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온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사진의 온도

0 개 1,108 Lightcraft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이 즐비한 지금의 우리 사회를 풍자한 한 컷의 사진을 본 적이 있다. 그 사진 안에서는 빈틈없이 밀집해 있는 군중들이 모두 하나같이 자신들의 스마트폰을 허공에 들이댄 채 무엇인가를 열심히 촬영하고 있었으며 하늘에서는 큰 건물의 크기에 버금가는 운석들이 하늘에서 쏟아져 내리고 있었다. 이 한 컷의 합성 사진은 자신의 목숨을 위해 죽기 살기로 도망가기보다는 곧 죽음이 닥칠 것도 잊은 채 스마트폰으로 쏟아져 내리는 재앙을 촬영하기 바쁜 사람들을 그리고 있는 것이었다. 이는 지금 지극히 일상화가 되어버린 스마트폰으로의 촬영과 촬영된 내용을 소셜 미디어에 올리는 행동이 우리에게 무엇이 더 중요하고 우선시 되어야 하는지를 잊게 만들고 있다는 세태를 꼬집는 내용이었다.
 
또 하루는 티비에서 어떤 유명한 밴드의 공연이 방송되고 있었는데 해당 공연을 관람하러 간 관중들이 모두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로 공연을 촬영하기 바쁜 모습을 보았다. 심지어 그 중에는 해당 공연을 라이브로 웹에 올려 실시간 중계를 하는 이도 있었다고 한다. 그 관람객들이 그다지 싸지도 않은 공연 티켓을 구매한 목적은 공연의 촬영이었을까 아니면 공연의 관람이었을까?
 
우리는 지금 우리가 자각하지도 못한 채 우리 인생의 가장 소중한 순간들을 놓치고 있는 지도 모른다. 과유불급은 아마도 우리의 기억체계에도 적용될 수 있는 말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우리 뇌가 순간 수용할 수 있는 기억을 넘어 우리 주머니의 작은 기계 하나가 모든 세세한 사항까지 우리를 대신하여 기억해 주는 시대가 도래했다. 그 작은 기계가 가진 기억의 체계는 우리 뇌의 기억의 체계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래지 않으며 아픈 기억조차 잊어버리지 않는다. 하지만 모든 것을 작은 기계에 위탁한 채 우리는 우리 눈이라는 렌즈로 정보를 받아들여 우리 뇌라는 메모리에 저장하는 행위를 점차 줄여나가고 있는 것 같다. 우리 주머니의 작은 기계는 모든 순간을 기억해 주지만 우리는 소중한 순간들을 직접 경험하고 느끼지 않은 채 그냥 그렇게 흘려 보내고 있을 뿐이다.
 
우리 뇌는 사진처럼 기억하지 못한다. 사진보다 훨씬 정확하지 않으며 꼼꼼하지 못하다. 하지만 상상력과 감정이 더해져 우리 뇌의 기억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그 온도는 우리의 체온처럼 따스하며 포근하다. 때로는 무미건조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한 장의 사진이 제공하는 기계적인 기억이 우리 뇌가 끄집어내는 희미한 기억과 섞이면 희미한 기억은 생생해지고 사진에는 온기가 더해진다. 이렇게 우리 뇌가 그 순간의 기억을 가지고 있어야만 그 순간의 기계적인 기록 또한 온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한 장의 사진은 그냥 낯설고 차갑게 느껴지는 한 장의 인화지일 뿐이다.
 
필자는 사진가로서는 상당히 나태한 인간일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교과서에서 추천하는 것처럼 항상 카메라를 몸에 지니고 다니지 않기 때문이다. 필자의 궁색한 변명일지 몰라도 필자는 사진처럼 직접 눈으로 보고 느끼는 것을 즐긴다. 날 좋은 여름날 얼굴에 시원하게 와 닿는 바닷바람은 사진에 담을 수 없다. 한 장의 인화지는 그 비릿한 바람내음을 내뱉지 못한다. 소중한 순간들을, 아름다운 순간들을 사진으로 담아내는 것은 멋진 일이지만 가끔은 카메라 혹은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눈으로 코로 귀로 입으로 그리고 피부로 직접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생생한 느낌에 매혹되어 그 순간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것을 미처 하지 못했다고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가끔 우리 기억은 한 장의 사진보다 모든 것을 더 아름답게 재생하여 주기 때문이다.
 
