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종(變種)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변종(變種)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0 개 2,463 박명윤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환자가 1000만명이 넘었고, 사망자는 50만명을 초과했다. 이는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pandemic)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는 숫자다. 7월 4일 기준으로 확진자 상위 5위는 미국 289만1천명, 브라질 154만3천명, 러시아 66만8천명, 인도 65만명, 스페인 29만8천명 등이며, 사망자 상위 5위는 미국 13만2천명, 브라질 6만3천명, 영국 4만4천명, 이탈리아 3만5천명, 프랑스 3만명 등이다. 


유엔인구기금(UN Population Fund/UNFPA)의 ‘2020년 세계인구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세계 총 인구는 77억9500만명으로 지난해보다 8000만명이 증가했다. 인구수 세계 1위는 중국(14억3900만명), 2위는 인도(13억8000만명)이며 합치면 세계 인구의 3분의 1을 넘는다. 우리나라 총인구는 5130만명으로 세계 28위이며, 북한은 2580만명으로 세계 54위를 차지했다. 남북한 인구를 합하면 총 7710만명으로 세계 20위로 껑충 뛰어오른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확진자는 13,030명(7월 4일 0시 기준), 그리고 사망자는 283명이며, 전국에서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확진자 발생 추이를 보면 지난 6월 둘째 주까지는 수도권의 비중이 95%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마지막 주에는 비(非)수도권의 비율이 30%까지 올라갔다. 최근에는 광주와 대구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올해 수도권 인구(2596만명)가 비수도권 인구(2582만명)를 역대 처음으로 앞지르게 된다.


코로나19(COVID-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SARS-CoV-2)가 전파 속도가 빠른 변종(變種)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셀(Cell) 저널에 발표됐다고 7월 3일 미국 CNN이 보도했다. 여러 나라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연구진은 유전자 배열 확인뿐만 아니라 인간과 동물 상대 시험, 세포 배양 등을 통하여 변종 바이러스가 흔히 발견되고, 전염성이 강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유전자 염기서열(遺傳子鹽基序列, gene sequencing)에 따라 중국에서 초기 유행을 주도한 S형과 이후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유행하여 국내에서 대구 신천지 집단감염으로 이어진 V형, 그리고 미국과 유럽에서 유행한 G형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G형은 GR과 GH 등으로 변이됐는데, GH형은 감염력이 최대 6배 높다고 미국 듀크대와 로스앨러모연구소 공동연구진이 발표했다. 영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바이러스 농도가 초기 바이러스보다 6배쯤 높고, 감염확산 속도도 그만큼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5월 이후 발생한 2363건의 확진자 가운데 주요 집단감염 최초 전파자 등에서 검출한 313건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308건(98.4%)이 GH그룹으로 판명됐다고 7월 6일 발표했다. 최근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는 광주 광륵사와 금양빌딩 사례를 포함해 서울 이태원 주점, 수도권 개척교회, 쿠팡물류센터, 대전 방문판매업체 등의 사례가 모두 GH형으로 분류됐다.


변종 코로나19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러한 스파이크 단백질이 백신에 영향을 받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개발 중인 백신이 변종이 아닌 이전 형태의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변종 바이러스를 ‘G614’로 명명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 ‘D614’로 불렸던 기존 바이러스를 거의 대체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에 스파이크 단백질 돌기(突起, bump)를 가지고 있으며, 2003년 대유행했던 사스(SARS) 바이러스의 막단백질(膜蛋白質, membrane protein)과 76% 유사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수용체는 ACE2이며, 폐세포에 많이 존재한다. 코로나19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 중 하나인 폐렴(肺炎)이 나타나는 것은 ACE2가 폐세포에 많아 바이러스가 폐세포를 숙주로 가장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확진자 중에는 본인은 느끼는 증상은 매우 미약하지만 흉부 엑스레이, CT 촬영에서 폐렴이 확인되는 사례가 있다. 지난달 코로나19로 숨진 80세 남성은 확진 전까지 자각 증상이 없었지만, 인천 가천대학 길병원에 입원하여 촬영한 흉부 엑스레이 사진에는 중증 폐렴으로 폐가 새하얗게 변해 있었으며, 입원 사흘 만에 숨졌다. 


