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비용에 대한 NZ 정부의 공식적인 안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출산비용에 대한 NZ 정부의 공식적인 안내

0 개 4,351 정동희

한때 뉴질랜드 원정출산이 성행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출산비용으로 얼마를 지불하든 간에, 뉴질랜드에서 자녀를 출생시켜서 평생 최고의 선물로 뉴질랜드 시민권을 선사하자! 는 결연한 의지의 부모들이 다분히 존재했었지요. 

 

하지만, 이 모든 일들이 지나간 역사의 한 페이지일 뿐 이제는 더 이상 그렇게 순진하지(?) 않은 뉴질랜드 정부랍니다.

 

시민권이야 못 받는다 해도, 출산에 드는 비용은 누가 지불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궁금해 하시는 많은 분들에게 뉴질랜드 정부(대표적으로 이민부와 건강부)가 공식적으로 안내하는 내용을 이민법에 능한 제가 직접 번역, 각색하여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이민부의 공식적인 영어문장(www.immigration.govt.nz)이 제 글에 우선함은 당연지사이며, 설령 정부(www.health.govt.nz)가 이렇게 안내하고 있다 하더라도 현장에서의 병원 관계자, 기타 국가 기관들의 해석과 적용 방향은 실제 케이스마다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싶습니다.

  

뉴질랜드 내에서의 출산비용(Maternity Health Care costs) 지불

 

3개(학생신분인 경우까지 포함하면 4개)의 옵션이 있습니다. 

● 정부 공식보조의 자격이 되지 않아 본인이 100% 부담하는 경우 : 최저 NZ$9,000 와 숙박, 생활비, 출국 항공권 등을 위한 추가 금액을 증명

● 위의 모든 비용을 개런티할 확실한 스폰서가 있는 상태에서 뉴질랜드에 오는 경우

● 학생비자로 입국시, 제 3자에 의하여 위의 모든 비용을 개런티 받으면서 뉴질랜드에 오는 경우

● 뉴질랜드의 출산에 관한 공공 의료혜택의 수혜자격이 있는 경우

 

비용 지불에 대한 능력의 증거서류

 

만일, 당신이 출산비용에 대하여 전적으로 책임지는 경우, 비자 신청시 다음과 같은 증빙서류를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만 합니다.

● 본인 명의의 은행 구좌 내역서 또는 신용카드, 여행자 수표 등등

 

뉴질랜드의 출산에 관한 공공 의료혜택 수혜여부

 

본인의 비자 상태에 따른 뉴질랜드의 출산에 관한 공공 의료혜택 수혜여부에 관해서는 아래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93c09da9113e5a84b71b5335e587c5c3_1485388931_6766.jpg
 

뉴질랜드의 출산에 관한 공공 의료혜택 수혜여부 기타 사항

 

만일 귀하가 위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다음의 경우에 해당된다면 공공 의료혜택의 수혜 자격여부를 상담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 the partner of an eligible person

● a claimant for refugee or protection status

● a victim of people trafficking

● between 18 and 19 years old and your parent(s) held a work visa as at 15 April 2011, which has not yet expired. Your parent(s) must have been eligible under the former ‘Health and Disability Services Eligibility Direction 2003’, or

● a UK national - you may be eligible under the UK Reciprocal Health Agreement for partial funding of maternity health services. This generally means that immediate and necessary maternity care, including labour, birth and conditions related to pregnancy requiring prompt treatment are covered. Routine antenatal and postnatal services are not covered. Partners of UK nationals are not eligible.

 

Q & A로 풀어 보는 출산 관련 질문들

 

문 : 저는 뉴질랜드 시민권자이며 아내가 방문비자 신분인데 임신 중입니다. 아내가 출산관련 공공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까? 

답 : 가능합니다. 단, 귀하와의 관계를 입증할만한 충분한 증빙서류가 제시되어야만 할 것입니다. 

