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장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기억장치

0 개 714 조기조

나는 정보시스템을 공부하고 강의했다. 정보시스템은 정보를 만들고 제공하는 시스템이니 IPO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소위 입력(input), 처리(processing), 출력(output)이라는 3 과정이다. 입력하면 일단 저장되어 처리하고, 출력해도 저장되어 있어야 하니 저장이 잘 되어야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이 저장에 문제의 소지가 많다. 저장공간인 메모리와 데이터베이스(DB)가 정보시스템의 속도와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입력은 5감이라는 센서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뇌에서 처리하고 뇌에 저장한다. 그래서 기억이 중요한 것이다. 인간의 출력이란 우선, 쓰고 말(노래)하는 것이다. 


6ce27832bb6550ba1bc024945070c6dd_1620685870_5904.png
 

오래된 하드디스크에는 배드 섹터가 생긴다. 하드디스크 같은 기억장치는 레코드판처럼 돌아야 헤드(레코드의 바늘 같은)에서 읽을 수 있기에 많은 트랙을 여러 구역인 섹터로 나누어 저장 단위로 하였고, 여기에 번지(주소)를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다. 마치 대단지 아파트를 동과 층, 호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과 같은 것이다. 이 중에 물리적으로 손상이 되어 기억을 시키거나 불러내지 못하는 곳을 배드 섹터라고 한다. 우리의 뇌에 배드 섹터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지 않겠는가? 충격을 받거나 뇌혈관이 손상되지 않는다면 평생 쓰는 저장장치이니 결코 공장에서 만들 수 없는 저장장치를 가진 것이다. 


이젠 완연한 봄이고 곧 여름으로 들겠지만 지난 3월에는 날씨가 변덕스러웠다. 낮엔 덥고 밤이면 춥고, 양지는 따뜻하고 음지는 추웠다. 그래선지 머리가 무겁고 맑지 않았다. 잠이 덜 깬 것 같은 느낌에 몸도 마음도 무기력하였다. 코로나 블루라는 말이 있었으나 인터넷에 찾아보니 두불청(頭不淸)이라는 병 같았다. 영어로는 ‘brain fog’라고 하는 모양이다. 몇 년 전부터서 건망증처럼, 단어가 잘 생각나지 않는 것도 걱정이었다. 얼굴은 떠오르는데 사람 이름이 생각나지 않기도 하고...... 기억하는 전화번호가 거의 없고 가사를 몰라 노래를 부르기가 어렵다. 치매라면 어쩌나 싶어 더 나빠지기 전에 검사를 받아보기로 했다. 두 시간이 걸릴 거라는 검사는 쉽지 않았다. 지시에 따라 손가락을 움직이는지와 계산, 논리, 색 인지, 기억력 등을 묻는 다양한 검사였다. 그림을 보고 따라 그리고는 안보고 그걸 다시 그려보라는 것까지 오랜만에 보는 시험은 힘이 들었다. 그 중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열 개가 훨씬 넘을 것 같은 물건들을 들려주고 그걸 생각나는 대로 말해보라는데 잘해야 대여섯 개를 기억할까?


하여튼 치매는 아니라 해서 자신감을 얻었지만 이제 기억하고 저장하는 힘을 단련해 보기로 했다. 메모를 하고 있지만 그래도 뇌에다 기억해 보려고 한다. 약도 침도 있다는데 스스로 해결해 보기로 했다. 간단하다. 자강불식(自强不息)을 하는 것이다. 햇볕을 쬐고 많이 움직이면 된다. 매일, 만보(萬步)는 기본으로 채우기로 했다. 전해오는 건강명약이 만보라고 들었기 때문이다. 한 달이 지난 지금, 나날이 달라지는 것 같다. 불면증이 있을 리가 없다. 밥맛이 없을 리가 없다. 몸이 찌뿌둥할 리가 없다. 허리가 아플 리가 없다. 뛰다 걷다 하고 가끔은 언덕을 오르기도 한다. 돈 안들이고 내 발로 움직이는 것이 얼마나 귀하고 장한 일인가? 소식다작(少食多嚼)에, 소차다보(少車多步)에, 일소일소(一笑一少) 맞다. 


컴퓨터의 출력은 화면에 보여주고 인쇄하거나 스피커로 들려주는 정도이다. 그런데 인간의 몸은 엄청난 출력을 한다. 은퇴 후에 더 많은 입력과 출력을 하려고 버킷리스트(bucket list)를 적어보았다. 너무 많아서 우선 몇 가지를 시작했다. 그 중의 하나가 피아노 연주다. 벼르고 벼르다가 시작했는데 참 잘했다 싶다. 서두르지 않고 계속해서 대중가요 정도는 자연스럽게 연주하도록 해 볼 생각이다. 두 손을 따로 움직인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겠다. 누가 정했는지 기호로 고저, 장단, 강약에다 서로 어울리는 화음을 배치시키니 빠져들고 있다. 매일 감탄이다. 



