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일 유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생일 유감

0 개 926 조기조

어머님은 생일이 없었다. 언제 태어 나셨는지를 모를 리가 없었을 테지만 어머님이 당신의 생일을 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어쩌면은 미역국이 올라왔을 때 그게 어머니 생일상인지도 몰랐겠다는 생각이 이제야 든다. 어쨌든 가족들의 생일은 꼭 챙겨 주셨지마는 이미 오래 전에 돌아가신 당신은 당신의 생일을 챙기지 않으셨다. 결혼기념일도 챙기지 않으셨다. 16살에 가마를 타고 시집을 왔다는 이야기를 많이도 들었다. 고된 시집살이가 있었던 시절이라 들었다. 탄신 100주년을 훌쩍 넘긴 어머님! 그래서 나는 생일이나 결혼기념일 이런 것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자랐다. 


7fb5850fbca38bb4dd25bf861575de34_1652153928_7308.png
 

내가 결혼하고 난 뒤에 결혼기념일을 챙기지 못해 아내로부터 정말 형편없는 남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생일도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 나는 그런 걸 잘 몰랐고 또 직장 일에 얼마나 바빴던가? 가정보다 직장이 전부였던, 직장의 성공이 인생의 성공이라고 생각하던 때였다. 몇 년을 섭섭하게 생각다가 포기를 했는지 잠잠해 지고도 한참을 더 지나서야 생일과 결혼기념일을 챙기기 시작했다. 사실 내 생일도 잘 몰랐다. 음력 생일날로 출생신고를 했는데 그게 양력처럼 쓰였으니 매년 음력으로 지내는 생일날을 찾아 기억하기가 쉽지 않아서 생긴 일이다. 아내는 음력으로 할 때와 양력으로 할 때에 따라 나이가 한 살 달라진다. 그래서 초등학교를 한 해 먼저 들어갈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니 나이가 몇 살인지로 헷갈렸고 띠가 달라지기도 했다. 약 한달 차이가 나는 양력과 음력이 연말, 연시에 걸칠 때 일어나는 문제다.


몇 년 전부터 음력 생일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태어난 해의 양력날짜를 확인한 것이다. 그걸 가족들에게 공지했다. 매년 이 날로 하되, 주말이 아닐 경우 이 날과 가까운 주말로 보자고 선포한 것이다. 사실, 생일축하 한다고 파티를 해야 할까? 다 커서 출가한 자녀들에게 내 생일을 축하해 달라는 것은 이들에게 효와 예를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 시키는 것이다. 또 이를 구실로 만나보려는 뜻도 있다. 제 잘나서 저절로 크고, 밥 먹고 사는 것이라고 생각지는 않겠지만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이다. 파티를 열어주고 용돈이나 선물을 주면 넙죽 받고 있다. 도로 손주들에게 돌려줄 것이기 때문이다.


가족의 생일파티에서 촛불을 켜고는 그 초가 다 탈 때까지 서로 이야기를 한다. 가족들은 갑갑하다고 빨리 불을 켜자하지만 나는 촛불을 중심으로 머리를 맞대고 도란도란 이야기를 하는 것이었다. 촛불을 켰다가 금세 후욱 불어 끄고는 마음이 담기지 않은 생일 축가를 부르고 케익을 자르자 말자 한 조각 먹고 흩어지는 그런 생일파티는 안하는 것만 못하다는 것이 내 생각이었다. 그래서 사방이 어두운 가운데 양초 하나로 집중하는 시간에 우리들의 이야기를 해 보자는 것이었다. 그러고는 태어날 때의 이야기에 태몽을 빼지 않고 들려준다. 큰 애는 작은 용으로 꿈에 만났다. 작은 애는 아주 큰 뱀으로 만났다. 소룡(小龍)과 대사(大蛇), 어느 것이 더 큰 인물을 암시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주와 팔자도 좋다고 한다. 태몽과 사주, 팔자가 좋다해도 교육과 노력이 없으면 훌륭하게 되지 못할 것이라고 늘 했던 말이다. 그런데 무엇이 훌륭한 것일까? 나도 잘 모른다. 마치 내가 아직도 긍휼(矜恤)이라는 말을 잘 모르고 쓰는 것이나 비슷하다. 



어린 자녀들의 생일 파티는 중요하다. 인정받고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준다. 친구들을 초대해야 하고 초대받아야 한다. 초대받지 못하면 섭섭할 것이니 가능하면 많이 초대하라고 했다. 받고 싶은 선물도 미리 파악해 두어야 한다. 선물로 격려하고 또 잘하면 큰 선물을 주겠다고 약속을 받아둘 수도 있다. 초대한 친구들에게도 섭섭하지 않게 해야 하니 엄마는 신경 쓰이는 일이기도 하였다.


