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의 기술(2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시험의 기술(2부)

0 개 1,598 김준

지난 컬럼엔 시험장에서 학생들이 지켜주었으면 하는 일들을 적었다. 이번호엔 5회에 걸친 공부의 기술 시리즈의 막을 내리는 ‘시험 준비’에 대한 글을 적고자 한다. 


■ 평소에 준비하자 

 

‘벼락치기’-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음직하고 실제로 경험해본적이 있는 단어일 것이다. 그리고 많은 경우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이곳 뉴질랜드에서 시행되는 시험들은 벼락치기로 결과를 향상시킬수 있는 종류의 시험들이 아니다. 암기나 단순 지식 위주의 시험들이 아니라 학생들의 수학 능력을 평가는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있기 때문인데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험기간보다는 평소의 시험준비가 더욱 중요한 것이 당연지사다. 

 

평소의 준비라는 것은 시험기간에 공부할 자료를 만드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매 단원이 끝날 때 마다 해당 챕터의 기출문제를 프린트해서 풀어보고 마킹하고 정리해 두는 것과 학교 혹은 학원에서 수업한 내용을 나름의 노트에 정리해 놓는 것이 그것이다. 사실 시험준비에 사용할 자료들은 다른 것 필요 없고 위의 두 가지면 충분하다. 텍스트북에 메모하고 밑줄을 쳐가며 정리해 놓은 것 또한 성실하게만 만들었다면 아주 좋은 노트의 예라 하겠다. 이런 평소의 준비작업이 면밀하게 되어 있어야만 시험에 임박해서도 차분하게 준비에 임할 수 있다는 걸 명심하고 평소의 준비를 게을리 하지 않도록 하자.  

 

■ 시험준비는 두 번에 걸쳐서!

 

필자의 학생들이라면 누누히 들어봤을법한 필자의 충고가 하나있다. 바로 ‘시험준비는 두번 하는 것’ 이란 말인데 한국에서 경험한 수능이나 학력고사를 기억한다면 해당되지 않겠지만 이곳 뉴질랜드의 상황으로 볼 때 가장 적합한 시험 준비 스케쥴이 아닌가 싶다. 대개의 중요한 시험들은 하루에 전과목을 다 치르는 것이 아니라 짧게 일주일에서 길게는 한달에 걸쳐 시험을 치르게 된다. 물론 과목당 2~3개의 세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이정도의 여유있는 시험 스케쥴은 우리 학생들에게 시험 사이사이의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준다.   

    

사실 학생들이 최고의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점이 시험장에 앉아 ‘초치기’를 할 때라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시험 하루전, 이틀전이 너무나 중요한 시간인 것을 알 수 있는데 간혹 이 긴박한 시간에 한해 동안 공부한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며 시간을 보낸다든지 그제서야 정리노트를 만들어 외워보겠다는 등의 엉뚱한 일에 시간을 낭비하는 학생들을 본다. 시험 준비를 두 번 한다는 것은 공부할 거리를 준비하는 1차 과정과 준비한 것을 학습하는 2차 과정이 있는데 좀 더 현실적인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어떤 학생이 금요일과 다음주 화요일, 수요일에 시험이 있다고 하면 금요일 시험이 끝나고 나서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의 시간을 투자해 화요일 귀가 후 수요일 시험에 대비해 공부할 거리를 준비해 놓는다는 이야기가 되겠다. 리뷰 할 문제들을 뽑아 추려놓고 텍스트북이나 노트에서 중요한 포인트를 찾아 탭을 붙이는 등의 잡다한 준비작업이 미리 끝나 있어야 화요일 시험 후 귀가 하자마자 시간낭비 없이 다음날을 준비할 수 있다. 집중력이 덜한 시점에서 준비작업을 하고 극대화 될 시점에서 실제 정리, 암기, 리뷰작업을 하는 것은 시험기간의 귀중한 시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 두뇌는 잠꾸러기.. 일찍 일어나자

 

학생들은 시험기간엔 밤을 세워야 하고 눈이 벌겋고 정신이 몽롱한 체 시험장에 들어가 커피나 V 한 캔으로 정신을 차려야 정말 시험기간의 학생답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왜 그리 밤새는 것을 좋아하는지… 그런데 정작 밤새서 공부하는 것은 두뇌를 더 피곤하게만 할뿐더러 수면 중 정보정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논리적이고 정밀한 답을 요구하는 시험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기껏해야 ‘난 할 만큼 했어..’ 하는 자기 위안 정도랄까…

 

