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과 사찰음식(寺刹飮食)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과 사찰음식(寺刹飮食)

0 개 2,560 박명윤

금년은 불기(佛紀) 2561년이며, 5 3일이 음력 사월 초파일(初八日) ‘부처님 오신 날’이다. 불기(佛滅紀元)란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입멸(入滅) 연대를 기준으로 쓰는 기원(紀元)이다. 입멸 연대에 대하여 여러 설이 있었으나 1956 11월 태국, 스리랑카, 미얀마 등 불교국가들이 채택한 연대에 따라 석가모니 입멸 2,500주년을 맞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세계불교대회에서 입멸 연대를 기원전 544년으로 채택하였다.

 

‘부처님오신날’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대한불교 조계종이 불교적 의미를 복원하고 한자어로 되어 있는 불탄일(佛誕日) 또는 석탄일(釋誕日)을 한글화 추세에 적합하게 사용하자는 취지로 만들었다. 지난 2월 불교 29종단(宗團)으로 구성된 한국불교종단협의회는 정부(인사혁신처)에 ‘관공서의 휴일에 관한 규정’에 석가탄신일로 정해진 명칭을 ‘부처님오신날’로 바꿔달라고 요청했다. 불교계의 공식적인 명칭개정 요청은 처음이다

 

필자의 모친은 독실한 불자(Buddhist)여시어서 지난 1978년 가을에 별세하기 전까지 초파일이 되면 어머니는 온 가족과 함께 서울 견지동 소재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사(曹溪寺)에 가서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기념 법회(法會), 관불의식 참여 등으로 뜻있는 시간을 보내면서 점심 공양(供養)도 했다. 이에 초파일이 되면 어머님이 더욱 그리워진다.

 

지난 4 12일 고교(大邱 慶北高, 1958년 졸업) 동창생 70여명과 강원도 강릉으로 ‘봄나들이’를 갔을 때, 오죽헌(烏竹軒)에 전시되어 있는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이 서울에서 생활할 때 고향에 홀로 계시는 친정어머니를 그리면서 애틋한 마음으로 지은 시() <어머니를 그리며>를 읽었다. 신사임당은 19세에 이원수(李元秀)와 결혼했으며, 결혼 후 몇 달 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3년 상()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갔다.

 

<어머니를 그리며> 산 첩첩 내 고향 여기서 천리/ 꿈속에도 오로지 고향 생각 뿐/ 한송정 언덕 위에 외로이 뜬 달/ 경포대 앞에는 한 줄기 바람/ 갈매기는 모래톱에 헤어졌다 모이고/ 고깃배는 바다 위를 오고 가겠지/ 언제쯤 강릉 길 다시 밟아가/ 어머니 곁에 앉아 바느질 할꼬.

 

석가(釋迦牟尼, Sakyamuni, Buddha) BC 624 4 8(음력) 해뜰 무렵 북인도 카필라 왕국(현재 네팔 지방)의 슈도다나(Suddhodana)왕과 마야(Maya)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석가는 태어나자마자 일곱 발자국을 걸어가 오른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왼손은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 하였다고 한다.

 

불교의 종주국인 인도 등에서는 예로부터 음력 4 8일을 석가의 탄일로 기념하여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음력 4월 초파일을 석가탄신일로 기념하며 1975 1 27일 대통령령으로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한편 국제연합(UN) 1998년 스리랑카에서 개최된 세계불교대회의 안건을 받아들여 양력 5월 중 보름달이 뜨는 날을 석가탄신일로 정하여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불교(佛敎)에는 4대 명절이 있다. 즉 불교의 개조(開祖)인 석가모니(釋迦牟尼)가 탄생한 것을 기리는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석가모니가 출가한 것을 기리는 출가일(出家日),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어 도를 이룬 것을 기리는 성도일(成道日), 그리고 석가모니가 80세에 이 세상을 떠난 날을 기념하는 열반일(涅槃日) 등이다.

