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 - 익숙함과 편안함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인형 - 익숙함과 편안함

0 개 2,011 한얼
인형을 좋아한다. 이 사실 때문에 들은 수많은 지탄들을 일일이 열거하려면 입이 아플 정도로.

부드럽고 보송보송한 동물 인형에서부터 바비까지 모두 좋아한다. 피에로 인형이나 고딕 풍, 또는 동양 전통 풍에 가까운 인형들은 약간 소름이 끼치기도 하지만, 그래도 대체로 다 좋아하는 편이다. 이유는 모르겠다. 다만 인형을 보면 무척 편안한 마음이 든다. 가정적이고, 그야말로 ‘집’이라는 느낌. 인형을 둘 곳은 집 밖에 없어서 그런 걸까.

어렸을 때까지는 솜인형을 많이 모았고, 그 모든 동물 인형들과 함께 잠자리에 들곤 했다. 모두 이름이 있었고, 그 많은 인형들에게 괴어줄 베개가 없어 내 두 팔을 내어주었다. 그렇다 보니 항상 양 팔을 옆으로 쭉 벌리고 옆으로도, 모로도 눕지 못해 항상 빳빳하게 잠들었었다. 물론 일어나보면 베개며 인형은 모두 사방에 널려 있었고, 가끔 어떤 운 없는 녀석은 벽과 침대 사이에 끼어들어가곤 했지만 그 밤들을 꽤 기분 좋게 기억한다. 혼자 자는 것을 무서워했던 나를 안심시켜주곤 했던 인형들을.

물론 나이가 들면서 혼자 쓰는 침대의 편안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음을 깨달았고, 인형을 가지고도 노는 날들이 조금씩 줄어들면서 곰돌이들과 바비 인형들은 하나 둘씩 주변의 아이들에게 넘어갔지만, 그래도 아이의 유년기에서 인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법 크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 번 인형을 좋아하게 된 사람은 결코 그 일방적인 애정을 포기하지 못한다는 것도.

어른이 된 지금의 나도 여전히 인형과 함께 잠들고 있다. 다만 인형이라고만 하기엔 조금 어폐가 있는 것이, 베개로 사용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크고 푹신푹신하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도 깨어 보면 인형 겸 베개들이 뿔뿔이 흩어져 있는 게 당연한 풍경이긴 하다). 그리고 바비 인형 대신 구체관절인형을 소유하고 있다. 70cm의, 커다랗고 진짜 사람 같이 생긴 인형이다. 마음 같아선 이것도 바비처럼 모으고 싶지만, 바비 인형과는 비교도 안 되는 가격에 얌전히 포기하고 대신 인형에게 입혀줄 옷을 대신 산다.

그러니까, 인형은 어린 내게 있어선 안심의 근원이었고 지금에 있어선 욕망의 대리만족 대상인 셈이다. 인형을 사용하는 목적의 변천사란 참 기묘하다. 그때나 지금이나 아끼는 것은 매한가지면서도. 아니, 오히려 더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된다. 구체관절인형은 훨씬 비싸고 관리법이 까다로우므로.

지금도 유독 생각나는 인형이 하나 있다. 토끼 인형이었고, 아홉 살 때 첫 크리스마스 선물로 아빠에게서 받은 것이었다. 학교를 제외하고 그 인형을 항상 갖고 다녔었다. 엄마의 친구 집에 놀러 가게 되었을 때도 난 아무 생각 없이 그 인형을 들고 갔고, 거기서 그 집의 막내딸에게 꼼짝없이 그것을 빼앗기고 말았다. 다른 큰 아이들과 노는 사이 막내가 그걸 ‘찜’한 것이다.

집에 갈 때가 되어서 인형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아기가 뭘 이해하겠는가. 그저 이건 이제 자기 것이라고 떼를 쓸 뿐이었다. 고집이라면 나도 한 고집하지만, 엄마의 성마른 종용과 아줌마의 부탁에 결국 그 인형을 넘길 수밖에 없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내내 울며불며 했던 것도, 뚜렷이 기억한다. 오죽 한(?)이 맺혔으면 지금도 그 순간 순간을 필름 촬영된 사진처럼 선명하게 기억하며 이를 갈까. 내 것에 집착이 심한 성격이니 만큼 더더욱.

자초지종을 들은 아빠가 그 다음 크리스마스에 똑 같은 토끼 인형을 선물로 사주었지만 그것은 내게 있어선 다른 것이지, 같은 인형이 아니었다. 그것도 마찬가지로 아끼긴 했어도.