어쩌다 또 시낭송 강의를 듣고 있다. 어줍지만 내가 좋아하는 시, ‘엄마걱정’은 외우고 있다. 외워보려고 몇 백번은 더 읽었을 것이다. 첼리스트 나탈리 망세(Nathalie Manser)의 ‘Les Anges(천사들)’를 배경으로 낭송해보니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또 ‘해는 시든지 오래’인데 열무 30단을 이고 시장에 가셔서 안 오시는 엄마를 기다리며 ‘찬밥처럼 방에 담겨’ 천천히, 천천히 숙제를 하는 소년이 된다. 그립고 죄송스러운 엄마를 생각하며...... 중학생 때 숙제로 시작한 영시 두 편은 아직도 암송한다. 한 줄을 까먹었다가 새로 찾아 익혔다. 한 달 전에 만개했던 벚꽃을 보며 또 부활절에 다시 생각나서 그걸 글로 적어볼까 하다가 미루고 말았다. 시인은 70평생에서 20년을 빼니 겨우(?) 50년이 남았다고 엄살이다.(And take from seventy springs a score, It only leaves me fifty more.) 내게 50년이 남았다면 축복일까 저주일까? 기억에는 이런, 몸과 머리를 쓰는 일들이 도움을 준다. 50년은커녕 30년이나 남았으면 좋겠다 싶은데 살아 움직이는 동안은 제대로 된 정보시스템이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고양이 목의 방울

댓글 0 | 조회 725 | 2022.07.26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유럽과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 대부분의 중앙은행이 놀라운 속도로 금리를 올리고 있다. 6월 중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 더보기

구두를 닦으며

댓글 0 | 조회 720 | 2022.07.12
구두닦이라는 직업이 있다. 이제 귀하신 몸이 되었다. 열 번을 닦으면 싸구려 구두 값이 되고 50번을 닦으면 좋은 구두 하나 값이 된다. 구두를 잘 닦으면 발걸음… 더보기

너른 세상, 별별 사람

댓글 0 | 조회 801 | 2022.06.28
페북의 위대함을 알았다는 한 무명 소설가는 인생의 호시절을 부모님 돕기와 시집살이, 육아로 다 보내고 이제 골병만 남았는데 별로 도움이 안 되는 ‘3식이’ 남편을… 더보기

헤어질 결심, 떠나갈 작정

댓글 0 | 조회 1,378 | 2022.06.15
나 비싼 재료로 하라할까 싶어 경계한다. 사진을 보니 신경치료를 했다는 부분이 선명치 못하다. 그래서 문제가 생겼고 그것 때문에 잇몸이 붓고 아프다는 것. 다시 … 더보기

봄에 심으라 하였더라

댓글 0 | 조회 943 | 2022.05.25
30여 년 전에 유럽여행을 하면서 스위스의 도시, 취리히와 제네바를 둘러보고는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도시 어느 곳에 텃밭이 있었고 두어 평으로 나누어 개인별로 … 더보기

생일 유감

댓글 0 | 조회 933 | 2022.05.10
어머님은 생일이 없었다. 언제 태어 나셨는지를 모를 리가 없었을 테지만 어머님이 당신의 생일을 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어쩌면은 미역국이 올라왔을 때 그게 어머니… 더보기

보시 유감

댓글 0 | 조회 892 | 2022.04.12
아침에 조금 일찍 집을 나서며 목련꽃 사진을 찍는다. 매일 반복하는 일이다. 나날이 눈곱 반 만큼씩이나 자라는 모습을 지켜본지가 거의 한 달이다. 물이 오르니 두… 더보기

놀이하는 인간과 도박

댓글 0 | 조회 882 | 2022.03.08
곧 졸업하면 취업할 것이라고 믿었던 아들, 꼬박꼬박 학교에 나가주니 고맙기도 하고 이제 목돈 부담되는 등록금 안 내도 되니 한 숨 펴겠다 싶었던 엄마가 마른하늘에… 더보기

거지같다니요!

댓글 0 | 조회 1,276 | 2022.01.26
‘거지같아요!’한다. 복불복프로그램에서 집어든 잔을 한 모금 마시고는 커피 아닌 까나리 액젓임을 알고 뱉은 일성이다. ‘거지같아요!’는 거지가 된 기분 이라는 것… 더보기

달보드레한 그 느낌

댓글 0 | 조회 751 | 2022.01.12
오늘 많이 걷고는 출출한데 뭘 먹을까로 걱정하다가 생각난 곳이 돌솥밥집이었다. 잿밥에 더 관심이 있다고 나는 돌솥에 눌어붙은 누룽지를 생각하며 밥은 적게 먹었다.… 더보기