살다보니 흐뭇한 일도 있다. 지난 생일엔 뜻하지 않은 제자들이 찾아와 내 생일 파티를 열어준 것이다. 양보다 질이라며 내가 간단히 음식을 준비하고 그들이 케익과 와인을 가져왔다. 더 큰 선물은 가져온 사랑이다.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내 말이 아주 길었지만 경청해주었다. 그들도 가정이 있고 직장에 다 바쁘다. 그런데 미천한 선생을 챙기다니..... 내가 시 한 수를 읊었다.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물으니(松下問童子; 송하문동자) 선생님은 약초 캐러 떠났다 하네(言師采藥去; 언사채약거). 이 산 속에 계시지만(只在此山中; 지재차산중)  구름 깊어 계신 곳을 모른다 하네(雲深不知處; 운심부지처). 사실 나는 동자처럼 산문(山門)의 솔밭에 머물고 있다. 내가 캐는 약초는 그냥 쑥이며 고사리며 도라지 정도다. 가끔 문득 떠오르는 용어의 정의나 개념을 다시 생각해 본다. 늘 사용하면서도 잘 모르는 것들을 찾아서 알아본다. 시간이 나니 새롭게 공부하는 맛으로 산다. 사전을 찾는 것이 바로 채약(약초 캐기) 아니겠는가? 안개나 구름으로 덮인 심심산중이 아니고 근처의 도서관 정도이고 아니면 인터넷이나 사전으로도 충분한 약초 캐기다. 


태어난 날이 무어 그리 중요할까? 죽으면 또 그만이지 않던가? 죽어서도 사람들의 기억에 남으려면 그만한 일을 해야 할 것이다. 5월에 드니 거북하고 민망한 날이 스승의 날이고 어버이 날이다. 스승의 탈을 쓰고는 있지만 스승이 되지 못해서다. 챙길 어버이는 안 계시고 제대로 챙겨드리지도 못했는데 또 그저 그런 어버이가 되어 버렸으니 이 또한 어찌 민망하지 않겠는가? 

고양이 목의 방울

댓글 0 | 조회 723 | 2022.07.26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유럽과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 대부분의 중앙은행이 놀라운 속도로 금리를 올리고 있다. 6월 중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 더보기

구두를 닦으며

댓글 0 | 조회 718 | 2022.07.12
구두닦이라는 직업이 있다. 이제 귀하신 몸이 되었다. 열 번을 닦으면 싸구려 구두 값이 되고 50번을 닦으면 좋은 구두 하나 값이 된다. 구두를 잘 닦으면 발걸음… 더보기

너른 세상, 별별 사람

댓글 0 | 조회 794 | 2022.06.28
페북의 위대함을 알았다는 한 무명 소설가는 인생의 호시절을 부모님 돕기와 시집살이, 육아로 다 보내고 이제 골병만 남았는데 별로 도움이 안 되는 ‘3식이’ 남편을… 더보기

헤어질 결심, 떠나갈 작정

댓글 0 | 조회 1,371 | 2022.06.15
나 비싼 재료로 하라할까 싶어 경계한다. 사진을 보니 신경치료를 했다는 부분이 선명치 못하다. 그래서 문제가 생겼고 그것 때문에 잇몸이 붓고 아프다는 것. 다시 … 더보기

봄에 심으라 하였더라

댓글 0 | 조회 938 | 2022.05.25
30여 년 전에 유럽여행을 하면서 스위스의 도시, 취리히와 제네바를 둘러보고는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도시 어느 곳에 텃밭이 있었고 두어 평으로 나누어 개인별로 … 더보기
Now

현재 생일 유감

댓글 0 | 조회 927 | 2022.05.10
어머님은 생일이 없었다. 언제 태어 나셨는지를 모를 리가 없었을 테지만 어머님이 당신의 생일을 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어쩌면은 미역국이 올라왔을 때 그게 어머니… 더보기

보시 유감

댓글 0 | 조회 888 | 2022.04.12
아침에 조금 일찍 집을 나서며 목련꽃 사진을 찍는다. 매일 반복하는 일이다. 나날이 눈곱 반 만큼씩이나 자라는 모습을 지켜본지가 거의 한 달이다. 물이 오르니 두… 더보기

놀이하는 인간과 도박

댓글 0 | 조회 874 | 2022.03.08
곧 졸업하면 취업할 것이라고 믿었던 아들, 꼬박꼬박 학교에 나가주니 고맙기도 하고 이제 목돈 부담되는 등록금 안 내도 되니 한 숨 펴겠다 싶었던 엄마가 마른하늘에… 더보기

거지같다니요!