이렇듯, 인형이 내게 뜻하는 바는 무수히 많다. 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건 역시 - 상기했듯 - ‘익숙함’의 느낌이겠지만.

기계, 우리들의(아직은 불완전한) 동반자

댓글 0 | 조회 1,337 | 2013.09.24
얼마 전부터 노트북이 말썽이다. 또. 포맷한지 얼마나 됐다고 말썽인지, 마치 혼나도 혼나도 말썽을 피우는 꼬마 같다고 생각하며 좌절하고, 화를 내고, 투덜거렸다.… 더보기

화장 - 복잡한 신비로움

댓글 0 | 조회 1,500 | 2013.10.08
회사에 다니면서부터 나는 사회인이 되었고, 사회인이 되면서부터 시작한 것이 있다. 화장이다. 나는 그것에, 마치 낯설고 어려운 동물을 대하듯 다가가고 있다. 조심… 더보기

운전 - 핵심 감정들의 풀코스

댓글 0 | 조회 2,306 | 2013.10.23
운전은 몇 달 만에 처음이었다. 고등학교 때는 자동차가 무서워 생각도 하지 않았고, 대학 때는 버스나 배를 타고 다니면 되겠지, 하고 막연히 생각한 탓에 불과 작… 더보기

즐거운 자기 재확인

댓글 0 | 조회 1,028 | 2013.11.12
쇼핑을 좋아한다. 옷을 사거나 책을 사는 등의, 좋아하는 물건들을 사는 것만을 말하는 게 아니다. 일상 생활에 필요한 식료품이나 생필품을 사러 가는 일도 모두 즐… 더보기

즐거운 노동

댓글 0 | 조회 1,646 | 2013.11.26
집에 혼자 있는데도 빨래가 산더미처럼 쌓이곤 한다. 그것도 아주 자주. 이럴 땐 무척 당혹스럽다. 게다가 성미상 미루는 것에도 매우 소질이 없는지라 거의 사나흘에… 더보기

땅도 하늘도 바다도 아닌

댓글 0 | 조회 1,692 | 2013.12.24
땅이냐, 바다냐, 하늘이냐. 그렇게 묻는다면 난 옵션 중엔 없는 대답을 내놓을 것이다. 지하라고. 뉴질랜드에서 사는 동안 가장 그리웠던 것을 꼽으라면 단연코 지하… 더보기

결혼 - 머나먼 이야기

댓글 0 | 조회 2,080 | 2014.01.15
사촌 오빠의 결혼식이 있었다. 가까운 가족이 결혼하는 것은 처음이었다. 그래서인지 위화감이 굉장했다. ‘예쁘게’ 차려 입고 와야 하는 것은 거의 기정사실이었기에 … 더보기

외출 - 짧은 여행

댓글 0 | 조회 2,031 | 2014.01.30
한국에 오고 나서부터 부쩍 는 것이 있다면, 외출이다. 심심한 오클랜드에서 살던 때와는 대조적으로 거의 주말마다 외출을 하곤 한다. 보통 멀리 나가므로 - 지하철… 더보기

음악에 관한 두 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1,703 | 2014.02.12
얼마 전에 어떤 노래를 발견했다. 정말 끝내주게 아름답고 들을 때마다 슬픈 노래라서, 매일 적어도 세 번씩은 꼭 듣고 있다. 누구에게나 있지 않을까. 어쩌다가, … 더보기

목욕 - 쉬었다 가기

댓글 0 | 조회 2,165 | 2014.02.26
기회가 된다면 좀 더 자주, 기왕이면 매일매일 하고 싶은 것 중에 목욕이 있다. Take bath, 그러니까 단순히 몸을 씻는 샤워가 아닌 ‘목욕’이다. 말 그대… 더보기

머그컵 - 서서히 덥혀지는 손

댓글 0 | 조회 2,373 | 2014.03.26
애지중지하며 모으는 것들 중에 머그컵이 있다. 말 그대로 정말 머그컵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마실 것을 담는 컵들. 대부분은 원통형에 둥그런 손잡이가 달린… 더보기

게임 - 모든 이들을 위한 즐거움

댓글 0 | 조회 2,031 | 2014.04.09
게임을 좋아한다. 중독까진 아니더라도, 이틀에 한 시간 정도는 즐기곤 한다. 온라인 게임은 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동생이나 사촌 등이 하자고 열심히 졸랐을 때 설… 더보기

