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권 프로젝트 요리학과 도전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영주권 프로젝트 요리학과 도전기

0 개 4,863 정동희
최근 몇 년간 기술이민 카테고리를 통해 영주권을 받은 한인들의 대부분은 소위 “유학 후 이민의 요리학과” 출신자들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작년부터 관련 이민법조항이 강화되면서 많은 분들이 입학을 포기해야만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길은 아예 막힌 길일까요? 오늘, 그 궁금증을 문답형식으로 하나씩 풀어봅니다. 
 
문 : 요리학과를 졸업하면 영주권을 받을 수 없으며 영어성적표 제출면제도 안되나요?
답 : 아닙니다. 1년 또는 2년 과정을 졸업하면 영주권 도전이 가능한 요리사 또는 baker로서의 자격을 얻음과 동시에 전화 인터뷰 통과할 실력만 되시면 영어성적표 없이 영주권을 신청해볼 수 있습니다. 
 
문 : 1년과 2년 과정은 졸업후 비자혜택 면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죠?
답 : 1년 과정이 아닌 2년 과정을 마치면 오픈 잡서치 워크비자와 향후 최장 2년의 워크비자도 가능합니다. 
 
문 : 1년이든 2년이든 둘다 배우자 워크비자를 통한 자녀학비 면제 혜택은 없지요?
답 : 안타깝게도, 혜택이 없습니다. 다만, 배우자는 방문비자를 학업자의 학생비자 기간만큼 받아서 체류할 수는 있지요.
 
문 : 1년 과정 요리학과는 레벨 4인가요?
답 : 학교마다 다릅니다. 레벨 4 과정을 이수하면 baker, pastrycook으로만 진로가 가능하구요. 레벨 5는 chef의 자격을 부여합니다.
 
문 : 이들 과정에 입학할 영어조건은 어떤가요?
답 : 현재, (학교)자체시험만으로 입학이 허가되는 학교는 몇 개 되지 않으며 인지도가 높은 “대표주자(학교)” 들은 이젠 IELTS 5 또는 5.5 성적표가 있어야만 입학이 가능해졌습니다.
 
문 : 1년 과정을 졸업하면 향후 비자문제는 어떻게 풀어갑니까?
답 : 고용제의(잡오퍼) 소지여부가 관건이죠. 학업을 마쳤으나 학생비자 만료이전에 잡오퍼가 있다면 바로 워크비자를 신청할 수 있지만, 없다면 일단 방문비자로 돌린 후에 잡오퍼를 찾아 워크비자를 신청하게 됩니다.
 
문 : 1년 과정 졸업자의 영주권은 어떻게 진행됩니까?
답 : 크게 2가지를 염두에 두십시오. 하나는 영어입니다. 영어는 위에 조언 드렸듯, 영어인터뷰 자격을 득했으니 언제라도 인터뷰에 자신이 있을 때가 적기이며, 또 하나는 잡오퍼 문제입니다. 결국, 잡오퍼가 안정적이면서 영어에 자신이 있다면 그때가 영주권 신청시기입니다.
 
문 : 그렇다면, 영어인터뷰에 자신 있는 자가 1년 과정 졸업 후 워크비자를 받자마자 바로 영주권 신청이 가능하단 말씀입니까?
답 : 맞습니다. 빠르면 학업시작부터 영주권까지 1년 반 만에 또는 2년 만에 영주권을 거머쥘 수도 있다는 말이죠. 
 
문 : 2년 과정이 학비가 1년에 비해 두 배 조금 안 된다 던데 이 과정의 장점은 무엇이죠?
답 : 가장 큰 혜택은 졸업 후 최장 3년까지 이어질 수 있는 워크비자입니다. 즉, 학업 2년만 고생하면 그 후의 혜택은 아주 크다는 점입니다. 또한, 학력 레벨 3,4,5를 다 취득하게 되어 chef뿐 아니라 baker, pastrycook 등의 직업으로도 진출이 가능하다는 점이죠. 게다가 어떤 학교는 2학년 과정 중에 인턴쉽 프로그램을 통해 최고 $8,000까지도 벌 수 있다는 개런티도 합니다. 
 