댓글 0 | 조회 1,273 | 2022.01.26
‘거지같아요!’한다. 복불복프로그램에서 집어든 잔을 한 모금 마시고는 커피 아닌 까나리 액젓임을 알고 뱉은 일성이다. ‘거지같아요!’는 거지가 된 기분 이라는 것… 더보기

달보드레한 그 느낌

댓글 0 | 조회 748 | 2022.01.12
오늘 많이 걷고는 출출한데 뭘 먹을까로 걱정하다가 생각난 곳이 돌솥밥집이었다. 잿밥에 더 관심이 있다고 나는 돌솥에 눌어붙은 누룽지를 생각하며 밥은 적게 먹었다.… 더보기

친구의 칭구

댓글 0 | 조회 848 | 2021.12.22
페이스북을 하는 인구가 수억 명이다. 그런데 자주 찾는 사람을 친구라고 한다. 친구를 맺으면 올리는 글이나 사진, 댓글을 바로 알려준다. 친구가 무엇일까? 친구 … 더보기

인생은 설거지

댓글 0 | 조회 1,008 | 2021.11.23
평생을 피할 수 없는 일이 먹고 치우는 것이다. 먹기 위해서 요리를 하고 먹고 나면 설거지를 해야 하는 것이 당연지사. 요리도 설거지도 안하고 살 수 있다면 좋겠… 더보기

9월이 우는 소리

댓글 0 | 조회 782 | 2021.11.10
미루다가, 미루다가 일을 저질렀다. 용기를 낸 것이다. 마침, 눈 여겨둔 그 집 앞을 지나는데 문이 열린다. 한 아동이 가방을 들고 나섰고 선생님인 듯한 아주머니… 더보기

오징어 놀이와 오징어 게임

댓글 0 | 조회 1,113 | 2021.10.12
놀이와 게임은 같은 건가, 다른 건가? 결론은 다른 거다. ‘오징어 놀이’와 ‘오징어 게임’이 전혀 다르니 말이다. 오징어 게임에 왜 오징어가 들어갔는지 모르겠고… 더보기

강 이야기

댓글 0 | 조회 874 | 2021.10.07
무릇 문명은 강에서 시작됐다. 세계의 4대 문명 발상지도 강이다. 풍부한 물과 너르고 기름진 땅은 먹고 사는 문제를 쉽게 해결해 주기 때문일 것이다. 울산의 태화… 더보기

아프다니스탄!

댓글 0 | 조회 1,398 | 2021.09.14
미국이 철수하자 탈레반이 접수하고 IS가 한 발을 들여 놓은 아프가니스탄은 산스크리트어로 ‘동맹부족들의 땅’이라는 뜻인 우파가나스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고대엔 … 더보기

2020 도쿄 올림픽을 보고....

댓글 0 | 조회 1,231 | 2021.09.02
제 32회 도쿄 올림픽(2020)은 유난히도 더운 한 여름에 1년을 미뤄, 2021년 7월 24~8월 9일에 열렸다. 온통 마스크로 치장한 올림픽, 관중 없는 올… 더보기

물 좋고 정자 좋은 곳

댓글 0 | 조회 986 | 2021.08.24
대한민국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출산율을 보면 안다. 의료기술의 발달과 주거 및 근로환경의 개선, 건강 생활에 대한 정보가 늘어 수명이 길어지긴 해도 노령인구가… 더보기

며르치 똥

댓글 0 | 조회 1,009 | 2021.08.10
‘며르치’가 고긴가? 갈치, 넙치, 날치 등의 돌림이지만 그 반열에는 한참을 못 미치는 것 같다. 물론 크기를 보고 하는 말이다. 칼슘의 제왕이라 선전하지만 그리… 더보기

백발과 백수(白髮白壽)

댓글 0 | 조회 873 | 2021.07.13
바이러스처럼 달려드는 광고 때문에 거북스럽다, 아예 필요 없는 상품이면 관심을 두지 않겠지만 필요가 있으니 나 몰라라 할 수도 없다. 자주 졸기는 하지만 깊은 잠… 더보기

암호화폐

댓글 0 | 조회 928 | 2021.06.23
정책 결정 기구로 통화와 관련된 정책적 의사결정을 한다. 한국은행은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를 지속적으로 성장시켜 사람들이 살기 좋게 하기 위하여 화폐의 발행과 유… 더보기

쑥떡 쑥떡

댓글 0 | 조회 1,461 | 2021.06.09
한반도에는 ‘쑥’이란 글자가 들어가는 식물이 40여 종이나 있단다. 쑥떡을 해 먹는 일반 쑥(princeps)을 중심으로 개똥쑥(annua), 인진쑥(사철쑥 ca… 더보기

삼빠이 줌빠

댓글 0 | 조회 963 | 2021.05.25
1985년 3월 1일에 잠수정 SSM 051, ‘돌고래’를 취역시킨 이래 1990년 6월 1일 해군 제5성분전단 예하에 57잠수함전대를 창설하였고 94년에 잠수함… 더보기

기억장치

댓글 0 | 조회 709 | 2021.05.11
나는 정보시스템을 공부하고 강의했다. 정보시스템은 정보를 만들고 제공하는 시스템이니 IPO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소위 입력(input), 처리(processin… 더보기

펜트하우스 유감

댓글 0 | 조회 1,098 | 2021.04.28
“100층 펜트하우스의 범접불가 ‘퀸’,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욕망의 ‘프리마돈나’, 상류사회로의 입성을 향해 질주하는 ‘여자’와 채워질 수 없는 일그러진 욕망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