 

‘부처님 오신 날’의 주요 행사는 관불 의식, 연등회, 탑돌이 등이 있다. ‘관불의식’은 향을 달인 물 향탕수(香湯水)로 아기 부처상을 목욕시키는 의식이다. 이 의식은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아홉 마리의 용이 더운물과 찬물을 뿜어 목욕시켰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불자(佛子)들은 아기 부처상의 정수리부터 물을 부으면서 몸과 마음이 깨끗해지기를 빈다.

 

‘연등회(燃燈會)’는 석가모니 앞에 등불을 켜고 세상을 밝히는 의식으로 불자들은 각자의 소원을 담아 정성껏 연등을 올린다. 세상의 어두운 곳을 밝히고자 하는 이 행사는 석가탄신일뿐만 아니라 정월 보름 등 다른 중요한 날에도 행해진다. ‘탑()돌이’는 석가모니의 유골이 담긴 탑 주위를 돌면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실천하겠다고 다짐하는 의식이다. 탑돌이를 할 때에는 오른쪽 어깨가 탑을 향하게 하면서 돈다.

 

석가모니는 보리수(菩提樹, bo-tree) 아래에서 해탈(解脫)하기 전까지는 호화로운 환경에서 자랐다. 그러나 해탈 후 금욕주의자로 지내며 수행을 쌓았다. 불교 초기 승려(僧侶)들은 먹고 사는 데 억매이지 않고 수행에만 전념하기 위하여 걸식(乞食)을 했다. 또한 걸식은 대중들에게 공양(供養)할 기회를 줌으로써 복을 쌓도록 하는 의미도 있었다. 불교 계율(戒律) 1/3은 탐식(貪食)을 경계하는 내용이다.

 

발우공양(鉢盂供養)이란 불교 사찰에서 행하는 전통적인 식사의례이며, 발우는 승려의 밥그릇을 말한다. 제일 큰 그릇은 밥그릇, 두 번째는 국그릇, 세 번째는 청수(淸水)그릇이며, 가장 작은 그릇은 찬그릇 등 모두 4개로 구성되어 있다. 밥과 국, 반찬은 각각 먹을 만큼만 담아, 남거나 모자라지 않게 한다. 공양이 끝나면 밥그릇과 국그릇, 찬그릇을 깨끗이 닦는다.

 

승려들은 절대 배불리 먹지 않는 게 계율이기에 하루 한 끼로 버텨내기도 한다. 특히 당일 정오부터 다음날 일출까지는 비시(非時)가고 해서 음식을 입에 대지 않았다. 또한 음식의 양도 중요하지만 음식의 종류도 철저히 가려 우선 고기는 자비의 종자를 끊는다는 측면에서 절대 포함시키지 않았다. 또 먹으면 사람들의 감정이나 신체를 어지럽히는 반응을 일으키는 오신채(五辛菜: 달래, 마늘, 부추, , 흥거)도 금했다.

 

우리나라에서 사찰음식(Temple Food)은 삼국시대 불교가 들어오면서 시작되어 1600년의 전통을 갖고 있으며, 최근에는 웰빙 붐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약리작용을 가진 보양식(補陽食)으로 손꼽히는 사찰음식은 열량이 적고 인공첨가물 등을 철저히 배제한다. 또 사찰 주변에서 나는 재료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철음식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나 지금이나 사찰음식이 힐링(healing)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시찰음식은 맛과 영양을 위시하여 그 속에 든 밝은 마음과 감사의 정신, 근검절약, 소식(小食) 등 마음 수행과도 연관이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사찰음식 전문점 ‘발우공양’이 미쉐린 가이드(The Michelin Guide Seoul) 스타 레스토랑으로 선정된바 있다.

 

페이스북 데이터 분석관 댄 지그몬드(Dan Zigmond)는 대학 졸업 후 태국 체류 때 승려 식습관을 관찰한 결과를 중심으로 ‘부처님 다이어트: 마음을 잃지 않고 체중을 줄이는 고대의 기법(buddha's diet: the ancient art of losing weight without losing your mind)’이라는 책을 코트렐(Tara Cottrell)과 공저로 발간했다.               