두뇌는 매우 정교하게 일하는 기관이고 따라서 컨디션에 극도로 예민하다. 혈류량에 민감하기 때문에 시험날 아침 배부르게 먹어 피가 소화기관으로 쏠리게 되면 정신이 멍~해 지기도 하고 너무 덥거나 추운 경우, 혹은 옷이 불편해 신경이 쓰여도 두뇌의 활동은 제한되게 되는데 하물며 잠이 부족해서야…  두뇌는 잠에서 몸이 깨어난 후 가장 늦게 일상 컨디션을 회복하는 기관이기도 하다. 보통 30분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필자의 경우 일어난 후 한 시간 반은 지나야 머리가 돌아가기 시작하는 것을 느끼곤 한다. 그래서 학생들에게도 아침 시험일 때는 아예 새벽에 일어나 공부를 하다가 시험장으로 가라고 충고하고 엿이나 다크쵸컬릿을 중간중간 먹도록 이야기 한다.

 

‘기술’이라는 것은 닦고 조이고 기름치는 것이다. 유별나지 않고 드러나지 않지만 몸에 밴 습관처럼 매일 매일 조금씩 완성되어가는 것이 기술이라 생각한다. 우리 학생들도 나름의 공부기술들을 꾸준히 반복 연습, 실행해서 모두들 자신의 Calling을 이루는 삶을 살 수 있길 희망해 본다.  

 

현재 시험의 기술(2부)

댓글 0 | 조회 1,599 | 2016.05.12
지난 컬럼엔 시험장에서 학생들이 지켜주었으면 하는 일들을 적었다. 이번호엔 5회에 걸친 공부의 기술 시리즈의 막을 내리는 ‘시험 준비’에 대한 글을 적고자 한다.… 더보기

학교병

댓글 0 | 조회 1,212 | 2016.05.25
이곳 오클랜드에서 꽤 오랜 시간 사교육에 종사하다 보니 오클랜드 각 학교마다 전통적인 ‘학교병’이 있다는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 됐다.중심부의 명문 공립 오*** … 더보기

IB 유감?

댓글 0 | 조회 2,203 | 2016.06.09
지난 5월 세계 고등학교 교육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이슈가 하나 있다.5월 초에 치러진 2016년 IB May Final exam의 Physics 시험문제가 그것인… 더보기

누가 엠마왓슨을 자퇴 시켰나?

댓글 0 | 조회 2,227 | 2016.06.22
최근 NorthShore의 한 공립학교가 IB과정을 개설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그리고 2017년 Y12 1년차시행을 위한 정식 업무를 시작하면서 IB과정에 대한 문… 더보기

이제 절반?

댓글 0 | 조회 1,239 | 2016.07.13
이제 2016년의 한가운데를 가로 지르는 term 2 방학이 시작 되었다. 선뜻 느껴지는 것은 이제 반이 지났구나.. 이제 반년 남았구나.. 하는 2분법적인 감각… 더보기

기회의 땅? 기회의 인간!

댓글 0 | 조회 1,953 | 2016.07.28
G가 한국 대학교에 지원한다는 이야기는 뜻 밖의 소식이었다.이미 입학이 결정된 걸로 알고 있었는데 갑작스런 변경이라니? 혹 집안에 문제라도 생겼나? 미국에 가지 … 더보기

느려도 황소걸음

댓글 0 | 조회 1,436 | 2016.08.10
그 즈음도 요즘처럼 비가 많이 내리는 계절이었다. 오클랜드에 그런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있는것을 처음 알게된 필자는 마치 금방 시골에서 올라온 촌뜨기 마냥 어두운… 더보기

지금은 우등생이 되어야만 할 때

댓글 0 | 조회 1,622 | 2016.08.24
‘카톡!’무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깜빡 했나 보다. 수업시간엔 조용하도록 설정해 놓는데 말이다.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무시하려 했는데 조금맣게 뜬 메시지 알림창을 보… 더보기

NCEA

댓글 0 | 조회 1,952 | 2016.09.14
얼마전 NCEA internal 시험에 관련해서 필자의 애간장을 녹이는 사건이 ‘또’ 발생했다. 이젠 그러려니.. 할 때도 됐건만 학생이 느낄 당혹스러움과 그 동… 더보기

산을 높이랴 골을 메우랴

댓글 0 | 조회 1,369 | 2016.09.29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라는 말이 있다. 지형을 이야기하고 산세를 이야기 할 때, 또는 어려운 일을 당한 지인을 위로하고 응원할 때 흔히들 쓰는 표현이다. 그런… 더보기

내 인생은 나의 것

댓글 0 | 조회 1,552 | 2016.10.12
내 인생은 나의 것~ 내 인생은 나의 것~ 나는 모든 것 책임질 수 있어요~필자가 중학생 때인가… 전국을 휩쓸었던 유행가 가사이다. 당시 신문에 ‘청소년들의 반항… 더보기