앤서니 파우치(Anthony Fauci) 미국 국립알레르기ㆍ감염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 NIAID) 소장은 지난 7월 2일 미국 의학협회저널 인터뷰에서 “바이러스가 더 잘 복제되고 전염성이 높은 돌연변이가 나타났다”며 “변종 바이러스 가능성과 그에 따른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라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이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훨씬 치명적인 부분에서 주요한 변이가 일어난다면 백신 개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지난달 플로리다주 스크립스연구소 바이러스 전문가들도 변종 바이러스는 전염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즉 코로나바이러스가 변이를 통해 전파력이 강해질 수 있는 가능성은 언제든지 존재하므로 백신개발이 어렵다.


한편 미국에서 중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환자에게 치료 효과를 보인 렘데시비르(Remdesivir)는 길이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 Inc.) 제품으로 미국 내 공급이 우선적이므로 8월 이후 미국 외 국가에 대한 공급 협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렘데시비르는 특례수입으로 7월 한 달 무상으로 공급되는 만큼 물량에 한계가 있어 투여 대상 환자의 조건이 제한된다. 


렘데시비르는 독감(毒感) 치료제 타미플루(Tamiflue)를 개발한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에볼라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EHF) 치료제로 개발하던 항(抗)바이러스제(劑)다. 지난 5월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은 렙데시비르가 코로나 중증 환자의 치료 기간을 15일에서 11일로 4일쯤 줄여준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은 코로나 치료제로 렘데시비르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지난 7월 3일 렘데시비르를 국내 코로나 치료제로 사용하기로 결정해 특례수입을 승인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메디케어 등 공공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렘데시비르 10ml짜리 1병당 가격은 390달러(약 47만원)이다. 이는 미국 공공보험과 영국의 국민건강서비스(NHS), 개발도상국 등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가격이다. 한편 미국 민간보험 가입자는 520달러(약 62만원)에 공급받게 된다. 즉 미국의 경우 공공보험 가입자는 민간 시장 가격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투약은 5일간 10ml 주사약 6병이 원칙이지만, 필요한 경우 투약 기간을 5일 더 연장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는 ‘1급 감염병’으로 지정돼 있어 치료비용은 감염병예방법(感染病豫防法)에 따라 전액 국가 부담하므로 렘데시비르 투약 비용 역시 국가 부담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7월 4일 정례 브리핑에서 “오늘 정오 기준으로 국내 14개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코로나19 중증환자 19명에 대해 렘데시비르 투약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렘데시비르 물량이 제한되어 투약 받을 수 있는 환자는 다음 네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투약자 세부 조건은 

▲ 흉부엑스선(CXR) 또는 CT 상 폐렴(肺炎) 소견, 

▲ 산소포화도(Room air PaO2) 94% 이하, 

▲ 산소치료를 시행하는 사람(Low flow, High flow, 기계호흡, 에크모(ECMO), 

▲ 증상발생 후 10일이 경과되지 않는 환자 등이다. 용량 및 투여기간은 5일(6병) 투여를 원칙으로 하며, 필요시 5일을 연장할 수 있으며, 전체 투여기간은 최대 10일이다. 투약 치료 코스는 첫날 2병, 이후 4일간 1병씩이다.


렘데시비르 약값이 기존 예상치보다 저렴해진 이유로 일각에서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의 등장을 꼽고 있다. 지난 6월 16일 영국 정부는 항염증 스테로이드 약물인 덱사메타손이 코로나19 중증환자의 사망률을 크게 낮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덱사메타손의 가격은 5파운드(약 7,600원)로 저가 약물이지만 코로나19 치료에 효용성을 보이자, 당초 고가로 형성됐던 렘데시비르 가격이 하락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생존 기간은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재질에 따라 다르다. 즉, 구리(copper) 재질 표면에서는 최대 4시간, 천과 나무ㆍ골판지는 1일, 유리는 2일, 스테이리스 스틸과 플라스틱에서는 4일까지 생존할 수 있다. 소독은 소독제 분무ㆍ분사방식 대신에 물체 표면 소독이 중요하므로 일회용 천에 소독제를 적신 후 표면을 닦는 방법으로 소독해야 한다.