 

부처님 다이어트(Buddha's Diet)의 골자는 “하루 중 첫 식사와 마지막 식사 간격은 9시간으로 줄이고, 저녁 식사와 다음 날 첫 끼니 간격은 15시간으로 늘린다.”는 것이다. 즉 가령 저녁을 7시에 먹으면 다음 식사는 다음 날 오전 10시 이전에 먹지 않는 간헐적 단식(intermittent fasting)을 하는 것이다.

 

저자 지그몬드는 스님의 이른 새벽과 정오 식사 시간이 현대인에게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자신 삶의 패턴에 맞게 조정했다. 다만 9시간을 정하고, 음식 섭취와 단식을 반복했다. 지그몬드는 “이 방법으로 같은 열량을 먹고도 총 11kg을 감량했다”며 “숙면과 낮 활동에도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오존(Ozone)의 두 얼굴

댓글 0 | 조회 3,001 | 2016.07.20
지난달 환경부가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았던 ‘고등어’를 해양수산부는 미세먼지 논란으로 소비가 위축된 측면이 있어 소비 활성화를 위해 할인행사를 마련했다. 즉 수협(… 더보기

식도암(食道癌)

댓글 0 | 조회 2,962 | 2016.10.27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이름보다 ‘간(肝) 박사’ 애칭으로 더 알려진 김정룡(金丁龍)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님이 향년 82세를 일기로 10월 11일 별세했다. 언론 보도… 더보기

코로나19 재유행?

댓글 0 | 조회 2,954 | 2023.08.18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8월 9일(현지시간) 코로나19(COVID-19) 오미크론(Omicron)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바이러스인 EG.5를 스파이크(spik… 더보기

‘금징어’가 된 ‘오징어’

댓글 0 | 조회 2,938 | 2018.02.10
통계청(Statistics Korea)에 따르면 올해 가격이 급등하여 ‘금값’이 된 품목은 귤, 오징어, 달걀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 11개월간 귤 값은 전년 동… 더보기

나홀로族 ‘혼술’의 위험성

댓글 0 | 조회 2,911 | 2017.01.11
Merry Christmas! 12월 25일, 성탄절(聖誕節)이다. ‘Christmas’란 그리스도(Christ)와 미사(mass)가 합해진 단어로서, 그리스도의… 더보기

웰에이징(Well-aging)

댓글 0 | 조회 2,902 | 2017.06.29
생로병사(生老病死)는 사람이 이 세상에서 반드시 겪어야 하는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으로 인생의 노정(路程)이다. 우리가 세상에서 사람답게 사는 것이 웰빙… 더보기

보신탕(補身湯) 논란

댓글 0 | 조회 2,840 | 2016.08.16
최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영국인 여성 두 명이 ‘개고기’ 식용(食用) 불법화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는 장면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다. 이들은 영국 연극배우 … 더보기

꽃게와 전어 그리고 갈치와 낙지

댓글 0 | 조회 2,838 | 2016.10.26
바람이 서늘하다 싶을 때 해산물(海産物)은 맛이 들기 시작한다. 가을 바다의 별미로 꽃게, 전어, 낙지, 갈치 등을 꼽으며, 그 중에서 꽃게는 가을 바다를 대표하… 더보기

구본무 회장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댓글 0 | 조회 2,837 | 2018.05.29
“베풀며 살아라” 어머니의 뜻을 평생 지킨 우리나라 재계를 대표하는 화담(和談) 구본무(具本茂) LG그룹 회장이 5월 20일 7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지난 1년… 더보기

고등어 구이

댓글 0 | 조회 2,801 | 2016.07.04
고등어는 구이 조리과정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101㎍/㎥ 이상)의 22배 수준인 2290㎍까지 올라간다는 환경부 발표(5월 23일)로 인하여 고등어… 더보기

뭉크(Munch)와 신경증(神經症)

댓글 0 | 조회 2,793 | 2016.08.02
필자는 아내와 함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인문학(人文學) 강좌를 수강하고 있으며, 회갑 때부터 수강했으므로 금년이 18년째가 된다. 그동안 다양한 과목을 수강… 더보기

채식주의자(菜食主義者)