친구의 칭구

댓글 0 | 조회 853 | 2021.12.22
페이스북을 하는 인구가 수억 명이다. 그런데 자주 찾는 사람을 친구라고 한다. 친구를 맺으면 올리는 글이나 사진, 댓글을 바로 알려준다. 친구가 무엇일까? 친구 … 더보기

인생은 설거지

댓글 0 | 조회 1,015 | 2021.11.23
평생을 피할 수 없는 일이 먹고 치우는 것이다. 먹기 위해서 요리를 하고 먹고 나면 설거지를 해야 하는 것이 당연지사. 요리도 설거지도 안하고 살 수 있다면 좋겠… 더보기

9월이 우는 소리

댓글 0 | 조회 787 | 2021.11.10
미루다가, 미루다가 일을 저질렀다. 용기를 낸 것이다. 마침, 눈 여겨둔 그 집 앞을 지나는데 문이 열린다. 한 아동이 가방을 들고 나섰고 선생님인 듯한 아주머니… 더보기

오징어 놀이와 오징어 게임

댓글 0 | 조회 1,117 | 2021.10.12
놀이와 게임은 같은 건가, 다른 건가? 결론은 다른 거다. ‘오징어 놀이’와 ‘오징어 게임’이 전혀 다르니 말이다. 오징어 게임에 왜 오징어가 들어갔는지 모르겠고… 더보기

강 이야기

댓글 0 | 조회 880 | 2021.10.07
무릇 문명은 강에서 시작됐다. 세계의 4대 문명 발상지도 강이다. 풍부한 물과 너르고 기름진 땅은 먹고 사는 문제를 쉽게 해결해 주기 때문일 것이다. 울산의 태화… 더보기

아프다니스탄!

댓글 0 | 조회 1,407 | 2021.09.14
미국이 철수하자 탈레반이 접수하고 IS가 한 발을 들여 놓은 아프가니스탄은 산스크리트어로 ‘동맹부족들의 땅’이라는 뜻인 우파가나스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고대엔 … 더보기

2020 도쿄 올림픽을 보고....

댓글 0 | 조회 1,234 | 2021.09.02
제 32회 도쿄 올림픽(2020)은 유난히도 더운 한 여름에 1년을 미뤄, 2021년 7월 24~8월 9일에 열렸다. 온통 마스크로 치장한 올림픽, 관중 없는 올… 더보기

물 좋고 정자 좋은 곳

댓글 0 | 조회 992 | 2021.08.24
대한민국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출산율을 보면 안다. 의료기술의 발달과 주거 및 근로환경의 개선, 건강 생활에 대한 정보가 늘어 수명이 길어지긴 해도 노령인구가… 더보기

며르치 똥

댓글 0 | 조회 1,014 | 2021.08.10
‘며르치’가 고긴가? 갈치, 넙치, 날치 등의 돌림이지만 그 반열에는 한참을 못 미치는 것 같다. 물론 크기를 보고 하는 말이다. 칼슘의 제왕이라 선전하지만 그리… 더보기

백발과 백수(白髮白壽)

댓글 0 | 조회 876 | 2021.07.13
바이러스처럼 달려드는 광고 때문에 거북스럽다, 아예 필요 없는 상품이면 관심을 두지 않겠지만 필요가 있으니 나 몰라라 할 수도 없다. 자주 졸기는 하지만 깊은 잠… 더보기

암호화폐

댓글 0 | 조회 933 | 2021.06.23
정책 결정 기구로 통화와 관련된 정책적 의사결정을 한다. 한국은행은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를 지속적으로 성장시켜 사람들이 살기 좋게 하기 위하여 화폐의 발행과 유… 더보기

쑥떡 쑥떡

댓글 0 | 조회 1,470 | 2021.06.09
한반도에는 ‘쑥’이란 글자가 들어가는 식물이 40여 종이나 있단다. 쑥떡을 해 먹는 일반 쑥(princeps)을 중심으로 개똥쑥(annua), 인진쑥(사철쑥 ca… 더보기

삼빠이 줌빠

댓글 0 | 조회 968 | 2021.05.25
1985년 3월 1일에 잠수정 SSM 051, ‘돌고래’를 취역시킨 이래 1990년 6월 1일 해군 제5성분전단 예하에 57잠수함전대를 창설하였고 94년에 잠수함… 더보기
Now

현재 기억장치

댓글 0 | 조회 715 | 2021.05.11
나는 정보시스템을 공부하고 강의했다. 정보시스템은 정보를 만들고 제공하는 시스템이니 IPO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소위 입력(input), 처리(processin… 더보기

펜트하우스 유감

댓글 0 | 조회 1,101 | 2021.04.28
“100층 펜트하우스의 범접불가 ‘퀸’,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욕망의 ‘프리마돈나’, 상류사회로의 입성을 향해 질주하는 ‘여자’와 채워질 수 없는 일그러진 욕망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