 

문 : 저의 파트너가 뉴질랜드 시민권자이며 저는 방문비자 소지자입니다. 저는 뉴질랜드 출산에 관한 공공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저는 낙태를 원하고 있습니다. 낙태관련 비용도 써포트 되는지요?

답 : 불가능합니다.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2017 이민환경의 변화를 말하다

댓글 0 | 조회 5,059 | 2017.01.11
모든 것은 환경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부터 환경이 변화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 더보기

8월로 예정된 이민법 강화를 論하다

댓글 0 | 조회 5,048 | 2017.04.26
늘 변화는 있게 마련입니다. 본인의 변화와 타자 또는 환경의 변화는 우리네 삶에 많은 변주곡을 만들어 냅니다.뉴질랜드 이민부는 정기, 부정기적으로 이민법에 변화를… 더보기

비자신청서 심사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안내

댓글 0 | 조회 5,001 | 2017.04.11
뉴질랜드 이민부는 각종 비자와 체류 및 정착, 그리고 이민법을 포함한 노동법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와 법조항을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오늘은 비… 더보기

유학생 학생비자와 가디언비자 연장 TIP

댓글 0 | 조회 4,917 | 2013.12.24
유학생 자녀를 데리고 뉴질랜드에서 장기유학 중이신 분들이라면 누구든지 다음의 두 가지 타입의 비자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자녀가 Internat… 더보기

영주권 프로젝트 요리학과 도전기

댓글 0 | 조회 4,860 | 2013.07.24
최근 몇 년간 기술이민 카테고리를 통해 영주권을 받은 한인들의 대부분은 소위 “유학 후 이민의 요리학과” 출신자들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더보기

영주권자에 대한 이민부의 답변노트

댓글 0 | 조회 4,859 | 2017.06.27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체류 및 비자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을 모아 놓고 공식적인 답변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로, 영주권자에 대… 더보기

지난 몇 년간 얼마나 많은 영주권자가 나왔나?

댓글 0 | 조회 4,835 | 2021.03.24
이민부의 회계년도는 매년 7월 1일 새로 시작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통계자료까지 1년에 딱 한번만 공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1998년부터 뉴질랜드 이민컨설팅을… 더보기

나는 언제 160점이 될까? (신기술이민법 분석 2탄)

댓글 0 | 조회 4,809 | 2016.11.09
지난 호에서는 기술이민의 대폭적인 강화와 부모초청이민의 잠정적 중단을 포함한 10.12 이민법 개정에 대한 주요 변경 사항을 짚어보았는데요. 오늘은 과연, 어떻게… 더보기

“유학후 이민”을 통한 영주권 사례 모음

댓글 0 | 조회 4,772 | 2016.07.14
대한민국 국적의 월평균 뉴질랜드 영주권 승인자가 몇 명인지 대충 아시는지요?지난 6월 30일로 마감된 이민부의 2015/2016 회계연도의 통계자료가 아직 발표되… 더보기

요리 대신 Hospitality로 영주권에 도전할까?

댓글 0 | 조회 4,752 | 2016.01.14
18년 이민컨설팅 경력자인 저에게 2016년도 이민전망에 대해 물었습니다. 이에 대한 저의 대답은 1년 전과 동일하게도, “거두절미하고. 대세는 역시 요리학과지요… 더보기

이민부가 안내하는 각종 심사동향

댓글 0 | 조회 4,733 | 2013.06.12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그리고 법무사용 뉴스레터 등을 통해 각종 이민정보와 이민법, 그리고 최근의 심사동향에 대해 친절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 이거 실화냐?