친한 친구의 일생 일대의 중요한 날에 초대를 받았다면 카메라는 일부러 집에 두고 나오고 스마트폰과 타블렛 PC는 일부러 차에 두고 내려 보자. 우리는 그 날을 촬영하러 가는 것이 아니라 같이 느끼고 즐기며 축복해주러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친구와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사진이 아니라 공유할 수 있는 기억을 만드는 것이 때로는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그 사진이 과연 그 사진일까?(Ⅰ)

댓글 0 | 조회 1,365 | 2013.05.15
▲ 사진 출처: 영화 아이언맨2의 한 장면 * 이번 칼럼은 필자가 문득 생각이 날 때 마다 노트에 적어온 글을 조합하여 하나의 수필 형식으로 쓴 글이다. [사진은… 더보기

그 사진이 과연 그 사진일까?(Ⅱ)

댓글 0 | 조회 1,318 | 2013.05.28
사진은 사라짐의 미학이라고 볼 수 있다. 사진을 촬영하는 순간 사각의 면 안에 담기는 피사체 외에 이 우주 모든 것이 그 사진의 세계에서는 사라져 버리고 만다. … 더보기

현재 사진의 온도

댓글 0 | 조회 1,109 | 2013.06.11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이 즐비한 지금의 우리 사회를 풍자한 한 컷의 사진을 본 적이 있다. 그 사진 안에서는 빈틈없이 밀집해 있는 군중들이 모두 하나같이 자신들의… 더보기

사진 살리기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1,187 | 2013.06.25
이번 칼럼에서는 필자가 감명 깊게 보았던 어느 Photographic Retoucher (사진보정 전문가)의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필… 더보기

어느 학생과의 대화

댓글 0 | 조회 1,221 | 2013.07.10
사무실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나고 잠시 후 한 중년의 여자가 들어선다. 여자: 안녕하세요. 저는 석사과정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인데 사진으로 작품을 하는 것에 관해… 더보기

사진작가 (Ⅰ)

댓글 0 | 조회 1,965 | 2013.07.24
▶ Gregory Crewdson Reference: Untitled (Ophelia) from the Twilight Series by Gregory Crewd… 더보기

19세기의 구글 글라스

댓글 0 | 조회 2,143 | 2013.08.14
올해 IT 업계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를 꼽자면 구글의 야심 찬 프로젝트 제품인 ‘구글 글라스 Google Glass’일 것이다. 구글 글… 더보기

Te Tuhi 작품 전시

댓글 0 | 조회 2,148 | 2013.08.27
오클랜드 동부 지역인 파쿠랑가에 위치한 시립 공공 갤러리인 Te Tuhi는 지역의 문화 활성화와 지역 시민들의 문화 생활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다. Te Tuhi… 더보기

섬세하게 풍부하게

댓글 0 | 조회 1,785 | 2013.09.10
필자는 가끔 추억에 잠겨 옛 사진들을 꺼내 보기도 한다. 친구들과, 그리고 가족들과의 행복했던 순간들이 그대로 새겨진 사진을 보면 절로 미소가 지어진다. 하지만 … 더보기

빅 브라더

댓글 0 | 조회 1,831 | 2013.09.25
각종 미디어를 통해 모두 빅 브라더라는 말을 접해보았으리라 생각한다. 빅 브라더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로 정… 더보기

로버트 카파

댓글 0 | 조회 1,756 | 2013.10.09
지난 칼럼 중에서 현대사진의 대표적인 사진가 한 명을 소개했었다. 그 반대로 이번 칼럼에서는 근대사진의 대표적인 사진가 한 명을 소개하려고 한다. 사실 근대와 현… 더보기

어떻게 보여주느냐가 아닌 무엇을 보여주느냐

댓글 0 | 조회 1,788 | 2013.10.23
▲ Reference: North Korea army by Eric Lafforgue 필자는 평소 다큐, 시사 프로그램을 좋아해서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시간 날 … 더보기