문 : 배우자의 오픈 워크비자에 대해 정리해주세요.
답 : 1년이든 2년이든 재학 기간 동안 배우자는 방문비자 외엔 방도가 없습니다만, 졸업 후에 주신청자가 잡서치비자나 워크비자를 받게 되면 자연스레 배우자는 오픈 워크비자를 받게 되어 합법적인 취업이 가능해집니다. 
 
문 : 독신자에게 유리한 과정은 1년짜리입니까?  
답 : 그럴 수 있습니다만, 재학 기간 동안에 반드시 잡오퍼를 찾아야만 바로 워크비자와 영주권으로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 1년 과정의 부담감이랍니다. 
 
P.S : 이 “유학 후 이민” 과정은 이민에 대한 컨설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학 및 이민까지 다 아우르는 컨설팅을 가까이 하시길…. 
 

2017 이민환경의 변화를 말하다

댓글 0 | 조회 5,064 | 2017.01.11
모든 것은 환경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부터 환경이 변화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 더보기

8월로 예정된 이민법 강화를 論하다

댓글 0 | 조회 5,049 | 2017.04.26
늘 변화는 있게 마련입니다. 본인의 변화와 타자 또는 환경의 변화는 우리네 삶에 많은 변주곡을 만들어 냅니다.뉴질랜드 이민부는 정기, 부정기적으로 이민법에 변화를… 더보기

비자신청서 심사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안내

댓글 0 | 조회 5,006 | 2017.04.11
뉴질랜드 이민부는 각종 비자와 체류 및 정착, 그리고 이민법을 포함한 노동법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와 법조항을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오늘은 비… 더보기

유학생 학생비자와 가디언비자 연장 TIP

댓글 0 | 조회 4,922 | 2013.12.24
유학생 자녀를 데리고 뉴질랜드에서 장기유학 중이신 분들이라면 누구든지 다음의 두 가지 타입의 비자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자녀가 Internat… 더보기

영주권자에 대한 이민부의 답변노트

댓글 0 | 조회 4,864 | 2017.06.27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체류 및 비자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을 모아 놓고 공식적인 답변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로, 영주권자에 대… 더보기

현재 영주권 프로젝트 요리학과 도전기

댓글 0 | 조회 4,864 | 2013.07.24
최근 몇 년간 기술이민 카테고리를 통해 영주권을 받은 한인들의 대부분은 소위 “유학 후 이민의 요리학과” 출신자들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더보기

지난 몇 년간 얼마나 많은 영주권자가 나왔나?

댓글 0 | 조회 4,837 | 2021.03.24
이민부의 회계년도는 매년 7월 1일 새로 시작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통계자료까지 1년에 딱 한번만 공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1998년부터 뉴질랜드 이민컨설팅을… 더보기

나는 언제 160점이 될까? (신기술이민법 분석 2탄)

댓글 0 | 조회 4,813 | 2016.11.09
지난 호에서는 기술이민의 대폭적인 강화와 부모초청이민의 잠정적 중단을 포함한 10.12 이민법 개정에 대한 주요 변경 사항을 짚어보았는데요. 오늘은 과연, 어떻게… 더보기

“유학후 이민”을 통한 영주권 사례 모음

댓글 0 | 조회 4,779 | 2016.07.14
대한민국 국적의 월평균 뉴질랜드 영주권 승인자가 몇 명인지 대충 아시는지요?지난 6월 30일로 마감된 이민부의 2015/2016 회계연도의 통계자료가 아직 발표되… 더보기

요리 대신 Hospitality로 영주권에 도전할까?

댓글 0 | 조회 4,758 | 2016.01.14
18년 이민컨설팅 경력자인 저에게 2016년도 이민전망에 대해 물었습니다. 이에 대한 저의 대답은 1년 전과 동일하게도, “거두절미하고. 대세는 역시 요리학과지요… 더보기

이민부가 안내하는 각종 심사동향

댓글 0 | 조회 4,737 | 2013.06.12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그리고 법무사용 뉴스레터 등을 통해 각종 이민정보와 이민법, 그리고 최근의 심사동향에 대해 친절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 이거 실화냐?