댓글 0 | 조회 2,782 | 2016.07.06
“아내가 채식을 시작하기 전까지 나는 그녀가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솔직히 말하자면, 아내를 처음 만났을 때 끌리지도 않았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더보기

방역패스와 추가접종

댓글 0 | 조회 2,769 | 2021.12.18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아래 사항을 꼭 지켜주세요! 21년 11월 15일부터 정부 방역 정책으로 백신 접종을 완료하지 않으신 분은 휘트니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더보기

아름다운 죽음을 살고 싶다

댓글 0 | 조회 2,726 | 2016.10.18
<날마다 아름다운 죽음을 살고 싶다>는 자원활동가 김옥라(金玉羅) 박사님의 생애사(生涯史) 제목이다. 김옥라 장로님 가족과 친지들이 지난 9월 27일 … 더보기

항생제 남용과 수퍼 박테리아(Super-bacteria)

댓글 0 | 조회 2,666 | 2017.01.04
세계보건기구(WHO)는 카바페넴(carbapenem)과 콜리스틴(colistin) 항생제(抗生劑)가 듣지 않는 mcr-1 유전자 내성균(耐性菌)이 사람에게서 발견… 더보기

지역별 암(癌) 발생률

댓글 0 | 조회 2,642 | 2016.12.21
우리나라에서 암은 흔한 질병으로 137만명 가량이 암 경험자이다. 암 경험자란 현재 암으로 치료받는 환자와 과거 암을 앓았지만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사람을 포함… 더보기

코로나 확진자의 비애(悲哀)

댓글 0 | 조회 2,630 | 2021.01.06
미국인들은 앤서니 파우치(Dr. Anthony Fauci) 국립알레르기ㆍ감염병연구소장을 ‘감염병 대통령’이라 부르며 신뢰한다. 파우치 소장이 지난 12월 19일 … 더보기

코로나 감염 요인들

댓글 0 | 조회 2,583 | 2022.06.30
20세기 인류의 목숨을 대량으로 앗아간 치명적 사건은 전쟁이 아니라 호흡기 전염병이었다. 즉, 1918년 스페인 독감(Spanish flu, 5천만명 사망 추정)… 더보기

현재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과 사찰음식(寺刹飮食)

댓글 0 | 조회 2,561 | 2017.05.03
금년은 불기(佛紀) 2561년이며, 5월 3일이 음력 사월 초파일(初八日) ‘부처님 오신 날’이다. 불기(佛滅紀元)란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입멸(入滅) 연대를 기준… 더보기

강봉균 장관, 체장암(膵臟癌)으로 별세

댓글 0 | 조회 2,543 | 2017.02.21
한국 경제의 거목, 강봉균(康奉均, 1943년 生)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 1월 31일 향년 7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강 전 장관은 2014년 췌장암(膵臟癌) 수… 더보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댓글 0 | 조회 2,494 | 2020.01.29
달콤한 나흘간의 설 연휴가 끝난 다음날(1월 28일) 아침에 배달된 신문 1면에는 마스크를 쓰고 있는 사람들의 사진과 ‘우한 폐렴’ 방역이 뚫렸다는 머리기사가 실… 더보기

코로나전쟁 장기화

댓글 0 | 조회 2,489 | 2021.08.31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 4단계가 실시되면서 헬스장에서 샤워가 금지되고, 러닝머신은 시속 6km까지 제한되었다. 필자는 매주 3회 월ㆍ수… 더보기

변종(變種)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댓글 0 | 조회 2,463 | 2020.07.11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환자가 1000만명이 넘었고, 사망자는 50만명을 초과했다. 이는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 더보기

델타 변이바이러스 확산

댓글 0 | 조회 2,448 | 2021.07.2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武漢)에서 처음 보고 된 이래 불과 1년 반여만에 웬만한 대도시 인구와 맞먹는 40… 더보기

당뇨병(糖尿病) 늘자, 신장병(腎臟病)도 급증

댓글 0 | 조회 2,442 | 2016.09.27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당뇨병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는 2010년 201만9000명에서 2015년 251만5000명으로 5년 사이에 50만 명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