가메야마 - 만족스런 고독

댓글 0 | 조회 2,414 | 2014.04.24
출장 차 일본에 간 적이 있다. 도쿄나 교토, 오사카처럼 화려하거나 유명한 곳은 아니었다. 오히려 정반대였다. 아주 구석진 도시로, 그나마 ‘도시’라는 표현을 써… 더보기

놀이터

댓글 0 | 조회 1,213 | 2014.05.28
어른이 되었어도, 놀이터를 지나칠 때마다 뛰어들어가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사실 10대 후반까지만 해도 아무렇지도 않게 어린아이들의 틈바구니에 끼어 그네를 타고 … 더보기

명동 - 낯섦과 익숙함의 교차로

댓글 0 | 조회 1,939 | 2014.06.10
사실 한국에 살던 때에도 명동에는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다. 아주 멋지고, 그래서 놀기 좋은 동네라는 표현은 들어보았지만 직접 보지는 못했다. 그런 명동을, 아… 더보기

우주-언젠가 돌아갈

댓글 0 | 조회 1,886 | 2014.06.25
언젠가 꼭 가보고 싶은 곳 중에 우주가 있다. 우주의 어디? 라고 물으면 대답이 조금은 궁해지고 만다. 나폴리, 라던가 리스본, 처럼 딱히 명칭이 정해져 있는 곳… 더보기

고양이-우리와 가장 비슷한 동물

댓글 0 | 조회 2,581 | 2014.07.09
출근한 어느 주말이었다. 이 무더운 날씨, 나와 마찬가지로 좋던 싫던 이런 날에조차 직장에 나와야 하는 모든 이들을 애도하며 편의점에 들렀다. 열심히 음료수를 고… 더보기

애마-아니, 말 말고

댓글 0 | 조회 2,452 | 2014.07.24
운전 면허를 땄으니 당연한 일이겠지만, 내게도 자동차가 있다. 작고 까만 소형차로, 이름은 심플하게 모닝이라고 부른다 (난 내가 가진 모든 기계들에게 이름을 붙여… 더보기

향수, 향기와 기억

댓글 0 | 조회 2,250 | 2014.08.13
후각이 예민한 편이다. 어릴 적부터 그래왔다. 소설 <향수>의 주인공처럼 초인적이거나 하진 않지만, 그래도 꽤 냄새를 잘 맡는다. 누가 어떤 꽃 향기의… 더보기

부산여행 - 上

댓글 0 | 조회 1,554 | 2014.08.26
부산은 3년만이었다. 아니, 2년만이던가. 기억은 잘 나지 않지만 오랜만이라는 것은 확실했다. 비록 가는 길은 입석이었지만, 그래서 다섯 시간 반 내내 딱딱한 바… 더보기

부산여행 - 下

댓글 0 | 조회 1,921 | 2014.09.09
부산 여행에서 이런 저런 재미 있는 에피소드들이 있었지만 - 고작 1박 2일 사이에 그렇게 많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게 놀라울 정도로 - 그 중에서도 특히 기… 더보기

아기들 - 가까우면서도 가까이 하기 힘든

댓글 0 | 조회 1,999 | 2014.09.24
싫어하는 것/무서워하는 것 중에 아기가 있다. 네 발로 기어 다니던, 두 발로 걸어 다니던, 크던 작던 상관 없다. 아기를 보면 가장 먼저 느끼는 감정은 거부감이… 더보기

여행-그리하여 돌아올 따뜻한 익숙함

댓글 0 | 조회 1,682 | 2014.10.15
여행. 이 단어를 보면 사람들은 대개 뭘 떠올릴까. 나는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는 편이다. 차라리 고양이로 태어났으면 좋았을 거란 생각도 한다. 이리 뒹굴, 저리 … 더보기

현재 인형 - 익숙함과 편안함

댓글 0 | 조회 2,012 | 2014.10.29
인형을 좋아한다. 이 사실 때문에 들은 수많은 지탄들을 일일이 열거하려면 입이 아플 정도로. 부드럽고 보송보송한 동물 인형에서부터 바비까지 모두 좋아한다. 피에로… 더보기

양양 - 서프라이즈 바다 여행

댓글 0 | 조회 2,534 | 2014.11.12
바닷가에 다녀왔다. 일전에도 말한 것 같지만, 집을 떠나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편이다. 내 침대가 아닌 곳에선 잠을 이루지도 못하거니와, 낯선 분위기에 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