댓글 0 | 조회 4,735 | 2018.10.09
영주권자나 시민권자의 파트너쉽을 통한 비자 취득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임시 비자(비영주권 비자)인 Temporary visa와 영주권 비자인 Resident… 더보기

한 눈에 보는 특별법 이전의 이민법

댓글 0 | 조회 4,680 | 2020.05.13
아주 조만간, 1년의 한시적인 “COVID19 특별이민법”이 발표와 함께 전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COVID19(이하, 코로나) 사태로 인한 각종 비자…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전하는 최신이민정보

댓글 0 | 조회 4,562 | 2021.04.29
코로나-19로 인한 비자심사의 장기간 중단, 연기, 지연 등으로 그동안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현상들이 나타났지요. 결국, ‘비정상의 정상’ 이라는 말이 익숙해진… 더보기

악! 소리 나는 신기술이민법에 스포트라이팅 !! (1탄)

댓글 0 | 조회 4,551 | 2016.10.27
공교롭게도, 지난 582호 칼럼이 구법 의향서의 마지막 분석이 되고 말았습니다.“채택이 너무 넘쳐나므로 곧 이민부의 대책이 나올 것이며 법을 강화하여 의향서 채택… 더보기

2021 특별 영주권 최신뉴스

댓글 0 | 조회 4,536 | 2021.12.21
12월 1일의 이민부 홈페이지는 하루 종일 꽉 막혀 있어서 참으로 답답한 날이었지요. 당일 뿐 아니라 수삼일간 이런 일이 이어지면서 수많은 예비영주권자들의 원성은… 더보기

숫자로 알아보는 이민법 (워크비자편)

댓글 0 | 조회 4,522 | 2018.07.24
모든 언어는 숫자와 아주 가까운 관계에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숫자도 언어의 일부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마치 우리네 삶 속에 아주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더보기

이민부의 워크비자 필독 수첩

댓글 0 | 조회 4,450 | 2017.06.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각종 정보 및 가이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워크비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Q&A를 제… 더보기

영어 없는 영주권 신청하기

댓글 0 | 조회 4,396 | 2019.08.28
영주권이라는 산을 오르는 데는 몇 가지 등산로가 있지요. 가장 많이 알려진 루트가 기술이민입니다. 학력/경력/잡오퍼/배우자 학력과 잡오퍼 등의 여러 분야에서 모으… 더보기

유학후 이민? 어, 유학후 이민 ~~~

댓글 0 | 조회 4,392 | 2017.12.05
뉴질랜드 이민이 지난 1,2년 사이에 참으로 ‘대략난감’해지면서 더욱 험난한 시절을 예상하는 저희 이민 업계에서는 새로운 정부의 이민정책이 어느 방향으로 개정이 … 더보기

한 눈에 들어오는 최신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4,385 | 2021.08.25
그동안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던 “COVID-19(이하, 코로나) 제로 국가”에서 불명예 제대를 하고. 결국 매일 오후 1시에 발표되는 확진자 숫자에 모든 이목을… 더보기

인트림비자 (Interim visa)와 불법체류

댓글 0 | 조회 4,385 | 2016.03.10
뉴질랜드 내 “의도하지 않았던” 불법체류의 시대는 인트림 비자법 시행 이전과 이후로 나뉘게 되는데요. 2011년 2월에 도입된 이 법으로 인하여 많은 분들이 의도… 더보기

일목요연~~의존자녀의 비자와 영주권

댓글 0 | 조회 4,359 | 2018.03.27
부모가 영주권자인데, 자녀(들)이 비영주권자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혼, 재혼 등으로 인하여 자녀를 제외하고 영주권을 받은 부모도 있고, 미성년 자녀의 양육권… 더보기

출산비용에 대한 NZ 정부의 공식적인 안내

댓글 0 | 조회 4,354 | 2017.01.26
한때 뉴질랜드 원정출산이 성행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출산비용으로 얼마를 지불하든 간에, 뉴질랜드에서 자녀를 출생시켜서 평생 최고의 선물로 뉴질랜드 시민권을 선사… 더보기

어쩌다 딱 한 번의 특별 영주권

댓글 0 | 조회 4,353 | 2021.10.28
New 2021 Resident Visa지난 9월 30일, 뉴질랜드 정부는 2021년판 영주권 특별법을 발표하면서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2021년 9월 29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