황금 시간대

댓글 0 | 조회 1,773 | 2013.11.13
사진에는 Golden Hour 즉 황금 시간대라 불리는 시간대가 있다. 영화에서는 Magic Hour라 불리기도 하는 이 시간대는 일출 후 한 시간 정도와 일몰 … 더보기

렌즈 플레어

댓글 0 | 조회 4,663 | 2013.11.26
렌즈 플레어는 렌즈 내부로 유입된 빛이 내부 반사를 일으키거나 산란이 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주로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오는 빛과 전혀 다른 각도에서 렌… 더보기

확대 인화가 가지고 있는 비율의 이야기

댓글 0 | 조회 2,640 | 2013.12.11
아주 오래 전에는 일반인은 사진에 대한 세세한 관심이 크지 않아 필름을 들고 사진관을 찾아 아무것도 묻지 않고 현상과 인화를 맡겼다. 디지털 사진 시대가 도래하고… 더보기

Annie Leibovitz 애니 레보비츠

댓글 0 | 조회 5,749 | 2013.12.24
예전 칼럼에서 예술로서의 사진을 하는 현대 사진 작가 한 명과 역사상 가장 유명한 종군 사진기자 한 명에 대하여 소개를 한 적이 있었다. 이번에는 상업적으로 가장… 더보기

시대의 변화, 그러나 · · ·

댓글 0 | 조회 2,678 | 2014.01.15
▲ 사진 출처: http://suntimesdarktimes.tumblr.com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본의 아니게 가장 후폭풍을 거세게 맞은 것은 언론사였다. 옛… 더보기

있을 때 잘 하지

댓글 0 | 조회 2,217 | 2014.01.30
우리는 벌써 십 년을 넘게 디지털 사진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보급에 열광했었다. 디지털 사진은 그 태생부터 우리가 그때까지 가지지 못했던 것들을 하지 못했던 것… 더보기

Now and Then 사진 놀이

댓글 0 | 조회 2,707 | 2014.02.11
이전 칼럼에서도 수없이 말했던 어찌보면 사진의 존재 이유 중 가장 노골적인 이유인 ‘기록’이라는 측면에서 사진은 그 역할을 충실히 지켜내왔다. 디지털 시대가 오면… 더보기

나치에 탄압 받았던 사진작가 아우구스트 잔더

댓글 0 | 조회 6,960 | 2014.02.26
▲ 소작농 여인 ▲ 양치기 ▲ 조이와 그리프의 어머니 ▲ 철학자 ▶ 너무나 사실적이었기에 나치에게 탄압 받았던 사진작가 아우구스트 잔더 아무래도 우리에게 가장 친… 더보기

그 사람의 물건

댓글 0 | 조회 2,661 | 2014.03.12
가끔 잡지를 보면 요즘 핫한 연예인들의 가방 속 물건들을 보기 좋게 늘어놓고 찍은 사진을 보게 된다. 그 옆에는 그 물건들에 대한 자신들만의 스토리가 글로 쓰여있… 더보기

결혼은 언제 하니? 왜 결혼 안해?

댓글 0 | 조회 2,669 | 2014.03.25
▲ 사진 출처: http://suzanneheintz.prosite.com/ 위의 제목처럼 한국에서는 온 가족이 모이는 명절 때면 30대 초,중반의 미혼자들은 일… 더보기

어떤 카메라 쓰세요?

댓글 0 | 조회 3,020 | 2014.04.09
▲ 사진 출처: http://hastalosmegapixeles.com 필자는 필자의 작품 스타일이 그다지 특정 카메라를 필요로 하는 일이 적은지라 특정 컨셉 사… 더보기

세상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본 사진

댓글 0 | 조회 3,660 | 2014.04.24
▲ 사진 출처: http://www.hdwallpapers.in 바로 얼마전이었던 2014년 4월 9일, 한 시대를 풍미했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XP가 공식… 더보기

빛, 색, 그리고 눈(I)

댓글 0 | 조회 2,866 | 2014.05.14
사진을 촬영하고 보고 또 이해하는데 빛과 색의 물리적 성질이나 우리 눈의 생리적 원리를 알 필요는 굳이 없다. 허나 우리가 살아가면서 때때로 느끼듯이 무엇인가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