현재 코로나 방역 체계는 유증상자를 중심으로 검사와 대응을 하면서 환자를 찾아내기 때문에 모든 감염자를 찾을 수는 없다. 최근 집단 발병 사례에서 확진자 30%는 무증상 상태였다. ‘무증상 감염’ 문제는 무증상이면서도 바이러스를 전파시키고, 더군다나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가장 높은 전파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매우 교활(狡猾)한 바이러스라고 할 수 있다.


미국 MIT 연구진은 COVID-19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이 없으면 내년 봄까지 전 세계 누적 확진자가 2억-6억명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이는 1918년에 발생해 2년간 5억명을 감염시킨 스페인 독감(Spanish influenza)의 확진자를 뛰어넘을 수 있다. WHO는 7월 4일 세계 코로나 확진자가 21만2326명이 늘면서 일일 신규 확진자가 최고치를 기록하자 봉쇄(lockdown) 필요성을 제기했다.


코로나19의 위력이 점차 강해지고 있으므로 이에 맞서려면 개인방역수칙을 충실하게 따르는 방법 밖에 없다. 즉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등을 보다 철저히 준수하고 3밀(밀집ㆍ밀접ㆍ밀폐)을 피해야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에게 빈틈이 생기면 언제 어디서나 어김없이 나타나 감염시키고 있으므로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오존(Ozone)의 두 얼굴

댓글 0 | 조회 3,002 | 2016.07.20
지난달 환경부가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았던 ‘고등어’를 해양수산부는 미세먼지 논란으로 소비가 위축된 측면이 있어 소비 활성화를 위해 할인행사를 마련했다. 즉 수협(… 더보기

식도암(食道癌)

댓글 0 | 조회 2,962 | 2016.10.27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이름보다 ‘간(肝) 박사’ 애칭으로 더 알려진 김정룡(金丁龍)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님이 향년 82세를 일기로 10월 11일 별세했다. 언론 보도… 더보기

코로나19 재유행?

댓글 0 | 조회 2,954 | 2023.08.18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8월 9일(현지시간) 코로나19(COVID-19) 오미크론(Omicron)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바이러스인 EG.5를 스파이크(spik… 더보기

‘금징어’가 된 ‘오징어’

댓글 0 | 조회 2,938 | 2018.02.10
통계청(Statistics Korea)에 따르면 올해 가격이 급등하여 ‘금값’이 된 품목은 귤, 오징어, 달걀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 11개월간 귤 값은 전년 동… 더보기

나홀로族 ‘혼술’의 위험성

댓글 0 | 조회 2,911 | 2017.01.11
Merry Christmas! 12월 25일, 성탄절(聖誕節)이다. ‘Christmas’란 그리스도(Christ)와 미사(mass)가 합해진 단어로서, 그리스도의… 더보기

웰에이징(Well-aging)

댓글 0 | 조회 2,903 | 2017.06.29
생로병사(生老病死)는 사람이 이 세상에서 반드시 겪어야 하는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으로 인생의 노정(路程)이다. 우리가 세상에서 사람답게 사는 것이 웰빙… 더보기

보신탕(補身湯) 논란

댓글 0 | 조회 2,841 | 2016.08.16
최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영국인 여성 두 명이 ‘개고기’ 식용(食用) 불법화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는 장면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다. 이들은 영국 연극배우 … 더보기

꽃게와 전어 그리고 갈치와 낙지

댓글 0 | 조회 2,838 | 2016.10.26
바람이 서늘하다 싶을 때 해산물(海産物)은 맛이 들기 시작한다. 가을 바다의 별미로 꽃게, 전어, 낙지, 갈치 등을 꼽으며, 그 중에서 꽃게는 가을 바다를 대표하… 더보기

구본무 회장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댓글 0 | 조회 2,837 | 2018.05.29
“베풀며 살아라” 어머니의 뜻을 평생 지킨 우리나라 재계를 대표하는 화담(和談) 구본무(具本茂) LG그룹 회장이 5월 20일 7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지난 1년… 더보기

고등어 구이

댓글 0 | 조회 2,801 | 2016.07.04
고등어는 구이 조리과정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101㎍/㎥ 이상)의 22배 수준인 2290㎍까지 올라간다는 환경부 발표(5월 23일)로 인하여 고등어… 더보기

뭉크(Munch)와 신경증(神經症)