학습 자본주의(Ⅰ)

댓글 0 | 조회 1,904 | 2016.10.27
영국에 위치한 세계 최고수준의 캠브리지 대학교엔 신입생이라면 대부분 지원하고 싶어하는 트리니티 컬리지가 있다. 캠브리지 대학교의 시스템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 더보기

학습 자본주의(Ⅱ)

댓글 0 | 조회 1,356 | 2016.11.09
학생들을 가르치는 다소 비판적으로 사람을 바라봐야 하는 직업을 가지고 살다 보니 요즘 우리의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정신자세가 맘에 들지 않을 때가 종종 있다.필자… 더보기

핑퐁을 치자

댓글 0 | 조회 1,315 | 2016.11.23
비행기를 타거나 배를 탈 때 어린 남자아이들의 관심을 확 잡아 끄는 사람들이 있다. 어두운 색계통의 제복을 작용하고 모자와 소맷부리, 가끔은 어깨에 까지 금색, … 더보기

기쁜 졸업? 또 다른 준비!(Ⅰ)

댓글 0 | 조회 1,334 | 2016.12.06
지금 필자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오늘 바로 이 시간, 오클랜드 대학교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긴장속에서 자신들의 인터뷰 순서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중엔… 더보기

기쁜 졸업? 또 다른 준비!(Ⅱ)

댓글 0 | 조회 1,368 | 2016.12.21
뉴질랜드에 여러 대학과 여러 학과가 있지만 그 동안 필자가 가르쳐 왔고 경험해 왔던 오클랜드 대학교 Biomed를 중심으로 NCEA, IB, 캠브리지 졸업생들에게… 더보기

2017년의 첫번째 당부 - 숙제 좀 하자!!

댓글 0 | 조회 1,310 | 2017.01.25
2017년이 되어 첫 번째 컬럼이자 동시에 한 달여간의 한국 방문 이후 처음 쓰는 컬럼 이어서 그런지 뭔가 학생들과, 또한 가정에서 이들을 지도하시는 학부모님께 … 더보기

그에겐 그의 성공이 있다

댓글 0 | 조회 1,205 | 2017.02.09
연일 날씨가 점점 더 더워져 간다. 날이 추우면 추운대로 싸늘한 대학 도서관에서 공부에 매진하던 아이들이 떠오르고 날이 더우면 더운대로 솟아나는 땀방울을 훔쳐가며… 더보기

지금은 성공을 맛 보아야만 할 때

댓글 0 | 조회 1,373 | 2017.02.21
William H. McRaven.. 그는 미국 해군 특수전부대(Navy Seal)를 관할하는 총사령관이며 미국 내 몇 안되는 사성장군 중 한 사람 이다. 주로 … 더보기

실패의 첫걸음

댓글 0 | 조회 1,415 | 2017.03.07
날이 무더워서인지 아니면 마음이 답답해서인지 요즘 컬럼의 주제로 써 내려갈 지난 학생들을 생각하다보면 성공적이었다기 보다는 패자 부활전을 거친 아이들이, 지극히 … 더보기

선생님 열전

댓글 0 | 조회 1,328 | 2017.03.22
사람의 인생은 작은 배를 만드는 과정과 같다는 말을 어디선가 읽은 기억이 납니다. 이왕이면 큰배를 만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은데 왜 하필 작은배냐… 하고 생각하… 더보기

여인 열전1

댓글 0 | 조회 1,112 | 2017.04.11
그 날도 요즘처럼 바람이 심하게 불던 날이었습니다.어느 누군가를 처음으로 방문하기엔 적합한 날씨도 적합한 시간도 아니었지만 직업 자체가 워낙에 일반적인 시간 프레… 더보기

살다보니 별일도 다 있다

댓글 0 | 조회 2,120 | 2017.04.27
평균 수명의 반토막도 살지 않은 나이에 세상 참 좁기도 하다는 생각과 아울러 이 좁은 세상에서 난 지금껏 너무도 정체된 삶을 살아오지 않았나 하는 부끄럼움이 몰려… 더보기

5월 단상

댓글 0 | 조회 1,315 | 2017.05.10
5월 입니다.한국에선 5월이 주는 의미가‘신록의 계절’ 또는‘가정의 달’이겠지만 이 곳 뉴질랜드에서 강산이 한번 변하고도 반 토막을 바꿔먹을 시간 동안 지내다 보… 더보기

호랑이를 꿈꾸라

댓글 0 | 조회 1,934 | 2017.05.24
호랑이를 그리려고 해야 고양이라도 그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고양이를 그리기로 마음먹으면 어쩔 수 없이‘Plan B’를 선택해야 할 경우 고양이 보다 못한… 더보기