댓글 0 | 조회 4,729 | 2018.10.09
영주권자나 시민권자의 파트너쉽을 통한 비자 취득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임시 비자(비영주권 비자)인 Temporary visa와 영주권 비자인 Resident… 더보기

한 눈에 보는 특별법 이전의 이민법

댓글 0 | 조회 4,678 | 2020.05.13
아주 조만간, 1년의 한시적인 “COVID19 특별이민법”이 발표와 함께 전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COVID19(이하, 코로나) 사태로 인한 각종 비자…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전하는 최신이민정보

댓글 0 | 조회 4,558 | 2021.04.29
코로나-19로 인한 비자심사의 장기간 중단, 연기, 지연 등으로 그동안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현상들이 나타났지요. 결국, ‘비정상의 정상’ 이라는 말이 익숙해진… 더보기

악! 소리 나는 신기술이민법에 스포트라이팅 !! (1탄)

댓글 0 | 조회 4,549 | 2016.10.27
공교롭게도, 지난 582호 칼럼이 구법 의향서의 마지막 분석이 되고 말았습니다.“채택이 너무 넘쳐나므로 곧 이민부의 대책이 나올 것이며 법을 강화하여 의향서 채택… 더보기

2021 특별 영주권 최신뉴스

댓글 0 | 조회 4,532 | 2021.12.21
12월 1일의 이민부 홈페이지는 하루 종일 꽉 막혀 있어서 참으로 답답한 날이었지요. 당일 뿐 아니라 수삼일간 이런 일이 이어지면서 수많은 예비영주권자들의 원성은… 더보기

숫자로 알아보는 이민법 (워크비자편)

댓글 0 | 조회 4,517 | 2018.07.24
모든 언어는 숫자와 아주 가까운 관계에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숫자도 언어의 일부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마치 우리네 삶 속에 아주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더보기

이민부의 워크비자 필독 수첩

댓글 0 | 조회 4,445 | 2017.06.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각종 정보 및 가이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워크비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Q&A를 제… 더보기

영어 없는 영주권 신청하기

댓글 0 | 조회 4,391 | 2019.08.28
영주권이라는 산을 오르는 데는 몇 가지 등산로가 있지요. 가장 많이 알려진 루트가 기술이민입니다. 학력/경력/잡오퍼/배우자 학력과 잡오퍼 등의 여러 분야에서 모으… 더보기

유학후 이민? 어, 유학후 이민 ~~~

댓글 0 | 조회 4,387 | 2017.12.05
뉴질랜드 이민이 지난 1,2년 사이에 참으로 ‘대략난감’해지면서 더욱 험난한 시절을 예상하는 저희 이민 업계에서는 새로운 정부의 이민정책이 어느 방향으로 개정이 … 더보기

한 눈에 들어오는 최신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4,383 | 2021.08.25
그동안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던 “COVID-19(이하, 코로나) 제로 국가”에서 불명예 제대를 하고. 결국 매일 오후 1시에 발표되는 확진자 숫자에 모든 이목을… 더보기

인트림비자 (Interim visa)와 불법체류

댓글 0 | 조회 4,376 | 2016.03.10
뉴질랜드 내 “의도하지 않았던” 불법체류의 시대는 인트림 비자법 시행 이전과 이후로 나뉘게 되는데요. 2011년 2월에 도입된 이 법으로 인하여 많은 분들이 의도… 더보기

일목요연~~의존자녀의 비자와 영주권

댓글 0 | 조회 4,354 | 2018.03.27
부모가 영주권자인데, 자녀(들)이 비영주권자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혼, 재혼 등으로 인하여 자녀를 제외하고 영주권을 받은 부모도 있고, 미성년 자녀의 양육권… 더보기
Now

현재 출산비용에 대한 NZ 정부의 공식적인 안내

댓글 0 | 조회 4,352 | 2017.01.26
한때 뉴질랜드 원정출산이 성행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출산비용으로 얼마를 지불하든 간에, 뉴질랜드에서 자녀를 출생시켜서 평생 최고의 선물로 뉴질랜드 시민권을 선사… 더보기

어쩌다 딱 한 번의 특별 영주권

댓글 0 | 조회 4,346 | 2021.10.28
New 2021 Resident Visa지난 9월 30일, 뉴질랜드 정부는 2021년판 영주권 특별법을 발표하면서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2021년 9월 29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