“핑계”대지마

댓글 0 | 조회 1,305 | 2018.04.25
“핑계”라는 말을 그리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해보질 않았는데 왜 갑자기 “핑계”라는 말이 머리를 맴도는 것인지 모르겠다.그러다 잠시 생각해보았다. 아주 작은 것일지… 더보기

생각과 행동의 연관성

댓글 0 | 조회 1,322 | 2014.07.09
어떤 상황에 처하든지 사람들은 선택을 통해 행동을 하게 되는데 그 모든 행동이 나타나기 전에 스치고 지나가는 과정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 그 과정을 그냥 평소 했… 더보기

현명한 선택

댓글 0 | 조회 1,342 | 2012.09.12
흡연이 몸에 해롭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만 담배를 피우면 폐암에만 걸린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많은 것 같다. 상담 중 “흡연은 각종 암을 일으키는… 더보기

내 인생의 중요한 것

댓글 0 | 조회 1,343 | 2018.09.27
앙상한 가지에 꽃들이 피기 시작하는 것을 보며 봄이 오고 있음을 느낀다. 이렇게 어김없이 계절이 바뀌어가듯 인생도 계속 변해가는데 가만히 있지 않고 변하는 인생에… 더보기

앞서 판단하기에

댓글 0 | 조회 1,344 | 2017.05.24
누구나 어떤 일을 시작하고 나면 전혀 생각하지 않은 일이 벌어지게 되고 그때마다 여러 생각 속에 머리가 복잡해질 때가 있다. 담배를 끊을 때도 마찬가지로 예상치못… 더보기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길

댓글 0 | 조회 1,344 | 2018.11.13
세상에 태어나 살면서 피할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있을까?많은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일들이 자신에게 생기지 않거나 불안해하며 걱정했던 일이 다행스럽게도 별일없이 지… 더보기

소망 속에 기다림

댓글 0 | 조회 1,346 | 2014.11.12
“기다려, 기다리면 해결이 나” 이런 말들을 우리는 수없이 듣고 말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무엇을 기다리고, 왜 기다리는 것일까? 더러는 정말 할 수 있는 것을 … 더보기

내 삶의 가치는?

댓글 0 | 조회 1,348 | 2015.03.24
누구에게나 그만하고 싶은 것, 안하고 싶은 것, 고치고 싶은 것들이 있으나 너무나 오랜 시간동안 해왔기에 좀처럼 그런 것들에서 벗어나지를 못한다. 바꾸고 싶은 것… 더보기

자만(自慢) 하지 말자

댓글 0 | 조회 1,353 | 2018.07.24
“자만”이라는 말을 생각해본다. 스스로 자“自”에 거만할 만“慢”이 합쳐진 말인 “자만(自慢)”여기저기 구글 검색을 해보면 모두 다 “자신이나 자신과 관련 있는 … 더보기

누구의 책임일까?

댓글 0 | 조회 1,359 | 2013.06.12
세계 금연의 날이었던 5월 31일에 “여러분의 가족을 위해 금연을 지금 하세요”라는 주제하에 와이테마타 지역 보건부 내에 있는 2개의 병원에… 더보기

흘려보낸 시간들...

댓글 0 | 조회 1,362 | 2012.09.25
사람들은 새로운 해를 맞이하거나 계절이 바뀔때면 무언가 새로운 것을 계획한다. 아마도 신년 계획 중에 금연은 빠지지 않고 시행되는 것 중에 하나일 것이다. 어쩜 … 더보기

시간을 돌릴 수 있다면

댓글 0 | 조회 1,370 | 2015.02.24
우연히 다양한 모습으로 진열된 시계들을 보았다. 그 모든 시계들이 같은 시간을 가르킬 줄 알았는데 신기하게도 제각기 다른 시간을 보여주고 있었다. 살다보면 지나온… 더보기

시작은 자신의 상황을 아는 것으로부터

댓글 0 | 조회 1,381 | 2016.01.27
어떤 일을 하다보면 생각처럼 잘 되지 않을 때 “이게 내 능력에 한계인가?”, “정말 더 이상 할 수 없는 것인가?”, “이제 정말 그만두어야 하는건가?” 하면서… 더보기

담배 생각은 안나는데....

댓글 0 | 조회 1,392 | 2017.10.11
며칠 전 오디오 컨퍼런스에 참여했는데 참 흥미로운 내용이 거론되었다. 그 내용은 바로 상담을 하면서 가끔 듣는 말들과 연관이 있었기에 더 관심이 있었고 이미 알고… 더보기

새로운 세상을 맛보려면

댓글 0 | 조회 1,407 | 2018.09.12
얼마만에 만져보고 밟아본 눈이었는지 모르겠다.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왔던 설경, 아주 자그마한 발자욱조차도 남겨져 있지 않은 온 산을 덮은 눈은 따스함을 넘어 푸근… 더보기

기해년의 소망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1,409 | 2019.01.16
평소에도 “소망을 가지세요” 라는 말을 하지만 새해를 맞이할 때면 참으로 많이 듣고 보는 말 중에 하나가 “소망” 일지도 모른다. 누구나가 순간순간 생각해보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