댓글 0 | 조회 2,793 | 2016.08.02
필자는 아내와 함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인문학(人文學) 강좌를 수강하고 있으며, 회갑 때부터 수강했으므로 금년이 18년째가 된다. 그동안 다양한 과목을 수강… 더보기

채식주의자(菜食主義者)

댓글 0 | 조회 2,783 | 2016.07.06
“아내가 채식을 시작하기 전까지 나는 그녀가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솔직히 말하자면, 아내를 처음 만났을 때 끌리지도 않았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더보기

방역패스와 추가접종

댓글 0 | 조회 2,769 | 2021.12.18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아래 사항을 꼭 지켜주세요! 21년 11월 15일부터 정부 방역 정책으로 백신 접종을 완료하지 않으신 분은 휘트니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더보기

아름다운 죽음을 살고 싶다

댓글 0 | 조회 2,727 | 2016.10.18
<날마다 아름다운 죽음을 살고 싶다>는 자원활동가 김옥라(金玉羅) 박사님의 생애사(生涯史) 제목이다. 김옥라 장로님 가족과 친지들이 지난 9월 27일 … 더보기

항생제 남용과 수퍼 박테리아(Super-bacteria)

댓글 0 | 조회 2,666 | 2017.01.04
세계보건기구(WHO)는 카바페넴(carbapenem)과 콜리스틴(colistin) 항생제(抗生劑)가 듣지 않는 mcr-1 유전자 내성균(耐性菌)이 사람에게서 발견… 더보기

지역별 암(癌) 발생률

댓글 0 | 조회 2,642 | 2016.12.21
우리나라에서 암은 흔한 질병으로 137만명 가량이 암 경험자이다. 암 경험자란 현재 암으로 치료받는 환자와 과거 암을 앓았지만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사람을 포함… 더보기

코로나 확진자의 비애(悲哀)

댓글 0 | 조회 2,630 | 2021.01.06
미국인들은 앤서니 파우치(Dr. Anthony Fauci) 국립알레르기ㆍ감염병연구소장을 ‘감염병 대통령’이라 부르며 신뢰한다. 파우치 소장이 지난 12월 19일 … 더보기

코로나 감염 요인들

댓글 0 | 조회 2,583 | 2022.06.30
20세기 인류의 목숨을 대량으로 앗아간 치명적 사건은 전쟁이 아니라 호흡기 전염병이었다. 즉, 1918년 스페인 독감(Spanish flu, 5천만명 사망 추정)… 더보기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과 사찰음식(寺刹飮食)

댓글 0 | 조회 2,561 | 2017.05.03
금년은 불기(佛紀) 2561년이며, 5월 3일이 음력 사월 초파일(初八日) ‘부처님 오신 날’이다. 불기(佛滅紀元)란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입멸(入滅) 연대를 기준… 더보기

강봉균 장관, 체장암(膵臟癌)으로 별세

댓글 0 | 조회 2,544 | 2017.02.21
한국 경제의 거목, 강봉균(康奉均, 1943년 生)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 1월 31일 향년 7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강 전 장관은 2014년 췌장암(膵臟癌) 수… 더보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댓글 0 | 조회 2,494 | 2020.01.29
달콤한 나흘간의 설 연휴가 끝난 다음날(1월 28일) 아침에 배달된 신문 1면에는 마스크를 쓰고 있는 사람들의 사진과 ‘우한 폐렴’ 방역이 뚫렸다는 머리기사가 실… 더보기

코로나전쟁 장기화

댓글 0 | 조회 2,489 | 2021.08.31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 4단계가 실시되면서 헬스장에서 샤워가 금지되고, 러닝머신은 시속 6km까지 제한되었다. 필자는 매주 3회 월ㆍ수… 더보기

현재 변종(變種)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댓글 0 | 조회 2,464 | 2020.07.11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환자가 1000만명이 넘었고, 사망자는 50만명을 초과했다. 이는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 더보기

델타 변이바이러스 확산

댓글 0 | 조회 2,449 | 2021.07.2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武漢)에서 처음 보고 된 이래 불과 1년 반여만에 웬만한 대도시 인구와 맞먹는 40… 더보기

당뇨병(糖尿病) 늘자, 신장병(腎臟病)도 급증

댓글 0 | 조회 2,443 | 2016.09.27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당뇨병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는 2010년 201만9000명에서 2015년 251만5000명으로 5년 사이에 50만 명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